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록에서 발행사항의 발행년 기술형식의 개선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Bibliographical Description Form of the Date of Publication in the Catalog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1, 2019년, pp.1 - 21  

이명규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의 생산량이 늘어나고, 이용자의 정보요구가 세분화되어 가는 시점에 정보를 세분하여 체계적으로 목록하고, 이를 검색 환경에 반영하여 표현함으로써 목록의 기능을 확대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이 연구는 기존의 목록규칙에서 발행년의 기술표기 변천 과정을 살펴보고, 현재의 온라인서점의 목록을 통해서 기술요소를 살펴보며, 자료 식별과 검색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발행사항의 하위요소에 발행년 뿐만 아니라 발행월을 기술해야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또 발행월에 대한 목록규칙과 MARC의 기술 예시를 제시하여 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the functions of the catalog by segmenting the information into a systematic cataloging and reflecting it in the search environment when the amount of information is increased and the user's information needs are disaggregated. So, this study presented the nee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 목록이란? 도서관 목록은 해당 자료의 서지정보를 기록하는 2차 자료로서 오래 전부터 해당 자료의 표제와 책임표시, 판, 발행, 형태, 총서, 주기, ISBN 및 가격표시 등의 다양한 서지사항을 일정 체계에 따라 기술한 것으로 이용자들에게 자료 검색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지사항 중에 발행사항에는 목록 대상 자료의 발행지, 발행처, 발행연도 등의 요소를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자료를 식별하고 다른 자료와 구별해 주는 식별 요소 중의 하나다.
발행사항은 어떠한 요소를 이용하여 자료를 식별하는가? 도서관 목록은 해당 자료의 서지정보를 기록하는 2차 자료로서 오래 전부터 해당 자료의 표제와 책임표시, 판, 발행, 형태, 총서, 주기, ISBN 및 가격표시 등의 다양한 서지사항을 일정 체계에 따라 기술한 것으로 이용자들에게 자료 검색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지사항 중에 발행사항에는 목록 대상 자료의 발행지, 발행처, 발행연도 등의 요소를 기술하고 있으며, 이는 자료를 식별하고 다른 자료와 구별해 주는 식별 요소 중의 하나다.
서지사항을 상세히 기술할 때 이용자들에게 주는 도움은 무엇인가? 심지어 도서관의 목록보다 더 자세하게 서지요소 뿐만 아니라 내용 이나 부가적인 사항까지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점은 이용자들에게 상세하고 확실한 정보를 제공하여 정확한 자료를 선정하여 구입하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National Library of Korea. 2006. Korea Machine Readable Cataloging Format - Integrated Format for Bibliographic Data. Seoul: National Library of Korea 

  2.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1964. Korean Cataloging Rules. Seoul: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3.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03. Korean Cataloging Rules. 4th edtion. Seoul: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4.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2010. The Glossary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vised edition. Seoul: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5.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1966. The Glossary of Library Science. Seoul: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6. National Library of Korea Web-site. [cited 2018. 12. 27]. 

  7. Kyobo Books Web-site. [cited 2018. 12. 20]. 

  8. YPbooks Web-site. [cited 2018. 12. 20]. 

  9. Aladin Web-site. [cited 2018. 12. 21]. 

  10. Yes24 Web-site. [cited 2018. 12. 21]. 

  11. Statistics Korea Web-site. [cited 2019. 3. 14]. 

  12. Cutter, Charles A. 1904. Rules for a dictionary catalog. 4th ed. Washington: Government Printing Office. 

  13. International Federation of Library Association and Institutions. 1978. ISBD(M). 1st standard ed. revised. London: IFLA International Office for UBC. 

  14. Jewett, Charles C. 1853. Smithsonian Report on the Construction of Catalogues of Libraries, and Their Publication by means of Separate, Stereotyped Titles: with Rules and Examples. 2nd ed. Washington: The Smithsonian Institution. 

  15. Panizzi, Anthony and others. 1841. Rules for the compilation of the catalogue in Catalogue of Printed Books in the British Museum. London: Printed by order of the Trustees. 

  16. The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The Library of Congress, The Library Association, and The Canadian Library Association. 1967.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North American Text.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7. The Library of Congress. 1949. Rules for Descriptive Cataloging in the Library of Congress. Washington: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