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로컬 거버넌스의 실현가능성에 대한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 도서관서비스를 위한 협력을 중심으로 -
The Mediating Effects of Sense of Community on the Possibility of Local Governance - Focused on the Cooperation between Libraries and Public Administration Field -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1, 2019년, pp.199 - 224  

박성우 (광주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홍소람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거버넌스에서 도서관의 역할을 규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거버넌스는 사적 행위자가 정치행정과정에 참여함으로써 성립되는데, 현대 사회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주체의 협력을 중시하기 때문이다. 공동체는 공공성을 가진 사적 행위자로서 거버넌스가 직접민주주의를 실현하게 돕는다. 또한 도서관은 공동체를 육성하는 기관이기도 하고 때로는 공동체 그 자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공동체와 거버넌스의 관계, 도서관과 공동체의 관계를 규명한다. 그리고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여 도서관과 거버넌스의 관계를 규명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is to establish the role of libraries in governance. Governance is valid when private actors participate in it. Because it emphasizes the cooperation with actors in diverse sectors for solving complex problems in society. Communities as private actors with publicness help governance actua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산동도서관마을의 거버넌스의 성공적 사례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공공도서관은 관에 의해 계획적으로 만들어져 지역사회에 공공적 정보서비스를 통해 공동체의 구성원인 시민의 자기학습을 지원해왔다. 그러나 구산동도서관마을의 사례는 ‘구립’공 공도서관으로서 관의 영역이면서도 동시에 ‘협동조합이 위탁운영하는’ 시민사회 주도의 민의 영역이다. 이 사례는 지역공동체로서의 작은도서관, 정보서비스 공간인 공공도서관의 경계를 허물며 도서관이 나아갈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의미한다.
퇴니에스는 인간의 결사체를 무엇으로 정의했나요? 퇴니에스는 인간의 결사체를 두 종류, 즉 공동체(Community, 독일어로 Gemeinschaft)와사회(Society, 독일어로 Gesellschaft)로 정의 내렸다. 그는 공동체를 본연적 인간으로써의 상호이해적 관계가 형성되는 전통적인 삶의 현장으로, 사회를 자본주의 사회의 화폐 교환 체제 아래서 발생한 이성적 사고와 양적 가치 기반의 근대적 양식으로 보았다.
전통적인 거버넌스의 의미는 무엇인가? 전통적으로 거버넌스는 통치(government)와 같은 의미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현대에는오히려 전통적 의미의 정부와 다른 의미에서 통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wak, Hyon-Kun. 2017. "the Conceptualization of Local Government by Reinterpreting Residents Autonomy as Fundamentals of Local Self-Government and Constructing System Model."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9(3): 279-302. 

  2. Kim, Soo-Young., Oh, Chan-Ohk., Moon, Kyung-Joo. and Ryu, Ji-Seon. 2014. "Analysis of the community building system." Journal of Community Walfare, 49: 337-381. 

  3. Kim, Young-Jeong. 2008. Local Governance and Community Revival Movement. Korean Regional Sociology, 9(2): 5-33. 

  4. Kim, Euiyoung. 2011. Local Good Governance: A Research Framework. Journal of Korean Politics, 20(2): 209-234. 

  5. Kim, Lee-Soo. 2016. "The Study On Factors Determining Subjective Well-being :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SoC."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30(2): 157-180. 

  6. Park, Sangpeel. 2018. "A Case on the Garbage Incinerator in Icheon City." in: Park, Sangpeel eds. 2018. Success model for local governance. Seoul: Daeyeong CL, 35-62. 

  7. Park, Seong-Woo. 2014. A Study on the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Created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5(1): 197-215. 

  8. Kwak, Hyon-Kun. 2015. "The Conceptualization and Model Building of Resident Autonomy and Its Institutionalizing Direction." Moder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7(2): 1-29. 

  9.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A Guideline for Registration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cited 2018. 5. 2]. 

  10. Kim, Kyung-Joon. and Kim Sung-Soo. 1998. A Study on the Residents' Sense of Community in Korea. Community Development Review, 23(2): 211-232. 

  11. Kim, Mi-Young. 2015. "Community Reality in High Modern Society." Society and Theory, 27: 181-218. 

  12. Kim, Byong-Joon. 2015. Local Self-Government. 2nd ed. Paju: Beopmoonsa. 

  13. Kim, Haklin. 2017.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articipation of Community Mediation Activities on Sense of Community: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Kwang-Ju Community Mediation Center. Dispute Resolution Studies Review, 15(1): 107-136. 

  14. Park, Seong-Woo. 2016. "A Study on the Changing Role of Public Libraries by the Case Studies of Community of Practi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7(4): 339-358. 

  15. 박성우. 2018. 주민자치와의 협력을 통한 한국형 공공도서관 실행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9(2): 301-326. 

  16. Seo, Jae-Ho. 2013.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Autonomous Activities and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Survey of Citizens Who are Living in the - Boundary of 4 Community Cent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2): 437-459. 

  17. Yang, Young-Kyun. 2012. "the Formation of Urban Community and Small Libraries: A case of Youngin." Korean Studies Quarterly, 35(2): 35-67. 

  18. Lee, Jong-Soo. 2015. Communities: From Utophia to Making Community Design. Seoul: Pakyoungsa. 

  19. Oh, Soogil. and Lee, Choon-Yeul. 2018. "A Case Study on Citizen Autonomy and Local Governance."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13(2): 125-158. 

  20. Oh, Soogil. 2018. A Case Study on Seoul. in: Park, Sangpeel eds. 2018. Success model for local governance. Seoul: Daeyeong CL, 11-34. 

  21. You, Chang-Bok. 2009. A Story of Sungmisan Village, an Urban Community Village - it's Dynamics and Challenges -. M.A. thesis., Sungkonghoe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2. Lee, Seongsin., Sung, Heeja. and Lee, Sena. 2018. "Small Libraries as the Center of Local Community: Focused on the case of Atti Librar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1): 77-97. 

  23. Lim, Yu-Kyeong., Kim, Soo-bin. and Kim, Ji-hyun. 2017. The Library we make together: Goosandong Library. Sejong: Auri. 

  24. Jeon, Gi-Hoon, Jeong, Moon-Gi 2017. "Analysis on the Effect between the Community Perception and Happiness."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9(1): 137-166. 

  25. Choi, Moon-hyeong. and Jeong, Moon-gi. 2015. "The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citizen particip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9(2): 273-306. 

  26. Choi, Sung-Wook. 2011. "Running the Participatory Governance in Heterogeneous Community." Journal of Governance Studies, 6(2): 1-31. 

  27. Choi, Jae-Yeon. and Kim, Chan-Ho. 2015. "The Characteristic and the Role of the Community Library as a Community Center."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50(4): 165-184. 

  28. Ansell, Chris. and Gash, Alison. 2008.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and Theory, 18(4): 543-571. 

  29. Boyte, Harry. C. 2005. "Reframing Democracy Governance, Civic Agency, and Politics."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65(5): 536-546. 

  30. Hufty, Marc. 2011. "Governance: Exploring four approaches and their relevance to research." In: Wiesmann, U., Hurni, H., et al. editors. Research for Sustainable Development: Foundations,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Bern: Geographica Bernensia: 165-183. 

  31. Long, D. Adam. and Perkins, Douglas. D. 2003.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Sense of Community Index and Development of A Brief SCI."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1(3): 279-296. 

  32. McMillan, David. W. and Chavis, Davi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33. Mulhall, Stephan. and Swift, Adam. 2002.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김해성, 조영달 공역 서울: 한울아카데미. 

  34. Stoker, Gerry. 1998. "Governance as Theory: Five Propositions."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50: 17-28. 

  35. Thompson, Edmund. R. and Phua. Florence. T. T. 2012. "A Brief Index of Affective Job Satisfaction."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7(3): 275-3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