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곡면보 기반 진동체의 진동력 향상 방법
Vibration Power Improvement Method of Curved Beam Based Actuator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22 no.2, 2019년, pp.271 - 280  

박재성 (Dept. of Medical & Biological Eng., Graduate School,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나승대 (Dept. of Biomedical Eng., Kyungpook National Univeristy Hospital) ,  성기웅 (Dept. of Biomedical Eng., Kyungpook National Univeristy Hospital) ,  김명남 (Dept. of Biomedical Eng.,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hearing loss patients have been increasing to excessive use of various multimedia devices. One of the hearing rehabilitation systems, bone conduction hearing aid can be used to conductive deafness patients efficiently. However, the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hearing systems has some prob...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는 보의 두께(thickness)를 나타낸다. 본 논문에서는 곡면보 진동막의 변위와 관련된 추가적인 변수를 통하여 변위 향상을 시도하였다. 강성을 변수로서 도출하기 위해 서는 물질에 대한 고유주파수를 이용하게 된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골전도 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피부 경유 골전도 시스템의 진동력 감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골전도 진동체의 변위 향상을 위한 곡면보 진동막 설계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동일 크기 진동막에서 보의 길이 확장과 비틀림을 이용한 최대 수직 변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상된 변위는 가속도와 비례관계로 동일 질량에서 진동 전달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변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변위와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수들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변수들을 이용하여 최대변위가 향상된 진동막을 설계하였다. Fig.
  • 하지만 피부 경유 골전도 시스템은 피부에 의한 진동력 감쇠 문제가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피부 경유 골전도 시스템의 진동력을 향상시켜 기존의 골전도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진동막의 변위향상방법이며, 진동막의 구조는 외팔보와 달리 동일 면적의 진동막에서 보의 길이 확장과 비틀림을 이용하는 곡면보를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변위는 속도, 가속도와의 관계를 통하여 환산할 수 있다. 처음으로, 변위와 속도와의 관계는 수식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전도(boneconduction) 보청기가 전도성 난청자에게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이유는? 하지만 고막천공, 이소골의 움직임 및 내이로 전달되는 음에너지 저하와 같은 문제로 발생하는 전도성 난청자는 외이와 중이의 손상이나 선천적인 기형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청각 경로와 같은 공기전도 보청기(airconduction hearingaids)로 청각을 보조하는데 한계가 있다[3]. 골전도(boneconduction) 보청기는 공기전도 보청기와 달리 측두골에 진동을 가하여 달팽이관으로 진동을 전달하기 때문에 전도성 난청자에게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4]. 최근에는 소음성 및 전도성 난청자들에게 모두 적용될 수 있는 골전도 보청기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며, 골전도 보청기는 다양한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경피적(percutaneous) 골전도 시스템의 특징은? 경피적(percutaneous) 골전도 시스템은 외부로 노출된 트랜스듀서(transducer)와 피부를 통과하여 뼈에 고정되어 있는 티타늄 재질의 나사에 의해 진동을 전달한다[5]. 하지만 뼈에 직접적으로 진동을 전달하여 효율적인 장점이 있지만 피부를 통과하는 반 이식형 특징 때문에 외관상의 문제와 피부의 괴사 및 염증과 같은 사용자의 불편함을 유발시키는 문제점들이 발생한다[6-8].
골전도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어떠한 방법으로 보완하였는가?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피부 경유 골전도 시스템의 진동력을 향상시켜기존의 골전도 시스템들의 문제점을 보완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한 진동막의 변위향상방법이며, 진동막의 구조는 외팔보와 달리 동일면적의 진동막에서 보의 길이 확장과 비틀림을 이용하는 곡면보를 사용하였다. 처음으로 곡면보 진동막을 이용하여 변위와 상관관계를 가지는 변수들을 도출하고, 변위와 반비례관계를 가지는 강성과 관련된 변수들을 도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H. Lee, S.W. Lee, and T.W. Kang, "Study on New Design of Rechargeable Hearing-Aid," Proceeding of Korea Production and Manufacturing Institute in Fall Conference, pp. 228-228, 2017. 

  2. D.H. Kim, Y.J. Lee, P.U. Kim, S.H. Lee, J.H. Cho, and M.N. Kim, “Finite Element Analysis of Small Acoustic Filters for Hearing Protection Devic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0, No. 2, pp. 200-208, 2007. 

  3. H.H. Lee, “Role of Innate Immunity in Otistis Medea,”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Vol. 59, No. 7, pp. 483-489, 2016. 

  4. J.H. Chung, “Rehabilitation of Sensorineural Hearing Loss: Hearing Aid,” Hanyang Medical Reviews, Vol. 35, No. 2, pp. 97-102, 2015. 

  5. B. Hakansson, A. Tjellstrom, and U. Rosenhall, “Hearing Thresholds with Direct Bone Conduction Versus Conventional Bone Conduction,” Scandinavian Audiology, Vol. 13, No. 1, pp. 3-13, 1984. 

  6. B. Hakansson, S. Reinfeldt, M. Eeg-Olofsson, P. Ostli, H. Taghavi, J. Adler, et al., “A Novel Bone Conduction Implant (BCI): Engineering Aspects and Pre-Clinical Studies,” International Journal of Audiology, Vol. 49, No. 3, pp. 203-215, 2010. 

  7. M.J. De Wolf, M.K. Hol, E.A. Mylanus, and C.W. Cremers, "Clinical Outcome of the Simplified Surgical Technique for BAHA Implantation," Otology and Neurotology, Vol. 29. No. 8, pp. 1100-1108, 2008. 

  8. J.W. House and J.W.J.R. Kutz, “Bone-Anchored Hearing Aids: Incidence and Management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tology and Neurotology, Vol. 28, No. 2, pp. 213-217, 2007. 

  9. H. Taghavi, A Novel Bone Conduction System, Master of Thesis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2012. 

  10. B. Hakansson, A. Tjellstrom, and P. Carlsson, “Percutaneous VS. Transcutaneous Transducers for Hearing by Direct Bone Conduction,”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Vol. 102, No. 4, pp. 339-344, 1990. 

  11. S. Gatehouse and G.G. Brown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an Implanted Bone Conduction Prosthesis,” Clinical Otolaryngology and Allied Sciences, Vol. 15, No. 6, pp. 503-513, 1990. 

  12. F.M. Snik, W.A. Dreschler, R.A. Tange, and C.W.R.J. Cremers, "Short-and Long-term Results with Implantable Transcutaneous and Percutaneous Bone-Conduction Devices," Archives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Vol. 124, pp. 265-268, 1998. 

  13. H.W. Kim, “Bone-conductive Stereo Headphones,” Journal of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Vol. 96, No. 5, pp. 3208, 1994. 

  14. B. Balachandran and E.B. Magrab, Vibrations, Thomson West, USA, 2009. 

  15. S.Y. Kim, S.H. Shin, J.H. Hwang, and H. Choi, “Correlation Between Joint Angular Displacement and Moment in the Human Foot,”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Vol. 24, No. 3, pp. 209-215, 2003. 

  16. H.J. Mun, Acceleration Sensor and ECM Sensor Combined Hybrid Implantable Acoustic Sensor, Mater's Thesi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of Electronics Engineering,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