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치기공과 교육과정 제고를 위한 치과기공사의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분석
Analysis on the Importance of Dental Technicians' Basic Vocational Competency elements to Improve the Dental Technology Curriculum 원문보기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v.41 no.1, 2019년, pp.31 - 41  

정효경 (대구보건대학교 치기공과) ,  박남규 (제주관광대학교 치기공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provides basic data for improving educational effectiveness by selecting and applying basic vocational competency applicable to dental technology's sub-major curricula by determining and researching dental technicians' awareness levels concern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s impo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치과기공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직업기초능력과의 상관성을 알아본다.
  • 본 연구는 치과기공사의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나아가 세부직무별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를 조사함으로써, 치과기공 세부전공교과에 적용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의 영역을 선정·적용하여 교육효과성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첫째, 치과기공사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인적자원에 대해 사회는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가? 최근 IT, 인공지능, 로봇기술 등이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으로의 현대사회 변화는 직업 활동의 변화와 인적 자원의 중요성 등을 중요시하고 있다. 이에 산업체 및 국가에서는 공통적인 핵심역량을 갖춘 인적자원을 요구하고 있고 대학에서는 산업체에서 직무을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지식과 기술, 태도를 갖춘 인재양성으로의 대학의 역할 방향 전환의 필요성을 부각하고 있다. 이러한 인적자원의 요구는 변화에 융통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 즉 직종이나 직위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직종에서 직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는데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일정 수준 이상의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총체를 지닌 직업기초능력을 지닌 자를 필요로 한다(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8).
직업기초능력은 무엇인가? 직업기초능력은 인적자본의 핵심 요소로서 직업교육 및 평생학습을 구성하는 핵심적 기반이 되고 있다(Field & Shuller, 2000). 즉 직업기초능력은 조직 차원에서의 경쟁력 제고와 개인 차원에서의 고용가능성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창의력과 지식 정보기술로 인한 유연한 생산방식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이가능성 (transferability)이 높은 현장직무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직업기초능력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직업기초능력은 인적자본의 핵심 요소로서 직업교육 및 평생학습을 구성하는 핵심적 기반이 되고 있다(Field & Shuller, 2000). 즉 직업기초능력은 조직 차원에서의 경쟁력 제고와 개인 차원에서의 고용가능성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창의력과 지식 정보기술로 인한 유연한 생산방식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전이가능성 (transferability)이 높은 현장직무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반영하여 국가에서는 학교교육과 산업 현장간의 불일치 등 기존의 인적자원 개발에 대한 문제점 해결노력을 위해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을 중심으로 산업현장에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 등의 직무능력을 산업부문별 또는 수준별로 체계화하여 표준화하는 노력을 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Field J, Schuller T. Networks, Norms and Trust: Explaining Patterns of Lifelong Learning in Scotland and Northern Ireland. In: Coffield F, ed. Differing Visions of a Learning Society. Bristol: The Policy Press, 2000. 

  2.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2018.: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8. 

  3. Jung HK, Choi JY. Mediating Effect of the Basic Occupational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the Job- seeking Efficacy of a Dental Technology Student.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Dental Technology. 2018;40:261-272. 

  4. 10.35605/jss.2017.04.26.1.57 Kim JA. The Effects of Self-Awareness of Key Competencies on Job-Seeking 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ecretarial Studies. Journal of Secretarial Studies. 2017;25(2):57-80. 

  5. 10.32341/JCER.2017.09.30.3.111 Kim MH, Lee JK.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Perceived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Career Decision Level, Job Searching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017;30(3):111-128. 

  6. Kim ST. Explanatory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of the Diagnostic Assessment System for Undergraduates' Job Basic Skills. Korean Administration Journal. 2009;21(1):599-626. 

  7.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College's Curriculum Model Apply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College's Curriculum Model Applying the Basic Vocational Competency. 20016. 

  8. Lee C, Park YH, Jung DY. The Study of Best Examples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y in Secondary Education.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 Seoul National University, Occasional Project. :2014-3. 

  9. Lee JB, Park DY, Kim JG, Choi DW, Lim KB.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and National Qualification Framework Building Project 2008: Basic Vocational Competency Teaching & Learning Program and Material Developmen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Entrusted Project. :8-11. 

  10. Yun SG. A Study on College's NCS-based Curriculum that Integrates Key Competencies with Job Competencies. Departmen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Kyungsung University. :121-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