$\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본 특별천연기념물 녹나무군락의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Cinnamomum japonicum Community in Japan's Special Natural Monument A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3 no.1, 2019년, pp.52 - 63  

심항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박석곤 (국립순천대학교 산림자원.조경학부) ,  최송현 (부산대학교 조경학과) ,  이상철 (부산대학교 응용생태연구실) ,  유찬열 (경상남도산림환경연구원) ,  성찬용 (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본 특별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후쿠오카현(福岡?) 카스야군(粕屋郡) 다치바나산(立花山) 일원의 녹나무군락지를 대상으로 식생구조 특성을 분석했다. 본 조사지의 녹나무는 교목층(수고 약 30m, 평균흉고직경 92.79cm)에서 우세했으나, 아교목층과 관목층에서는 출현하지 않았다. 아교목층과 관목층에는 녹나무의 경쟁종이자 난온대 천이 후기종인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생달나무 등이 주로 분포했다. 또한 이곳은 종다양성이 전반적으로 낮아, 전형적인 상록활엽수림과 다른 식생구조를 보였다. 이는 과거 귀한 가치가 있던 장뇌(樟腦)를 생산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녹나무를 조림하여 보호 육성했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이곳은 장뇌 원료를 채취하지 않으면서 90년 동안 인위적 관리가 없었는데도 독특하게 식생천이가 진행되지 않았다. 이는 녹나무가 수관층을 압도적으로 우점하여 숲틈이 발생되지 않아 식물종의 유입이 제한되고, 녹나무의 타감효과로 인해 치수 발아가 방해된 것이 원인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camphor tree (Cinnamomum japonicum) community in the area of mount Tachibana, Kasuya county, Fukuoka Prefecture designated as a special natural monument in Japan. The survey showed overwhelming dominance of canopy tree in the c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후변화로 인해 향후 우리나라 남부지방에 녹나무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일본에서 유일하게 특별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후쿠오카현(福岡県) 카스야군(粕屋郡) 다치바나산(立花山) 일원의 녹나무군락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식생구조와 입지환경, 종다양성 등의 특성을 밝히고자 했다.

가설 설정

  • 이런 까닭으로 녹나무는 다른 교목성 상록활엽수종보다 수명이 길다(Nakagawa, 1985). 녹나무가 한번 수관층을 우점해 버리면, 하층에 녹나무 후대목이 출현하지 않더라도 수명이 길어 오랜 기간 동안 숲틈이 만들어지지 않아 수종갱신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녹나무순림 형태가 유지될 것이다. 게다가 녹나무의 타감효과(Sato and Takahashi, 2009)와 함께 이곳은 토양이 건조하고(Miyawaki, 1981) 비옥하지 않아서(Park et al.
  • 이곳은 온화한 기후특성상 녹나무 재배가 용이하여, 아마도 봉건영주 후쿠오카번(福岡藩, 1600∼1871년) 이 장뇌를 생산하기 위해 다치바나산 지역에 대규모로 녹나무를 심고, 경쟁관계에 있는 수종을 제거하고 녹나무만을 집중 관리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조림 당시에는 개벌로 인해 빛 환경 등의 생육조건이 양호해 생장속도가 빠른 녹나무(수고생장 36.1cm/년; Nakagawa, 1985)가 조기에 녹나무순림을 형성했을 것이다. 천연기념물 지정・관리 특성상 1928년 천연기념물 지정 후 90년 동안은 인위적인 관리 없이 보존되어져 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녹나무의 분포 특성은? , 2012). 우리나라에서는 북위 35°이남, 연 평균 기온 14℃ 이상의 온난한 서남해안과 제주도 등의 극히 일부 도서지역에 자란다. 때문에 녹나무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총Ⅴ등급 중에 Ⅳ등급에 해당하는 희귀식물 약관 심종(LC)에 속하는 식물이다(Kim, 2016).
녹나무(Cinnamomum camphora)는 무엇인가?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녹나무과 식물은 6개의 속(Genus)이 분포하는데 상록성인 녹나무속(Cinnamomum)・후박 나무속(Machilus)・참식나무속(Neolitsea)・육박나무속 (Actinodaphne)・까마귀쪽나무속(Litsea)과 낙엽성인 생강나무속(Lindera)이 있다. 이중 녹나무속의 녹나무(Cinnamomum camphora)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중국(양츠강 남쪽), 일본 (혼슈 이남), 대만, 베트남, 한국 등에 분포한다. 특히 녹나무는 위도 10∼30°에 분포하는 상록활엽수림에 중요한 구성 종이다(He et al., 2012). 우리나라에서는 북위 35°이남, 연 평균 기온 14℃ 이상의 온난한 서남해안과 제주도 등의 극히 일부 도서지역에 자란다.
한반도에 자생하는 녹나무과 식물은 무엇인가? 한반도에서 자생하는 녹나무과 식물은 6개의 속(Genus)이 분포하는데 상록성인 녹나무속(Cinnamomum)・후박 나무속(Machilus)・참식나무속(Neolitsea)・육박나무속 (Actinodaphne)・까마귀쪽나무속(Litsea)과 낙엽성인 생강나무속(Lindera)이 있다. 이중 녹나무속의 녹나무(Cinnamomum camphora)는 상록활엽교목으로 중국(양츠강 남쪽), 일본 (혼슈 이남), 대만, 베트남, 한국 등에 분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zuma, W., K. Nakao, K. Hashimoto and H. Ishii(2011) Physiological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Cinnamomum camphora cuttings: comparison with seedlings. Journal of the Japanese Society of Revegetation Technology 37(1): 21-25.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3. Cornelissen J.H.C., M.J.A. Weger and Z. Zangcheng(1994) Effects of canopy gaps on the growth of tree seedlings from subtropical broad-leaved evergreen forests of southern China. Vegetatio 110(1): 43-54. 

  4. Fukusima T. and T. Iwase(2005) Illustration Japanese Vegetation (?? 日本の植生). Asakura Publishing, 153pp. 

  5. Harcombe, P.A. and P.L.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axax forest. For. Sci. 24: 153-166. 

  6. Hattori, T.(1992) Synecological study on Persea thunbergii type forest : I.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conditions of Persea thunbergii forest. Japanese Journal of Ecology 42(3): 215-230.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7. Hattori, T.(1993) Synecological study of Persea thunbergii-type forest : II.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conditions. Japanese Journal of Ecology 43(2): 99-109.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8. Hattori, T., D. Tochimoto, N. Minamiyama, Y. Hashimoto, Y. Sawada and H. Ishida(2009) Species richness and species composition of vascular epiphytes in the lucidophyllous forests in southern Kyushu. Vegetation Science 26: 49-61. 

  9. He, X.B., G.M. Han, Y.H. Lin, X.J. Tian, C.G. Xiang, Q.J. Tian, F.Y. Wang and Z.H. He(2012) Diversity and decomposition potential of endophytes in leaves of a Cinnamomum camphora plantation in China. Ecol. Res. 27: 273-284. 

  10. Hill, M.O.(1979a)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 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 Ecology and Systematics, Cormell University, Ithaca, New York, 99pp. 

  11. Hill, M.O.(1979b)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pp. 

  12. Inoue, K. and S. Kiyokazu(2005) Forest structure of Cinnamomum camphor (L.) Persl. in Kagawa prefecture. Kagawa Seibutsu 32: 41-52.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3. Ishida, H., A. Kuroda and T. Hattori(2015) Species composition of an artificial lucidophyllous forest conserved as a shrine forest of the Nishinomiya Shrine in Nishinomiya City, Hyogo Prefecture. Vegetation Science 32: 123-129.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4. Kang, H.G.(2012) Vegetation Structure and Dynamics of Hankyeong-Andeok Gotjawal Terrain at Western Part of Jeju Island, Korea. Master's Thesis, Kookmin Univ.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s, 83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B.D.(2016) Distribution Changes of Forest Vegetation Zones and Broad-leaved Evergreen Species of Lauraceae Due to Climate Change in Korea. Doctor's Thesis, Univ. of Yeungnam, Korea, 169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J.J.(2015) Habitat Environment and Morphological Variance of Cinnamomum camphora (L.) J. Presl Natural Populations in South Korea.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 of Sci. and Tech., 7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K.S., C.H. Lee and S.H. Kim(2015) The review of Cinnamomum camphora SIEB.'s mistake in historical document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3(2): 58-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S.D., J.S. Kim, M.J. Kim and H.K. Kang(2016) Plant community structure characteristic of the evergreen forest, Bijindo, Korea. Kor J. Env. Eco. 30(2): 228-2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Miyawaki, A.(1981) Vegetation of Japan Vol. 2 Kyushu. Shibundo.co., LTD. Publishers Tokyo, 484pp.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0. Naganuma, T., Y. Mochida and N. Hoshi(1998) A comparison of two Cinnamomum camphora afforestations from phytosociological investigations on Manazuru Peninsula and Yugawara-kajiya,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anagawa prefecture. Reports of the Manazuru Marine Laboratory for Science Education, Faculty of Education and Human Sciences, Yokohama National University 11: 73-92.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1. Nakagawa, S.(1985) Growth of Cinnamoum camphora Kajiya at Yugawara City, West Kanagawa. Bulletin of the Kanagawa Prefecture Forest Experiment Station 11: 11-18.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22. Oh, K.K. and W. Cho(1994)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Kor. J. Env. Eco. 8(1): 27-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Oh, K.K. and Y.S. Kim(1996)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1), Korea. Kor. J. Env. Eco. 10(1): 87-1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Park S.G., S.H. Choi and S.C. Lee(2018) A Review of vegetation succession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Kor J. Env. Eco. 32(1): 77-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Park, I.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Doctor's thesis, Seoul National Univ., 4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Park, S.G.(2011) Use situation analysis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s as landscape trees in Kyushu area, Japan. Kor. Soc. Environ. Rest. Rev. Techn. 14(6): 29-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Pielou, E.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Y., 385pp. 

  28. Sasaki, T., A. Koyama, T. Koyanagi, T. Furukawa and K. Uchida(2015) Data Analysis of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Handbook of Methods in Ecological Research 3. Kyritsu Publishing Co., 208pp. (in Japanese) 

  29. Sato, D. and K. Takahashi(2009) Allelopathy of country-side and school campus tree species via their fallen leaves. Naturalistae 14: 1-7.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30. Song, S.H., S.G. Park and G.G. Oh(2016) Analysis of afforestation and the management actual condi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Jeonnam province, Korea. Proc. Korean Soc. Environ. Eco. Con. 26(1): 16-17. 

  31. Whittaker, R.H.(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 Monogr. 26: 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