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80 kWth급 미분탄 연소 시스템에서 하수슬러지 혼소시 연소 특성 연구
Study on the Co-firing of Sewage Sludge to a 80 kWth-scale Pulverized Coal Combustion System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5 no.1, 2019년, pp.74 - 80  

채태영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온에너지시스템그룹) ,  이재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온에너지시스템그룹) ,  이영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온에너지시스템그룹) ,  양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고온에너지시스템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수슬러지의 열화학적 처리는 수분을 제거하여 연료로 사용되는 하수슬러지의 수분 함량을 낮추어 주는 기술이다. 열화학적 처리된 하수슬러지는 열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에너지 집약적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 중에 소비되는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하수슬러지의 수열 탄화 공정을 사용하였다. 수열탄화 공정은 하수슬러지를 사전 건조 없이 깨끗한 고체연료로 전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열탄화 하수슬러지와 미분탄 연소 시스템의 혼소 특성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혼소 시 생성되는 유해물질 및 연소 효율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 사용 된 연소 시스템은 $80kW_{th}$급 연소로로서 1기의 선회류 버너가 장착되어 있다. 두 가지의 석탄을 주 연료로 사용하였고, 하수슬러지의 혼소율은 열량 기준 0% ~ 10%까지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NO_x$는 400 ~ 600 ppm, $SO_x$는 600 ~ 700 ppm 사이를 유지하였고, CO는 100 ppm 전후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정적인 연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하수슬러지를 혼소할 경우, 혼소율이 증가할수록 $NO_x$$SO_x$의 배출량도 증가하였으나 그 편차가 크지 않았다. 연소 배가스에 포함된 오염 물질 배출은 혼소 비율 보다 주 연료인 석탄의 조성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mochemical treatment of sewage sludge is an energy-intensive process due to its high moisture content. To save the energy consumed during the process, the hydrothermal carbonization process for sewage sludge can be used to convert sewage sludge into clean solid fuel without pre-drying. This stud...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80 kWth급 미분탄 연소시스템을 사용하여 HCS와 일반 건조 하수슬러지를 석탄과 혼소하였을 경우 연소 특성을 분석하고 연소 후 배출되는 가스를 분석한 결과이다. 실험 결과 석탄 전소와 하수슬러지 혼소의 경우 벽면 온도는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는 하수슬러지 기반 연료를 유동층 연소 시스템에서 혼소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국내의 경우 대부분의 석탄화력발전은 미분탄 연소 방식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미분탄 연소 시스템에서의 혼소가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지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하수슬러지를 건조, 고형연료화한 후 미분탄 화력 발전 혼소 연료로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80 kWth급 미분탄 연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열탄화된 하수슬러지와 일반 건조 하수슬러지를 석탄과 혼합하여 연소하였을 경우 생성되는 연소가스 조성 변화를 분석하고 연소 효율을 측정하여 일반 건조 하수슬러지와 수열탄화 하수슬러지의 연소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 [6] 역시 유동층 반응기를 이용해 다양한 종류의 펠릿화된 바이오매스와 무독성 폐기물을 이용하여 유동층 연소와 관련된 연료 특성 인자를 도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료 전환율과 촤연소에 대해 규명하고, 층 물질의 응집 현상에 대해 조명하기 위해 회분 입자의 크기 및 거동에 대한 연구도 수행하였다. Wa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einzel, H., Siegle, V., Spliethoff, H., and Hein, K., "Investigation of Slagging in Pulverized Fuel co-Combustion of Biomass and Coal at a Pilot-Scale Test Facility," Fuel Proc. Technol., 54, 109-125 (1998). 

  2. Cenni, R., Frandsen, F., Gerhardt, T., Splietho, H., and Heina, K., "Study on Trace Metal Partitioning in Pulverized Combustion of Bituminous Coal and Dry Sewage Sludge," Waste Manage., 18, 433-444 (1998). 

  3. Werther, J., and Ogada, T., "Sewage Sludge Combustion," Prog. Energy and Combust. Sci., 25, 55-116 (1999). 

  4. Yoshihiko, N., Lian, Z., Takeo, S., Chikao, K., and Megumi, M., "Transformation of Mineral and Emission of Particulate Matters During Co-Combustion of Coal with Sewage Sludge," Fuel, 83, 751-764 (2004). 

  5. Amand, L., and Leckner, B., "Co-combustion of Sewage Sludge with Wood/Coal i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A Study of Gaseous Emissions," Chalmers University of Technology, Sweden, (2001). 

  6. Salatino, P., "Fluidized Bed Combustion of Pelletized Biomass and Waste-Derived Fuels," Combust. and Flame, 155, 21-36 (2008). 

  7. Liang, W., Terese, L., and Ehsan, H., "Effect of Sewage Sludge Addition on Potassium Release and Ash Transformation during Wheat Straw Combustion," Chem. Eng. Trans, 2283-9216 (2014). 

  8. Hong, Y., and Ichiro, N.,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Dried Sewage Sludge and Control of Trace-Metal Emission," Energy & Fuels, 19, 2298-2303 (2005). 

  9. Lars-Erik, A., Leckner, B., David, E., and Claes, T., "Deposits on Heat Transfer Tubes during Co-Combustion of Biofuels and Sewage Sludge," Fuel, 85, 1313-1322 (2006). 

  10. McIlveen-Wright, D., Huang, Y., Rezvani, S., and Wang, Y., "A Technical and Environmental Analysis of Co-Combustion of Coal and Biomass in Fluidised Bed Technologies," Fuel, 86, 2032-2042(2007). 

  11. Davidsson, K., Amand, L., Elled, A., and Leckner, B., "Effect of Cofiring Coal and Biofuel with Sewage Sludge on Alkali Problems in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Energy & Fuels, 21, 3180-3188 (2007). 

  12. Tomasz, K., Marco, M., Michael, I., and Roman, W., "Investigation of Ash Deposit Formation during Co-Firing of Coal with Sewage Sludge, Saw-Dust and Refuse Derived Fuel," Fuel, 87, 2824-2837 (2008). 

  13. Fouad, A., and Jaroslaw, Z., "An Evaluation of Biomass Co-Firing in Europe," Biomass and Bioenergy, 34, 620-629 (2010). 

  14. Aho, M., Yrjas, P., Taipale, R., Hupa, M., and Silvennoinen, J., "Reduction of Superheater Corrosion by Co-Firing Risky Biomass with Sewage Sludge," Fuel, 89, 2376-2386 (2010). 

  15. Chao, H., Apostolos, G., and Jing, Y., "Conversion of Sewage Sludge to Clean Solid Fuel Using Hydrothermal Carbonization: Hydrochar Fuel Characteristics and Combustion Behavior," Appl. Energy, 111, 257-266 (2013). 

  16. Ganesh, K., Zhengang, L., Akshay, J., Srinivasan, M., and Rajasekhar, B., "Hydrothermal Carbonization of Sewage Sludge for Energy Production with Coal," Fuel, 111, 201-210 (2013). 

  17. Eyser, C., Palmuc, K., Schmidt, T., and Tuerka, J., "Pharmaceutical Load in Sewage Sludge and Biochar Produced by Hydrothermal Carbonization," Sci. Total Environ., 537, 180-186 (2015). 

  18. Chuan, P., Yunbo, Z., Yun, Z., Bibo, X., Tengfei, W., Caiting, L., and Guangming, Z., "Production of Char from Sewage Sludge Employing Hydrothermal Carbonization: Char Properties," Combust. Behavior and Thermal Characteristics, Fuel, 176, 110-118 (2016). 

  19. Liu, G., Yan, L., Pozzobon, E., Higgins, B., Milewicz, M., and Repcznski, A., "High Portion Biomass Co-Firing and $NO_x$ Reduction in a Coal-Fired Boiler," Clean Coal & Fuel Systems 2012, 192-205 (2012). 

  20. Sung, Y., Lee, S., Kim, C., Jun, D., Moon, C., Choi, G., and Kim, D., "Synergistic Effect of Co-Firing Woody Biomass with Coal on $NO_x$ Reduction and Burnout during Air-Staged Combustion Experimental Thermal and Fluid Science," ETF Sciencev., 71, 114-125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