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섬유공학회지 =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v.56 no.1, 2019년, pp.59 - 64
이하람 (충남대학교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 김춘수 (충남대학교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 서성식 (롯데케미칼) , 조원기 (충남대학교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 임현수 (충남대학교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 이승구 (충남대학교 유기소재.섬유시스템공학과)
In this study, isothermal crystallization behaviors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폴리프로필렌의 β-결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 Isotactic 폴리프로필렌은 α-, β-, γ- 세 가지 결정구조를 가진다. 폴리프로필렌의 β-결정은 유사육방정계 결정구조로, 단사정계를 이루는 주 결정상인 α-결정보다 결정밀도와 융점은 낮지만 비교적 연성인 특성이 있기 때문에 폴리프로필렌 제품의 충격강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6]. 따라서 기핵제인 β-핵제를 첨가하면 고순도의 β-결정이 형성되어 충격강도가 향상된 폴리프로필렌 복합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 |
열가소성 고분자가 복합재료의 기지재로 쓰일 때의 장점은 무엇인가? | 비교적 친환경성이 좋은 물질인 열가소성 고분자는 복합재료의 기지재로 주목받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타 재료에 비해 경량화가 용이하며, 가공이 쉽고 금속 및 세라믹 재료에 준하는 성능을 발휘하기도 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1−3]. | |
폴리프로필렌의 특징은 무엇인가? |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은 우수한 내화학성과 기계적 강도, 열가소성 고분자 중 비교적 내구성 때문에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고분자 재료 중 하나이다. 최근 환경문제에 따라 소재의 경량화가 연구되고 있는 항공우주, 자동차 분야에 복합재료의 비중이 점점 늘어감에 따라, 이에 적합한 폴리프로필렌을 기지재(matrix)로 한 복합재료의 연구개발 또한 크게 발달하였다. |
G. S. Cole and A. M. Sherman, "Light Weight Material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Materials Characterization, 1995, 35, 3-9.
L. C. Sim, S. R. Ramanan, H. Ismail, K. Seetharamu, and T. Goh, "Thermal Characterization of $Al_2O_3$ and ZnO Reinforced Silicone Rubber as Thermal Pads for Heat Dissipation Purposes", Thermochimica Acta, 2005, 430, 155-165.
M. Delogua, L. Zanchia, S. Maltese, A. Bonoli, and M. Pierini, "A Comparison between Talc-filled and Hollow Glass Microspheres-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J. Cleaner Production, 2016, 139, 548-560.
B. Itim and M. Philip, "Effect of Multiple Extrusions and Influence of PP Contamination on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Bottle Grade Recycled PET", Polym. Degrad. Stab., 2015, 117, 84-89.
H. Presting and U. Konig, "Future Nano-technology Developments for Automotive Applications", Mater. Sci. Eng.: C, 2003, 23, 737-741.
S. Dalle Vacche, C. J. G. Plummer, C. Houphouet-Boigny, and J.-A. E. Manson, "Morpholog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Isotactic Polypropylene Glass Mat Thermoplastic Composites Modified with Organophilic Montmorillonite", J. Mater. Sci., 2011, 46, 2112-2122.
J. Kang, J. He, Z. Chen, H. Yu, J. Chen, F. Yang, Y. Cao, and M. Xiang, "Investigation on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and Polymorphic Composition of Isotactic Polypropylene/Multiwalled Carbon Nanotube Composites Nucleated with ${\beta}$ -nucleating Agent", J. Ther. Anal. Calorim., 2015, 119, 1769-1780.
E. Nedkov and Krestev, "Mixed Spherulites of Alpha and Gamma Phases in Gamma-irradiated and Thermal-treated Isotactic Polypropylene", Colloid. Polym. Sci., 1990, 268, 1028-1035.
E. S. Lee, S. M. Lee, D. J. Shanefield, and W. R. Cannon.,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Polymer Matrix Composite via High Solids Loading of Aluminum Nitride in Epoxy Resin", J. Am. Ceram. Soc., 2008, 91, 1169-1174.
M. Avrami, "Kinetics of Phase Change II: Transformation-time Relations for Random Distribution of Nuclei", J. Chem. Phys., 1940, 8, 212-225.
E. Piorkowskaa, A. Galeski, and J.-M. Haudin, "Critical Assessment of Overall Crystallization Kinetics Theories and Predictions", Prog. Polym., 2006, 31, 549-57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