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규모 도서지역에서 관광객 및 숙박시설이 생활폐기물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urist and Accommodation on the Municipal Solid Waste Generation in the Small Island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7 no.1, 2019년, pp.15 - 22  

임지영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박상현 (옹진군청 환경녹지과) ,  송승준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조영근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진한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규모 도서지역인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의 신 시 모도와 장봉도를 대상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과 관광객 수 및 숙박시설의 영업장 면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8년 8월까지의 옹진군 북도면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지역의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2년 대비 2018년도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약 3.98배 증가하였으며, 관광성수기인 여름철은 겨울철에 비하여 2.43~9.39배의 높은 생활폐기물 발생량을 나타내었다. 도서 지역의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유입된 관광객 수에 영향을 받으므로 관광객들에 의해 버려진 생활폐기물의 발생량을 산정한 결과 2018년 8월 기준 관광객 1인이 1일 발생하는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0.839 kg/인 일로 분석되어 2013년 8월과 비교할 때 약 3.71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숙박시설의 영업장 면적은 2008년부터 2017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년 동안 약 8.32배 증가하였다. 숙박시설의 영업장 면적과 관광객 수와의 상관계수는 0.8418로 산출되었고, 숙박시설의 영업장 면적과 생활폐기물 발생량의 상관계수는 2015년 8월 전 후로 각각 0.9370 및 0.6025로 산출되었는데 2015년 이후 관광객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숙박시설은 부족한 반면,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증가하여 상관계수가 다소 낮게 나타나게 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MSW), number of tourists, and area of accommodation facilities of small island such as Shin, Si, Mo and Jangbong island in Ongjin county, Incheon for use as basic data for estimation of MSW generation. An analysis of st...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2년 9월부터 2018년 8월까지의 생활폐기물 발생량 자료를 근거로 하여 소규모 도서지역인 인천광역시 옹진군 북도면의 신ㆍ시ㆍ모도와 장봉도를 대상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과 관광객 수 및 숙박시설의 영업장 면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향후 생활폐기물 발생량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소규모 도서지역인 인천광역시 옹진군의 북도면을 대상으로 생활폐기물 발생량과 관광객 수 및 숙박시설 영업장 면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생활폐기물 발생량에 대한 예측을 통해 생활폐기물 수거체계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폐기물 관리법에서 생활폐기물의 정의는 무엇인가? 폐기물관리법에서는 생활폐기물을 사업장폐기물 외의 폐기물로 정의하고 있다4). 전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1인당 1일 생활폐기물의 발생량은 종량제를 시행하기 전인 1994년에 1.
소규모 도서지역에서 생활폐기물 발생량에 대한 예측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소규모 도서지역은 특성상 주거인원의 변화는 적으나 유입되는 관광객 수가 증가하면 관광객들로 인해 반입되고 소비되는 물품 등으로 인하여 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3). 즉, 관광객 유입 등의 기타 요인들에 의한 생활폐기물 발생량이 증가하게 되면 수거인력과 장비의 수요량 또한 증가 하게 되므로 효율적인 생활폐기물 수거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생활폐기물 발생량에 대한 예측이 반드시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illmott, L. and Graci, S. R., "Solid Waste Management in Small Island Destinations : A Case Study of Gili Trawangan, Indonesia", TEOROS, Special Issue, pp. 71-76. (2012). 

  2. Jeong, B. 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Wastes from Fishing Village in Small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13(3), pp. 181-186. (2010). 

  3. Chan, W. and Wong, K., "Estimation of weight of solid waste: Newspapers in Hong Kong Hotels",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30(2), pp. 231-245. (2006). 

  4. Ministry of Environment, WASTES CONTROL ACT, [Enforcement Date 29. May, 2018], (2018). 

  5.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Status of waste generation and disposal in Korea, (2017). 

  6. Kothari, R., Kumar, V., Panwar, N. L. and Tyagi, V. V., Municipal solid-waste management strategies for renewable energy options. In: Wang, L. (Ed.), Sustainable Bioenergy Production. CRC Press, Taylor & Francis, p. 267. (2014). 

  7. Mohee, R., Mauthoor, S., Bundhoo, Z. M. A., Somaroo, G., Soobhany, N. and Gunasee, G., "Current status of solid waste management in small island developing states: A review", Waste Management, 43, pp. 539-549. (2015). 

  8. Shanshiry, E., Behzad, N., Mokhtar, M., Komoo, I., Hashim, S. and Yahaya, N., "Integrated models for solid waste management in tourism regions: Langkawi Island, Malaysia",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Public Health, pp. 1-5. (2011). 

  9. Deschenes, P. J. and Chertow, M., "An island approach to industrial ecology: towards sustainability in the island context", Journal of Environmental Planning and Management, 47(2), pp. 201-217. (2004). 

  10. Diaz, L. F., "Resource and environmental management in islands", Waste Management, 27, pp. 325-326. (2007). 

  11. Douglas, C. H., "Editorial Small Island States and Territories: Sustainable Development Issues and Strategies-Challenges for Changing Islands in a Changing World", Sustainable Development, 14, pp. 75-80. (2006). 

  12. Mazzanti, M. and Zoboli, R., "Waste generation, waste disposal and policy effectiveness: evidence on decoupling from the European Union",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52, pp. 1221-1234. (2008). 

  13. Dangi, M. B., Pretz, C. R., Urynowicz, M. A., Gerow, K. G. and Reddy, J. M., "Municipal solid waste generation in Kathmandu. Nepal",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92, pp. 240-249. (2011). 

  14. Kim, M. S., Kim, S. H. and Song, J. J., "Research on Real Conditions of Domestic Solid Waste Treatment and Management in the Small Island of Yeosu",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Technology, 18(5), pp. 431-438. (2017). 

  15. Kang, J. Y., The research for improving and analyzing the collection factor of domestic waste in Seogwipo city, Jeju Research Institute. (2016). 

  16. Incheon Metropolitan City, Ongjin County. Statistical Yearbook, (2012-2017). 

  17. Dileep, M. R., "Tourism and Waste Management: A Review of Implementation of "Zero Waste" at Kovalam", Asia Pacific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2(4), pp. 377-392. (2007). 

  18. Yoon, H. Y. and Yoon, S. M., A study of recirculation system for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in island area of Ongjin,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2017). 

  19. Incheon Metropolitan City, Ongjin County. Statistical book (internal data) (2008-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