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나이 차이에 따른 스마트폰 기능 수행도 연구
A Study of Functional Performance on Smartphone according to Age Differe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3, 2019년, pp.318 - 323  

윤철호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경영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통해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나이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피험자 집단은 청년층 30명과 장년층 30명으로 구성하였다. 스마트폰 기능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해 12개의 과제를 설정했다. 동시에 사용자들에 대해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 대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사용자 이력 및 사용 습관에 관한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과제별 실측치 측정결과를 미니탭 버전14를 이용하여 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10개의 과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전체적으로 장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모든 과제 수행에 있어서 처리시간이 많이 걸렸다. 특히 키 입력이 많이 필요한 과제의 경우 그 경향이 크게 드러났다. 스마트폰 사용 습관에서는 청년층은 전반적으로 모든 기능들을 골고루 이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장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이용하는 기능들이 전화걸기, 문자, 카카오톡, 검색 등 일부 기능에 치우쳐 있었다. 이런 결과로부터 청년들은 장년층보다 스마트폰을 더 빈번하게 사용함으로서 스마트폰 사용에 익숙해짐에 따라 기능 수행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KLM 분석 결과, 처리시간이 단축된 가장 큰 요인은 청년층이 장년층에 비해 키 입력에서 시간이 적게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마트폰 제조에 있어서 장년층들이 좀 더 쉽고 편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추가적인 설계에 임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fferences in age among the various functions required for everyday life through smartphone using environment.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30 young adults and 30 elderly people. We set up 12 tasks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smartphone functions. At the same tim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년층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통해 필요한 다양한 기능 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젊은 계층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실제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동시에 이런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 그러나 장년층들이 스마트폰을 통해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구체적으로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또는 젊은 계층들과의 차이가 사용 방식에 의한 것인지,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에서의 차이인지 등 인간공학적 관점에서의 다양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년층들이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통해 필요한 다양한 기능 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젊은 계층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실제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동시에 이런 차이가 구체적으로 어떤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것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기능 수행도에 있어서 나이 차이에 따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스마트폰의 기능적 측면을 검토한다. 이를 위해 우선 스마트폰의 기능성을 정의하여야 하는데 기존의 스마트폰 관련 연구에서 정의한 기능성을 부분적으로 참고하기로 하였다[5, 13, 14].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일상생활을 통해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장년층들이 청년층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실제 스마트폰 사용 환경에서의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스마트폰 기능 수행도를 평가하기 위해 정한 12개의 과제별 실측치 결과를 분산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스마트폰이 기존의 휴대폰과의 차이점은? 일상 생활에 있어서 스마트폰은 가장 중요한 IT 제품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다양한 앱을 이용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여러 기능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제 스마트폰은 단순히 사람들과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넘어 일상적인 일들을 수행하는데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 잡았다.
BB란 무엇인가? 이다. 여기서 BB란 손가락으로 스마트폰 화면의 어느 곳을 누르는 연산자(operator)이며 M이란 사용자가 생각하거나 지각하는데 필요한 행위를 나타내는 연산자, 그리고 T는 문자 입력에 필요한 키를 누르는 연산자이다. KLM 모델에 의하면 BB에는 0.
정보 격차가 고령화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Kim 등[3]은 중장년층의 인구통계 학적 특성에 의해 모바일 정보 이용행태를 연구하였는데 장년층은 모바일 정보 컨텐츠에 따라 활용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정보 격차 문제는 장년층에게 소외감을 불러일으키고 정서적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예컨대 정보 기술을 이용하는 장년층의 이용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다는 연구 결과가 그것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S. E. Bae, Smartphone Users Exceeded 50 million, Cookie News, 27th, Aug, 2018. 

  2. CPBC News, 22nd Senior Citizens day, Korea's Aging rate is Fast, 2nd, Dec. 2018. 

  3. K. H, Joo, D. S. Kim, J. H. Kim, "An Analysis of the Middle-aged Adults' Mobile Information Behavior Focused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49, No. 2, pp. 335-353, 2015. DOI: https://doi.org/10.4275/KSLIS.2015.49.2.335 

  4. M. Y. Kim, H. J. Jon, "The Influences of IT Use and Satisfaction with IT Use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 71, No. 1, pp. 85-110, 2016. 

  5. J. Y. Kim, S. H. KIM, Y. J. Cho, "The User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ge Gropes to Design Mobile Phone", J.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29, No. 3, 297-310, 2010 DOI: https://doi.org/10.5143/JESK.2010.29.3.297 

  6. J. Zhou, P. Rau, G. Salvendy, "Older Adults' use of Smartphone: An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New Functions",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Vol. 33, No. 6, pp. 552-560, 2014. DOI: https://doi.org/10.1080/0144929X.2013.780637 

  7. J. W. Choi, M. Y. Park, "A Design of Smartphone Dialog Message Considering Interrution Process by Age", Proceeding of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pp. 227-231, 2016. 

  8. H. Hwangbo, S. H. Yoon, B. S. Jin, Y. S. Han, Y. G. Ji, " A Study of Pointing Performance of Users on Smartphone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Vol. 29, No. 9, pp. 604-618, 2013. DOI: https://doi.org/10.1080/10447318.2012.729996 

  9. M. R. Back, H. H. Choi, H. Y. Lee, " Age-Specific Acceptance Intention over Wearable Smart Healthcare Devi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8, No. 12, pp. 3171-3189, 2015. 

  10. K. Arning, M. Ziefle, " Understanding Age Differences in PDA Performa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3, No. 6, pp. 2904-2927, 2007. DOI: https://doi.org/10.1016/j.chb.2006.06.005 

  11. S. K. Kim, H. W. Lee, " The Effect of Hangul Print Size on Reading Speed of Young and Older Adults in a Computer Environmen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Vol. 27, No. 3, pp. 367-384, 2015. DOI: https://doi.org/10.22172/cogbio.2015.27.3.003 

  12. M. Kobayashi, A. Hiyama, T. Ifukube, "Elderly User Evaluation of Mobile Touchscreen Interactions", INTERACT 2011: Human-Computer Interaction, pp. 83-99, 2011. DOI: https://doi.org/10.1007/978-3-642-23774-4_9 

  13. C. H. Yoon, "Usability Study of Different Types of Mobile Phones Using KLM Model",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10, 4700-4705, 2013. DOI: https://doi.org/10.5762/KAIS.2013.14.5.2081 

  14. W. Shin, D. Lee, M. Park, "Smart phone Adoption using Smart phone Us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lderly",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Vol. 31, No.5, 695-704, 2012. DOI: https://doi.org/10.5143/JESK.2012.31.5.695 

  15. S. Card, ,Applied Information Processing Psychology : The Human-Computer Interaction, Hillsdale, Erlbaum, 1983. 

  16. D. E. Kieras, , Towards a Practical GOMS Modal Methodology for User Interface Design. Handbook of HCI, M. Helander(ed), Elsevior Science Pub.,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