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라돈 우선관리 대상 지역 선정에 적합한 공간분석모형의 선정 및 활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a Spatial Analysis Model Appropriate for Selecting the Radon Priority Management Target A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5 no.1, 2019년, pp.82 - 96  

남궁선주 (서경대학교 위해성평가 연구소) ,  최길용 (서경대학교 위해성평가 연구소) ,  홍형진 (서경대학교 위해성평가 연구소) ,  윤단기 (서경대학교 위해성평가 연구소) ,  김윤신 (건국대학교 환경공학과) ,  박시현 (서경대학교 위해성평가 연구소) ,  김윤관 (그린에코스(주)) ,  이철민 (서경대학교 위해성평가 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precautionary management policy and to develop a methodology for selecting a radon management priority target area suitable for the Korean domestic environment. Methods: A suitable mapping method for the domestic env...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돈관리 우선지역 선정에 관한 관련법령을 검토한 결과 관리 우선대상 지역에 대한 정책 결정 및시행의 주체로서 시도지사를 정하고 있다. 따라서 라돈농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소단위 지역(읍·면· 동)을 다수 포함하고 있는 대도시지역(시·도)를 라돈관리 우선지역으로 선정하는 것이 제안한다. 이와 같은 라돈관리 우선지역 선정에 관한 방법론을 적용한 결과 경기도 김포시와 경상북도 경주시가 라돈관리 우선지역으로 선정되었다.
  • 또한 200 Bq/m3을 초과하는 농도를 나타낸 읍·면·동지역 3곳을 포함하고 있는 경기도 여주시와 3곳을포함하고 있는 충청북도 충주시의 경우 라돈관리 우선대상지역 선정 고려 지역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진은 라돈관리 우선지역 선정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라돈지도 작성 방법론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GRM 작성에 관한 방법론을 개발하여 제안한 바가 있다(Jeon et al., 2018). 이 GRM 작성에 관한 연구수행을 통해 국내 라돈관리 우선지역 선정을 위한 정확 및 정밀도가 높은 GRM 작성에 있어 필요한 국가 지리·토양관련 정보 데이터베 이스가 빈약하여 라돈지도 목적에 부합되는 즉 라돈 관리 우선지역 선정을 목적으로 한 GRM 작성이 어려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또한 계절적 라돈농도 변화의 혼란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국내환경을 고려하여 개발된 계절보정계수를 활용하여 연간 평균라돈농도로 환산된 연평균라돈농도를 활용하였다. 이는 IRM 작성에 있어 IRM 작성의 목적인 라돈관리 우선지역 선정에 있어서의 활용성을 고려할 경우 단기간 또는 특정계절에 국한된 농도를 활용한 IRM 작성 보다는 장기측정결과와 계절보정을 통한 연평균 라돈농도를 활용한 IRM 작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판단에서 수행된 것으로 공간라돈농도 보간모형 구현에 있어서의 입력변수 중 실측라돈농도자료의 경우 연평균 라돈농도 자료를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자 한다.
  • IRM 작성의 목적은 라돈관리 우선지역 선정의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함을 고려할 때 소단위지역(읍·면·동)간의 예측농도의 차가 명확히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라돈관리 우선 지역 선정에 있어 적합하다 판단되고 이를 잘 반영 하는 IDW 모형이 Kriging 모형에 비해 소단위지역 (읍·면·동)간의 예측농도 구분, 즉 선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간라돈 농도 예측력이 높으며 또한 소단위지역 간의 보간농도 차이에 대한 선명도가 높은 모형은 IDW 모형으로 IRM 작성을 위한 공간분석 모형으로 적합한 모형으로 IDW 모형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하고자 한다.
  • 이에 IRM을 기초로 소단위 지역(읍·면·동) 중 라돈농도가 높은 지역을 일차적 으로 구분하고 라돈농도가 높은 소단위지역이 다수 포함되어 대도시지역(도·시)을 라돈관리 우선대상지 역으로 선정하는 것을 권장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들 모든 연구및 저감 사업들 대부분이 라돈의 사후관리에 집중되어 있어 사전예방적 라돈관리가 현실적으로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라돈지도를 활용한 라돈관리 우선대상지역 선정과 이를 통한 라돈 환경문제의 사전예방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고려하여 국내 환경에 적합한 라돈관리 우선대상 지역 선정에 관한 방법론을 개발하여 제시함으로써 향후 국내 라돈 환경문제의 사전예방 관리 정책 수립 및 관련 연구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대기환경 및 환경보건 분야 에서 활용되고 있는 오염물질의 공간농도보간모형들을 활용하여 산출된 예측 값과 실측 값의 정량적, 정성적 비교를 통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공간라돈농 도보간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의 구현을 통해 선정된 라돈관리 우선 대상 지역을 제시하였다. 향후 국내 라돈지도 작성 및 라돈관리 우선지역 선정 방법론 개발에 관한 관련 연구 및 라돈관리 정책 수립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그러나 이는 두 방법에서 도출된 결과가 동일한 결과로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이 두 방법 중 하나의 방법만을 도출하여 제시하기 위해 공간분석 결과 도식도의 비교를 통해 보다 명확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모형 즉, 정성적 분석을 통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공간라돈농도 보간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IDW 방법과 Kriging 방법을 적용하여 측정지점의 수를 점차 줄이며 공간분석 구현을 통해 산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를 작성한 후 이의 비교를 통해 라돈 관리 우선대상지역 선정에 있어 보다 명확한 정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법을 선정하였다.
  • 이에 이 연구는 현재 실태조사 자료만으로 작성되어 활용 중인 국내 IRM의 한계점과 현 국가 지리·토양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한 GRM의 한계점 및 법에서 실내 라돈실태조사 기반 라돈지도 작성에 관한법령을 고려하여 공간라돈농도 보간모형의 구현을 통한 예측실내라돈농도 기반 라돈지도의 작성을 통한 라돈관리 우선지역 선정에 관한 방법론을 개발하 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된 연구로 국내 공간라돈농도 예측에 가장 적합한 모형을 선정하고, 선정된 모형을 활용하여 공간라돈농도 예측농도를 활용한 IRM 작성 방법론을 최초로 제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현재 대기환경 및 환경보건 분야 에서 활용되고 있는 오염물질의 공간농도보간모형들을 활용하여 산출된 예측 값과 실측 값의 정량적, 정성적 비교를 통해 국내 환경에 적합한 공간라돈농 도보간모형을 제시하고, 이 모형의 구현을 통해 선정된 라돈관리 우선 대상 지역을 제시하였다. 향후 국내 라돈지도 작성 및 라돈관리 우선지역 선정 방법론 개발에 관한 관련 연구 및 라돈관리 정책 수립에 있어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기 환경 및 환경 보건분야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공간분석 모형은 어떤것들이 있나? 국내 대기 환경 및 환경 보건분야 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공간분석 모형은 역거리가중치 보간법 (Inverse Distance Weighted, IDW) 방법과 Kriging 방법과 RBF 방법이 있다.
218 Po이나 214 Po의 방사성 원소들에 의해 발생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라돈( 222 Rn)은 무색, 무취, 무미의 가스상 물질로 토양에서 방출되는 방사성 가스로 방사 붕괴 시 알파선을 방출시키는 218 Po이나 214 Po의 방사성 원소로 붕괴된다. 이들 붕괴산물들에 의한 노출은 폐포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궁극 적으로 장기간 높은 실내 라돈농도에 노출된 사람의 경우 병리학적 영향과 호흡기계 기능의 변화를 가져와 결국에는 폐암으로 발전하는 위해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UNSCEAR, 2000; Neuberger and Gesell, 2002; Lázár et al., 2003; Schmidt et al.
라돈( 222 Rn)이란 무엇인가? 라돈( 222 Rn)은 무색, 무취, 무미의 가스상 물질로 토양에서 방출되는 방사성 가스로 방사 붕괴 시 알파선을 방출시키는 218 Po이나 214 Po의 방사성 원소로 붕괴된다. 이들 붕괴산물들에 의한 노출은 폐포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궁극 적으로 장기간 높은 실내 라돈농도에 노출된 사람의 경우 병리학적 영향과 호흡기계 기능의 변화를 가져와 결국에는 폐암으로 발전하는 위해도가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UNSCEAR, 2000; Neuberger and Gesell, 2002; Lázá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ppleton J. D., Ball T. K. Geological radon potential mapping. Geoenvironmental mapping: methods. Theory and practices; 2001. p. 557-613. 

  2. Appleton J. D., Miles J. C. H. A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geogenic controls on indoor radon concnetrations and radon risk.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activity. 2010; 101(10): 799-803. 

  3. Bossew P. Mapping the geogenic radon potential and estimation of radon prone areas in Germany. Radiation Emergency Medicine. 2015; 4(2): 13-20. 

  4. Cho Y. S., Jin Y. H., Lee S. B., Kang D. R., Lee C. M. Evaluation of the reduction rate of radon concentration, following free measurement of indoor radon and the alarm device installation.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16; 15(2): 109-118.(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Dubios G. A. G. An overview of radon surveys in Europe, Radioactivity Environmental Monitoring, Emissions and Health Unit, Institute for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In EUR 21892 EN, EC. 2005. 

  6. Demoury C., Ielsch G., Hemon D., Laurent O., Laurier D., Clavel J., et al. A statistical evaluation of the influence of housing charateristics and geogenic radon potential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France.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13; 126: 216-225. 

  7. Elo J., Crowley Q., Scanlon R., Hodgson J., Long S. Logistic regression model for detecting radon prone areas in Ireland.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17; 599: 1317-1329. 

  8. Fennell S. G., Mackin G. M., Madden J. S., McGarry A. T., Duffy J. T., Colgan P. A., et al. Radon in dwellings: the Irish National Radon Survey. Radiological Protection Institute of Ireland. 2002. 

  9. Ferreira A., Daraktchieva Z., Beamish D., Kirkwood C., Lister T. R., Cave M.,et al. Indoor radon measurements in south west England explained by topsoil and stream sediment geochemistry, airborne gamma-ray spectroscopy and geology.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18; 181: 151-171. 

  10. Friedmann H., Grller J. An approach to improve the Austrian radon potential map by Bayesian statistics.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10; 101(10): 804-808. 

  11. Ferreira A., Daraktchieva Z., Beamish D., Kirkwood C., Lister T. R., Cave M., Wragg, et al. Indoor radon measurements in south west England explained by topsoil and stream sediment geochemistry, airborne gamma-ray spectroscopy and geology.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18; 181: 151-171. 

  12. Hunter N., Muirhead C. R., Miles J. C., Appleton J. D. Uncertainties in radon related to house-specific factors and proximity to geological boundaries in England.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2009; 136(1): 17-22. 

  13. Ielsch G., Ferry C., Tymen G., Robe M. C. Study of a predictive methodology for quantification and mapping of the radon-222 exhalation rate.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02; 63(1): 15-33. 

  14. Ielsch G., Thieblemont D., Labed V., Richon P., Tymen G., Ferry C., et al. Radon (222Rn) level variations on a regional scale: influence of the basement trace element (U, Th) geochemistry on radon exhalation rates.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01; 53(1): 75-90. 

  15. Jeon H. J., Kang D. R., Go S. B., Park T. H., Park S. H., Kwak J. E., et al. A preliminary study for conducting a rational assessment of radon exposure level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017; 24(16): 14491-14498. 

  16. Jeon H. J., Kang D. R., Lee J. S., Park T. H., Hong H. J., Park S. H., et al. A study on the modeling of the rate of radon exhalation from soil.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18; 17(2): 132-1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emski J., Klingel R., Siehl A., Valdivia-Manchego M. From radon hazard to risk predictionbased on geological maps, soil gas and indoor measurements in Germany. Environmental Geology. 2009; 56(7): 1269-1279. 

  18. Kim H. T., Lee C. M., Kwon M. H., Park T. H., Park S. H., Kwak J. E. et al. Research on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risk communication program for radon.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16; 15(4): 375-3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azar I., Toth E., Marx G., Cziegler I., Koteles G. J. Effects of residential radon on cancer incidence. Journal of Radioanalytical and Nuclear Chemistry. 2003; 258(3): 519-524. 

  20. Lee C. M., Kang D. Y., Koh S. B., Cho Y. S., Lee D. J., Lee S. B. Development of predictive model for annual mean radon concentration for assessment of annual effective dose of radon exposure. Journal of Environment Science International. 2016; 25(8): 1107-11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Lee C. M., Kwon M. H., Kang D. R., Park T. H., Park S. H., Kwak J. E.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s in child-care facilit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Radioactivity. 2017; 167: 80-85. 

  22. Miles J. Development of maps of radon-prone areas using radon measurements in house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1998; 61(1-3): 53-58. 

  23.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A study on the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door radon level in Korea. cited 2018. 2012. 

  24. Nero A. V., Leiden S. M., Nolan D. A., Price P. N., Rein S., Revzan K. L., et al. Statistically based methodologies for mapping of radon 'actual' concentrations: the case of minnesota. Radiation Protection Dosimetry. 1994; 56(1-4): 245-219. 

  25. Park T. H., Kang D. R., Park S. H., Yoon D. K., Lee C. M. Indoor radon concentration in Korea residential environment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018; 23(13): 12678-12685. 

  26. Park T. H., Kim K. R., Kwon S. M., Eo S. M., Shin J. H., Jung K., et 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in facilities for medically sensitive users in Seoul.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2017; 16(4): 345-35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Schmidt A., Schlueter M., Melles M., Schubert M., Continuous and discrete on-site detection of Radon- 222 in ground- and surface waters by means of an extraction module.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2008; 66(12): 1939-1944. 

  28. United Nations Scientific Committee on the Effects of Atomic Radiation (UNSCEAR),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SCEAR 2000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United Nations, New York.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