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조습재 사용에 따른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 분석에 대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Energy Consumption Analysis in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y by using Absorption Material원문보기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전시시설 수장고 공간 확충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중 장기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인 국가 예산의 집행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전시시설 수장고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습자재 사용에 따른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12개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습재를 사용하는 수장고와 비교하여, 조습재를 사용하지 않는 수장고의 공조기 가동 시간은 47.50%(여름)와 58.85%(여름 이외 기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H' 전시시설 수장고의 경우, 조습재를 적용한 리모델링 공사 이후, 연간 2,721,700원/년을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시시설 수장고를 건설하고자 하는 정부 또는 건설업체 담당자들이 에너지 효율적인 수장고 건설에 유용하게 활용될 활용 될 수 있다.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의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는 전시시설 수장고 공간 확충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중 장기적인 관점에서, 효율적인 국가 예산의 집행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하여, 에너지 효율적인 전시시설 수장고 계획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습자재 사용에 따른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 12개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사례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습재를 사용하는 수장고와 비교하여, 조습재를 사용하지 않는 수장고의 공조기 가동 시간은 47.50%(여름)와 58.85%(여름 이외 기간)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H' 전시시설 수장고의 경우, 조습재를 적용한 리모델링 공사 이후, 연간 2,721,700원/년을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시시설 수장고를 건설하고자 하는 정부 또는 건설업체 담당자들이 에너지 효율적인 수장고 건설에 유용하게 활용될 활용 될 수 있다.
As solve the shortage problems of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establishing plans to expand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ies. From a medium- to long-term perspective, an energy-efficient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y is needed to implement ef...
As solve the shortage problems of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establishing plans to expand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ies. From a medium- to long-term perspective, an energy-efficient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y is needed to implement efficient state budget execution and achieve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energy consumption of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use of absorption materials.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12 storage spaces for exhibition facilities in South Korea. Compared to the storage space using the absorption material, the storage space without using the absorption material showed an increase in HVAC system operation time by 47.50% during summer periods and 58.85% in non-summer periods. In particular, the analysis found that in the case of storage for 'H' exhibition facility, the energy cost was reduced by 2,721,700 won/year after remodeling work using the absorption material.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help the government and the person in charge from construction companies to construct energy-efficient storage space room for exhibition facilities.
As solve the shortage problems of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i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is establishing plans to expand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ies. From a medium- to long-term perspective, an energy-efficient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y is needed to implement efficient state budget execution and achieve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goals.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energy consumption of storage space for exhibition facilities according to the use of absorption materials. To this end,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12 storage spaces for exhibition facilities in South Korea. Compared to the storage space using the absorption material, the storage space without using the absorption material showed an increase in HVAC system operation time by 47.50% during summer periods and 58.85% in non-summer periods. In particular, the analysis found that in the case of storage for 'H' exhibition facility, the energy cost was reduced by 2,721,700 won/year after remodeling work using the absorption material. It is expected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help the government and the person in charge from construction companies to construct energy-efficient storage space room for exhibition faciliti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수장고의 온도와 습도를 고려한 분류방안으로서, 소장 자료의 재질에 따른 분류(무기질계, 유기질계, 혼합재질)와 온·습도에 따른 분류(저습, 상온·상습, 다습, 혼합재질)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로 인해, 전시시설 수장고의 항온·항습을 위한 운영비용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전시시설 수장고의 성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하면서,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한 노력 및 연구는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 환경을 조사하여, 수장고에 적용된 조습재의 역할을 고찰하고, 조습재 사용에 따른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절감량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적인 전시시설 수장고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 환경을 조사하여, 수장고에 적용된 조습재의 역할을 고찰하고, 조습재 사용에 따른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절감량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에너지 효율적인 전시시설 수장고 설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건축 계획적 관점에서의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연구는 수장고의 공간계획 및 분류체계 구축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Jung (2006a)은 박물관 소장 자료의 분류체계를 수립하고,박물관 수장고의 분류방안을 제안하였다.
Jung andLim (2002)은 박물관 수장고의 건축계획에 대한 방향 수립을 목적으로, 해외 박물관 7개관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박물관 수장고의 시설계획 및 보전환경 계획을 고찰하고, 국내 박물관 수장고에 적용 가능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Kim (2002)은 박물관 수장고의 환경계획 요소 중에서, 조도기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따라, 전시시설 수장고의 건축·환경 계획과 운영단계의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 사례분석을 통해, 수장고 건축 계획에 따른 운영단계의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전시시설 수장고의 운영단계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감축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전시시설 수장고는 열화현상을 지연하거나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기능을 갖춰, 자연재해를 통한 인위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형태를 제외하고, 생물학적, 물리학적, 화학적, 인위적 위해로부터 유물·작품을 원형 그대로 안전하게 보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시설 수장고의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단열 기능과 조습기능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각 기능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제안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공립 미술관 7개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해외 미술관 3개관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가치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수장고에 대한 현황조사를 통해, 수장고의 공간계획 요건과 환경제어 시스템 지원요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전시시설 수장고 건축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2장 참조). 둘째, 전시시설 수장고의 수장환경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시시설 수장고 건축의 개념 및 주요 기능을 고찰하였다(3장 참조). 셋째,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건축 환경 및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전시시설 수장고의 수장환경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시시설 수장고 건축의 개념 및 주요 기능을 고찰하였다(3장 참조). 셋째,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건축 환경 및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분석 대상을 선정하고, 건축 환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셋째,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건축 환경 및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현황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분석 대상을 선정하고, 건축 환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조습재 사용에 따른 운영단계에서의 에너지 절감량 분석을 수행하였다(4장 참조).
이를 위해,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분석 대상을 선정하고, 건축 환경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조습재 사용에 따른 운영단계에서의 에너지 절감량 분석을 수행하였다(4장 참조).
Jung (2006a)은 박물관 소장 자료의 분류체계를 수립하고,박물관 수장고의 분류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대한민국 12개 박물관에 대한 소장 자료 분포 특성을 분석하고, 현장방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박물관 수장고의 온도와 습도를 고려한 분류방안으로서, 소장 자료의 재질에 따른 분류(무기질계, 유기질계, 혼합재질)와 온·습도에 따른 분류(저습, 상온·상습, 다습, 혼합재질)방안을 제시하였다.
Lim (1999)은 박물관 수장고의 환경디자인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수장환경의 개념설정과 설계지표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1995년 이후의 국내 박물관 설계에 대한 문헌조사 및 현장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박물관 수장고의 설계요소(바닥, 벽, 천정, 지원시설)에 따른 설계지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공립 미술관 7개관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해외 미술관 3개관에 대한 사회적 의미와 가치를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미술관의 수장전시 및 보존 연구가 가능한 공동 수장고를 제안하였다. Jung andLim (2002)은 박물관 수장고의 건축계획에 대한 방향 수립을 목적으로, 해외 박물관 7개관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Kim (2002)은 박물관 수장고의 환경계획 요소 중에서, 조도기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박물관 수장고에 대한 국내 기준과 국제조명위원회에서 제시하는 권장조도기준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국제조명위원회의 수장고 권장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국내 KS 기준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국내 수장고 조도기준을 200 lx로 상향시키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시시설 수장고의 운영단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단열 기능과 조습기능으로 연구의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각 기능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선정된 분석대상 전시시설 수장고를 중심으로, 건축 환경의 마감 형태를 고찰하고, 전시시설 수장고의 항온·항습을 위한 공조기 가동시간 및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셋째, 전시시설 수장고의 조습재 사용 유·무와 항온·항습을 위한 공조기 가동시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수장고의 적정 온도(20±4℃)와 습도(50~60%)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일(24시간/일) 공조방식을 적용하였다.
전시시설 수장고의 내부 마감재를 조습재로 사용한 경우와 페인트, 텍스 등과 같은 일반 마감재를 사용한 경우, 운영단계에서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Table 4].
이와 함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한정적인 국가예산의 효율적으로 사용 및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에너지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전시시설 수장고 건축계획이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본 연구는 조습자재 사용에 따른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크게 3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전시시설 수장고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시시설 수장고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전시시설 수장고 건축의 개념 및 주요 기능을 검토하였다. 셋째,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건축 환경 및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 12개관에 대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둘째, 전시시설 수장고 건축의 개념 및 주요 기능을 검토하였다. 셋째,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건축 환경 및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 12개관에 대한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데이터
셋째, 전시시설 수장고의 마감재인 조습재 사용 유무에 따른 에너지 절감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H’ 전시시설 수장고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박물관 및 미술관 중에서, 수장고의 항온·항습을 위한 공조기 가동시간 데이터가 보존되고 있는 12개 관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분석대상 시설물은 다음의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분석대상 전시시설 수장고를 중심으로, 건축 환경의 마감 형태를 고찰하고, 전시시설 수장고의 항온·항습을 위한 공조기 가동시간 및 에너지 사용량을 분석하였다.
첫째, 국내에서 운영되는 전시시설 수장고 중에서, 국가에서 운영하는 시설물을 선정하였다. 전시시설 수장고는 국가 공공기관과 민간에서 모두 운영하고 있다.
또한, 전시시설수장고의 운영 및 관리주체에 따라, 관리기준 및 관리체계가 달라진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시시설 수장고의 관리기준 및 관리체계를 통일하기 위하여, 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박물관 및 미술관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박물관 및 미술관 중에서, 수장고의 항온·항습을 위한 공조기 가동시간 데이터가 보존되고 있는 12개 관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H’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Table 4].
성능/효과
이를 위해, 박물관 수장고에 대한 국내 기준과 국제조명위원회에서 제시하는 권장조도기준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국제조명위원회의 수장고 권장 조도 기준과 비교하여, 국내 KS 기준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것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국내 수장고 조도기준을 200 lx로 상향시키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12개의 전시시설 수장고는 모두 적정한 온도·습도 기준(적정온도 기준: 16~25℃; 적정습도 기준: 40~75%)을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H’ 전시시설 수장고는 리모델링 이후에 조습재 사용을 통한 공조기 가동시간 단축을 통해, 연간 2,721,700원/년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 인해, 전일(24시간/일) 공조방식이 아닌, 간헐적 공조방식(2~10시간/일)을 채택하여 전시시설의 적정 온도(20±4℃)와 습도(50~60%) 기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첫째, ‘H’ 전시시설 수장고는 리모델링 이전에, 오동나무,흡음텍스, 수성페인트 등과 같은 일반 내장재로 마감이 되어있었다.
86시간/일(여름 이외 기간)로 분석되었다. 반면, 전시시설 수장고에 조습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일일 평균 공조기 가동시간은 23.60시간/일으로 분석되었다. 전시시설 수장고에 조습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습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공조기 가동시간은 47.
60시간/일으로 분석되었다. 전시시설 수장고에 조습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습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공조기 가동시간은 47.50%(여름)와 58.85%(여름 이외 기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전시시설 수장고의 마감재로써 조습재를 사용하는 경우, 수장고의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공조시간을 줄여,운영단계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85%(여름 이외 기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전시시설 수장고의 마감재로써 조습재를 사용하는 경우, 수장고의 적정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서, 공조시간을 줄여,운영단계의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다.
수장고의 적정 온도(20±4℃)와 습도(50~60%) 기준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전일(24시간/일) 공조방식을 적용하였다. 또한, 평균적으로 매월 483,720원/월을 에너지 비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로 인해, 전일(24시간/일) 공조방식이 아닌, 간헐적 공조방식(2~10시간/일)을 채택하여 전시시설의 적정 온도(20±4℃)와 습도(50~60%) 기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한, 평균적으로 매월 211,550원/월을 에너지 비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H’ 전시시설 수장고는 리모델링 이후에 조습재 사용을 통한 공조기 가동시간 단축을 통해, 연간 2,721,700원/년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조습자재를 이용하여 전시시설 수장고를 마감하는 건설 계획은 조습자재를 이용하지 않는 계획과 비교하여,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첫째, 조습재를 이용하여 천장과 벽체를 마감한 7개 전시시설 수장고(‘A’, ‘B’, ‘C’,‘D’, ‘E’, ‘F’, ‘G’)와 비교하여, 일반 마감재를 사용한 5개 전시시설 수장고(‘H’, ‘I’, ‘J’, ‘K’, ‘L’)는 상대적으로 단열·조습기 능이 열악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전시시설 수장고에 조습재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습재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공조기 가동시간은 47.50%(여름)와 58.85%(여름 이외 기간)만큼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H’ 전시시설 수장고는 리모델링 이후에 조습재 사용을 통한 공조기 가동시간 단축을 통해, 연간 2,721,700원/년을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건축 마감재 측면에서 살펴보면, 조습재를 이용하여 천장과 벽체를 마감한 7개 전시시설 수장고(‘A’, ‘B’, ‘C’, ‘D’, ‘E’,‘F’, ‘G’)와 비교하여, 일반 마감재를 사용한 5개 전시시설 수장고(‘H’, ‘I’, ‘J’, ‘K’, ‘L’)는 상대적으로 단열·조습기능이 열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전시시설 수장고의 항온·항습을 유지하기 위한, 공조기 가동시간을 조사한 결과, 7개 전시시설 수장고(‘D’, ‘F’, ‘G’, ‘H’, ‘I’,‘K’, ‘L’)는 하루 24시간 공조기를 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5개 전시시설 수장고(‘A’, ‘B’, ‘C’, ‘E’, ‘J’)는 간헐적으로 공조기를 가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조습재를 이용하여 천장과 벽체를 마감한 7개 전시시설 수장고(‘A’, ‘B’, ‘C’,‘D’, ‘E’, ‘F’, ‘G’)와 비교하여, 일반 마감재를 사용한 5개 전시시설 수장고(‘H’, ‘I’, ‘J’, ‘K’, ‘L’)는 상대적으로 단열·조습기 능이 열악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후속연구
조습재 사용에 따른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크게 3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전시시설 수장고 건축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2장 참조). 둘째, 전시시설 수장고의 수장환경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시시설 수장고 건축의 개념 및 주요 기능을 고찰하였다(3장 참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전시시설 수장고 사례분석을 통해, 수장고 건축 계획에 따른 운영단계의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전시시설 수장고의 운영단계에서의 에너지 사용량을 감축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위한 기초 연구로서, 본 연구는 조습자재 사용에 따른 전시시설 수장고의 에너지 사용량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크게 3단계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전시시설 수장고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전시시설 수장고 건축의 개념 및 주요 기능을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조습자재를 이용하여 전시시설 수장고를 마감하는 건설 계획은 조습자재를 이용하지 않는 계획과 비교하여, 중·장기적으로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물은 전시시설 수장고를 건설하고자 하는 정부 또는 건설업체 담당자들이 에너지 효율적인 수장고 건설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시시설 수장고는 적정한 빛, 온도, 습도 등이 유지되어야 하는 이유는?
다중이용시설 중 전시시설은 박물관 및 미술관을 의미하며, 유물·작품을 수집, 관리, 복원, 보관, 전시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특히, 유물·작품의 열화, 손상, 도난 등의 내·외부적인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하고, 원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시시설 수장고는 적정한 빛, 온도, 습도 등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유물·작품이 화재에 의한 손실, 자연재해에 의한 손실, 그리고 환경측면에서의 곰팡이, 오염 공기,벌레 등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Park,2005; Kim, 2001).
다중이용시설 중 전시시설은?
다중이용시설 중 전시시설은 박물관 및 미술관을 의미하며, 유물·작품을 수집, 관리, 복원, 보관, 전시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특히, 유물·작품의 열화, 손상, 도난 등의 내·외부적인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하고, 원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시시설 수장고는 적정한 빛, 온도, 습도 등이 유지되어야 한다.
유물·작품이 화재에 의한 손실, 자연재해에 의한 손실, 그리고 환경측면에서의 곰팡이, 오염 공기,벌레 등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어떻게 하는가?
다중이용시설 중 전시시설은 박물관 및 미술관을 의미하며, 유물·작품을 수집, 관리, 복원, 보관, 전시하는 공간을 의미한다. 특히, 유물·작품의 열화, 손상, 도난 등의 내·외부적인 위험요소로부터 보호하고, 원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시시설 수장고는 적정한 빛, 온도, 습도 등이 유지되어야 한다. 이는, 유물·작품이 화재에 의한 손실, 자연재해에 의한 손실, 그리고 환경측면에서의 곰팡이, 오염 공기,벌레 등에 의한 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Park,2005; Kim, 2001).
참고문헌 (13)
Cho, H.J. (2011). "A Survey into the Environment of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 Storage and a Study on Joint Storag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6, pp. 53-60.
Choi, J.M., and Kim, Y.D. (2003). "A Case Study on the Exhibition, Preservation Environment and Energy Consumption in Domestic Museu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10, pp. 24-31.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HA) (2013). "A Study on the Exhibition Management Plan in the Digital Cultural Heritage Museum." CHA Research Report, 2013-12.
Jung, S.W. (2006a). "Classification System of Collections and Distribution of Storages in Domestic Museum of Historic Relics."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5(2), pp. 138-149.
Jung, S.W. (2006b). "A Study on the Design Guidelines of a Storage for Conservation of Relics in a Museum."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15(3), pp. 144-154.
Jung, S.W., and Lim, C.Z. (2002). "A Study on the Environment Planning of Overseas Museum Storag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18(2), pp. 11-20.
Kim, H.B. (2002). "A Study on the Illuminance Recommendations for a Museum Storage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16(5), pp. 1-6.
Kim, M.J. (2001). "A Definition of Conservation, Pattern of Deterioration, and Conservatory Environment." Journal of Museum Studies, 4, pp. 158-177.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KCTI) (2010). A Study on the Regional Museum Storage, KCTI Research Report, 2010-12.
Lim, C.J. (1999). "A Study on the Concept Establishment and Design Index of Preservation Environment in Museums - A Basic Study on the Environmental Design of Museum(7)."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1, pp. 129-138.
Ministry of Culture and Sports (MCS) (1996). "Study on the Interior Air Quality Standard of the Exhibition and Storage Space in the Museum." MCS Research Report, 1996-04.
Park, C.S. (2005). "A Study on Humidity Control Performance of the Interior Finising Materials of Museum Collection Storage - Focused on Comparisons between Natural Timber and Artificial Humidity Control Material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Yoon, C.J. (2011). "Chemical DIctionary"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연구과제 타임라인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