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13세기 고려청자와 중국청자의 장식디자인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Decoration of Korean Celadon and Chinese Celadon in the 12th and 13th Centur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3, 2019년, pp.427 - 432  

악쿤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  임천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  김혜진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2~13세기는 청자의 전성기였다. 고려청자는 중국청자에 영향을 받아 제작 및 소성기술을 습득한 이후 독자적인 청자 발전의 절정기에 들어가게 된다. 특히 상감기법이라는 독자적인 장식기법을 발전시켰고 문양의 종류나 배치도 추상적인 문양으로 나아간 중국과 달리 자연물의 모습 그대로를 청자에 담아 그 아름다움을 널리 떨치게 되었다. 비록 고려청자와 중국청자가 같은 발원지에서 나타났지만, 각자의 지리적 특성과 민족적 미감에 따라 다르게 변화 발전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2~13세기 중 한 양국의 청자 나타나는 유약의 사용을 비롯한 소성기법 및 장식에 사용되는 문양을 비교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12th century to the 13th century, was the heyday of celadon, Koryo celadon after experienced celadon firing technology of imitation to the peak period of the development of Chinese celadon, especially on decoration technology pioneered the self unique style, the way of engraving, $xi{\g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2세기부터 13세기까지 한국과 중국 청자의 ‘장식기법’과 문양’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를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 이에 중·한 양국의 청자를 비교해 봄으로써 각자의 가치를 재확인하고, 교류를 통해 기법과 미감이 어떻게 공통점과 독창성을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2~13세기 고려청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 시기 고려청자의 색감은 낭랑하고 맑은 색상으로 중국청자와 비교해서 유약의 투명도가 더 높으며, 청녹색이라 하여도 청색이 더 나타난다. 장식으로는 수문(素 紋), 각화(刻花), 화화(劃花), 인화(印花), 조각, 상감(鑲 嵌) 등의 기법이 사용되었다. 각화의 특징은 음각의 깊이 감에 따라 무늬의 입체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한국과 중국 양 국가에서 도자기가 문화의 아이콘으로 불릴만한 이유는 무엇인가? 도자기는 중·한 양국 모두 자신의 문화를 대표하는 문화의 아이콘으로 불릴만하다. 도자기류는 예술작품으로서는 물론 생활용품으로 실제 사용되었기 때문에 두 민족의 미의식이 자연스럽게 드러난다고 할 것이다. 특히 청자는 이러한 점에서 양국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잘 드러내 줄 수 있는데 발원지를 같이 하면서도 각기 독자적인 미감으로 전성기를 이루었기 때문이다.
중국과 달리 나타나는 고려청자의 특징은 무엇인가? 고려청자는 중국청자에 영향을 받아 제작 및 소성기술을 습득한 이후 독자적인 청자 발전의 절정기에 들어가게 된다. 특히 상감기법이라는 독자적인 장식기법을 발전시켰고 문양의 종류나 배치도 추상적인 문양으로 나아간 중국과 달리 자연물의 모습 그대로를 청자에 담아 그 아름다움을 널리 떨치게 되었다. 비록 고려청자와 중국청자가 같은 발원지에서 나타났지만, 각자의 지리적 특성과 민족적 미감에 따라 다르게 변화 발전함을 알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Wang Fang. (2012). Comparative Study of Longquan Ceramic Kiln and Guanware in the Southern Song Dynasty. Beijing : Minzu University of China. 

  2. Chen Jinhai. (2006). World Ceramics, Volume II. Shenyang : Wanjuan Publishing Company. 

  3. B. S. Bang. (2013). The Origin of the Korea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of the Changsha kiln and the Yue kiln.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45, 5-40. 

  4. K. S. Kang. (2012). A Hitory of Korean Ceramic Art. Seoul: Yekyung.. 

  5. Zhu Boqian. (1998). Longquan Celadon, Zhejiang Hangzhou,: Photography Publishing Company. 

  6. Chinese Society of Citrate Ceramics. (1982). History of Chinese Ceramics. Beijing : Cultural Relics Publishing Company. 

  7. Guo Shouling. (2004). Comparative Study of Chinese Celadon and Korean Goryeo celadon Beijing : Tsinghua University. 

  8. Lili Fang. (2011). Chinese Ceramics:Introductions to Chinese Culture. U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9. S. H. Rha. (2006). Pottery: Korean Traditional Handicrafts. Seoul :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10. Y. H. Kim. (2015). Plasticity of Ceramic Art. Seoul:JiguGwaHaksa. 

  11. Wang Fen & Robert Anderson. (2007). Goryeo celadon and Chinese Celadon, Chinese Ceramics. Beijing : Jingdezhen. 

  12. Y. O. Shin. (2003). A Study of Cheong-ja, Korean Koryo Dynasty Celadon Ware and Their Chinese Models: Stylistic Influence and Transformation of Celadons from China to Korea. Fashion Institute of Technology. Seoul: Program in Museum Studies. 

  13. Xie Jie. (2016). Comparative Study of decoration techniques between Goryeo and Contemporaneous Chinese celadon jingdezhen : , university of jingdezhen ceramic. 

  14. Chen Juan, Boa-Liang Xu & W. S. Kim. (2018). A Study on Convergence of Color Characteristic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0), 421-426. 

  15. Li Qi. (2014). Comparative Study of 9-13 Century China Yaozhou and Korea celadon. Jingdezhen : Jingdezhen Ceramic University. 

  16. Y. Pak & R. Whitfield.(2003). Earthenware and Celadon. London : Laurence King Publishing. 

  17. W. S. Kim, H. S. Ro & J. H. Choi. (2017). A Study on Ceramic Expression using Silhouette Technique and Decal Techniqu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495-5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