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고분자응집제 Biopol32의 산업폐수에 대한 응집활성 및 탈수효과
Flocculating Activity and Dehydration Efficiency of Biopolymer Flocculant Biopol32 i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9 no.3 = no.227, 2019년, pp.362 - 368  

이명은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  오나라 (주식회사 디아젠 기술연구소) ,  서현효 (국립경남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Pseudomonas sp. GP32가 생산하는 생물고분자 응집제 Biopol32의 실제 응용, 개발을 위하여 식품폐수, 도축폐수, 염색폐수에 대하여 응집효과를 검토하였다. 식품폐수의 경우 pH 6.0에서 70%의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감소율과 49%의 부유고형물(SS)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도축폐수에서는 pH 4.0에서 61%의 화학적산소요구량 감소율과 91%의 부유고형물 제거율을 보였으며, 염색페수의 경우 pH 5.0에서 72%의 화학적산소요구량 감소율과 92%의 부유고형물 제거율을 보였다. 응집과정에서 형성되는 floc의 크기는 Biopol32 용액을 최종농도 20 ppm으로 첨가하였을 때 10 mm였고 이때 탈수효율은 62%였다. 생물응집제 Biopol32 첨가구와 합성응집제 PAA 첨가구에서 탈수효율이 전반적으로 가장 좋은 응집제 첨가 농도는 20 ppm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이때 자연한계함수율(78.1%)에 이르는 최단의 여과시간을 얻을 수가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biopolymer flocculant Biopol32 produced by Pseudomonas sp. GP32, its flocculation effect on wastewater from food processing, slaughter houses, and the dyeing industry was investigated. In the food processing wastewater, Biopol32 led to a chemical oxyg...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flocculation activity for wastewater of food processing, slaughterhouse wastewater, and dyeing wastewater was studied for practical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biopolymer flocculant Biopol32 produced in this study. The use of flocculants in wastewater treatment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chemical oxygen demand and removing sus- pended solids through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of the suspended solids in the wastewater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ugh, W. A. 1975. Coagulation with chitosan. Poutry Sci. 54, 1904-1912. 

  2. Bikales, N. M. 1973.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 Water Soluble Polymer. pp.424. New York, Plenum Press. 

  3. Fridman, B. A. and Dugan, P. R. 1968. Identification of Zoogloea sp. and the relationship to Zoogloeal matrix and floc formation. J. Bacteial. 95, 1903-1909. 

  4. Gutcho, S. 1977. Waste treatment with polyectrolytes and other flocculants, pp1-37. Noyes Data Corp., Park Ridge, New Jersey. 

  5. Hirano, S., Kondo, S. and Ohe, Y. 1975. Chitosan gel. Polymer 16, 622-627. 

  6. Kang, S. M. 1990. Dehydration of activated sludge by filter press. Ph. D. Dissertation. Osaka University, Osaka, Japan. 

  7. Koizumi, J., Takeda, M., Kurane, R. and Nakamura, I. 1991. Synergetic flocculation of the bioflocculant extracellularly produced by Norcardia amarae. J. Gen. Appl. Microbiol. 37, 447-454. 

  8. Kurane, R., Takeda, K. and Suzuki, T. 1986. Screening for and characteristics of microbial flocculants. Agric. Biol. Chem. 50, 2301-2307. 

  9. Kurane, R., Toeda, K. Takedak, K. and Suzuki, T. 1986. Culture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microbial flocculant by Rhodococcus erythropholis. Agric. Biol. Chem. 50, 2309-2313. 

  10. Lee, M. E., Lee, H. D. and Suh, H. H. 2015.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Pseudomonas sp. GP32. J. Life Sci. 25, 1027-1035. 

  11. Nakamura, J., Miyahiro, S. and Hirose, Y. 1976.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microbial cell flocculant by Aspergillus sojae AJ7002. Agric. Biol. Chem. 40, 1341-1347. 

  12. Nakamura, J., Miyahiro, S. and Hirose, Y. 1976. Screening, isolation and some properties of microbial cell flocculants. Agric. Biol. Chem. 40, 377-383. 

  13. Takagi, H. and Kadowaki, K. 1985. Flocculant production by Pacilomyces sp. taxonomic studies and culture conditions for production. Agric. Biol. Chem. 49, 3151-3157. 

  14. Takagi, H. and Kadowaki, K. 1985. Purification and chemical properties of a flocculant produced by Pacilomyces sp. Agric. Biol. Chem. 49, 3159-3164. 

  15. Toeda, K. and Kurane, R. 1991, Microbial flocculant from Alcaligenes cupidus KT201. Agric. Biol. Chem. 55, 2793-2799. 

  16. Vanhoric, M. and Moens, W. 1983. Cacinogen of acrylamide. Carcinogensis 4, 1459. 

  17. Vincent, B., Bijsterbosch, B. H. and Lyklema, J. 1971. Competitive adsorption of ions and neutral molecules in the stern layer on silver iodide and its effect on colloid stability. J. Colloid Interface Sci. 37, 171-176. 

  18. Whistler, R. L. 1973. Algin, in Industrial Gums. pp 49-81. William H. M. and Pettitt, D. J. (ed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19. Whistler, R. L. 1973. Furcellaran, in Industrial Gums. pp 123-136. Petersen, E. B., Christensen, J. and Hemmingsen, P. (eds.), Academic Press, New York, U.S.A. 

  20. Whistler, R. L. 1973. Chitin, in Industrial Gums. pp. 465-468 Whistler, R. L.(ed.), Academic Press, New York, U.S.A. 

  21. Zajic, J. E. and Knettig, E. 1970. Flocculants from paraffinic hydrocarbons developments in industrial microbiology, pp. 87-98. American Institute of Biological Science, Washington DC. 

  22. Zaic, J. E. and Leduy, A. 1973. Flocculant and chemical properties of a polysaccharide from Pullularia Pullulans. Appl. Microbiol. 25, 628-6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