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외 도입 열대·아열대 작물의 국내 재배실태 및 과제
Current Situations and Prospects on the Cultivation Program of Tropical and Subtropical Crop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2 no.1, 2019년, pp.45 - 52  

김창영 ((사)농산업발전연구원) ,  김영호 ((사)농산업발전연구원) ,  한신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약용작물과) ,  고호철 (농촌진흥청 기획조정관실 고객지원담당관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 적응과정에서 도입 작물의 국내 재배실태를 조사하고 대응과제를 도출코져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입 열대 아열대 채소 재배현황(2015년 기준)은 18작목으로 재배농가수는 920농가, 재배면적은 321 ha로 조사 추정되었고, 재배면적이 많았던 작물은 울금, 여주, 아스파라거스, 삼채, 허브류 순이었다. 도입 열대 아열대 과수류 재배 현황은 2015년 국내재배 농가수와 재배면적은 264농가 106.5 ha로 추정되며, 전년대비 각각 51.7%와 83.7% 증가하였다. 도입 특약용작물 재배현황(2015년 기준)은 10작물로 753농가에서 재배면적 276.3 ha로 조사 되었으며 재배면적이 많았던 작물은 강황, 감초, 마카, 모링가, 포포나무 순이었다. 도입 열대 아열대 작물의 국내 재배가 안정적으로 정착되기 위해서는 국내 재배적응성 검정에 의거 재배환경면에서의 안전성과 경제성이 있어야 하며, 생산물의 이용과 유통 및 판로의 확보 문제, 외국현지 수입산과의 경쟁력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고, 국가 간 이동에 따른 생물다양성협약 등 국제협약 및 국내 종자산업법에 의하여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rocess of adapting climate change,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policy and technical support necessary for growing promising crops imported from abroad.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rvey and analyze the conditions of growth of imported foreign crops and to derive response task...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과거에는 국내에서 재배가 불가능하였던 열대·아열대 작물이 기후온난화로 인하여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고 재배 품목 및 지역이 증가하고 있으나 이들 외국도입 작물의 국내 재배현황이나 재배기술 등과 같은 기초 자료가 부족한 실정으로, 기후변화 적응과정에서의 고소득 유망작물의 국내 도입 재배에 필요한 정책적·기술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대응과제를 도출하기 위하여 국외 도입 작물의 국내 재배현황 및 실태 조사를 실시하였다.
  •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국외도입 열대·아열대 작물 및 약용식물의 재배실태를 현황파악 차원에서 개괄적으로 조사하였다.
  • 기후변화 적응과정에서 도입 작물의 국내 재배실태를 조사하고 대응과제를 도출코져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입 열대·아열대 채소 재배현황(2015년 기준)은 18작목으로 재배 농가수는 920농가, 재배면적은 321 ㏊로 조사 추정되었고, 재배면적이 많았던 작물은 울금, 여주, 아스파라거스, 삼채, 허브류 순이었다.

대상 데이터

  • 작목선정은 그동안 재배되고 있던 지역의 예비조사와 정보 자료를 기초로 하여 채소류는 오크라(Abelmoschus esculentus), 삼채(Allium hookeri), 아피오스(Apios americana), 아스파라거스(Asparagus aethiopicus), 인디언시금치(Basella alba), 왕토란(Colocasia esculenta), 울금(Curcuma aromatica), 아티쵸크(Cynara cardunculus), 허브류(Herbs), 공심채(Ipomoea aquatica), 아이스플랜트(Mesernbryanthemum crystallinum), 여주(Momordica charantia), 바질(Ocimum americanum), 얌빈(Pachyrhizus erosus), 동남아채소(Sautheast Asia vegetables, 박실라오, 광뚱, 라오람 등), 챠요테(Sechium edule),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초석잠(Stachys japonica) 등 18작물을(Table 1 참조), 과수류는 파인애플(Ananas comosus), 아떼모야(Annona squamosa x cherimola), 파파야(Carica papaya), 용과(Hylocereus undatus), 망고(Mangifera indica), 바나나(Musa acuminata), 패션푸르트(Passiflora edulis), 아보카도(Persea americana), 구아바(Psidium guajava) 등 9작물을(Table 3 참조), 특작·약용작물은 아마란스(Amaranthus blitum), 그라비올라(Annona muricata), 포포나무(Asimina triloba), 퀴노아(Chenopodium quinoa), 강황(Curcuma longa), 감초(Glycyrrhiza uralensis), 명월초(Gynura procumbens), 마카(Lepidium meyenii), 모링가(Moringa oleifera), 밀크시슬(Silybum marianum) 등 10작물을(Table 6 참조) 대상으로, 2015년을 기준년도로 하여 재배지역, 재배농가수 및 재배면적 등을 농촌진흥청 및 지방농촌진흥기관(도 및 시·군) 등의 협조 하에 2016년 4월~10월 기간 중에 조사하였다.
  • 작물별 재배농가수는 강황이 539농가로 월등히 많았고, 다음이 감초 75농가, 마카70농가였으며 모링가, 포포나무, 그라비올라, 아마란스는 18~13농가, 명월초, 퀴노아, 밀크시슬은 5~2농가 이었다. 재배면적은 강황이 219 ㏊, 감초 42 ㏊이었고, 다음으로 마카, 모링가, 포포나무, 아마란스, 명월초, 그라비올라, 퀴노아, 밀크시슬 순으로 7.2~0.2 ㏊이었다.
  • 국내에서 재배되는 외국 도입 특작·약용작물 조사결과는 Table 6에서와 같다. 조사된 작물은 아마란스, 그라비올라, 포포나무, 퀴노아, 강황, 감초, 명월초, 마카, 모링가, 밀크시슬 등이었으며, 이들 10작물의 재배 농가수는 753농가, 재배면적 276.3 ㏊이었다. 작물별 재배농가수는 강황이 539농가로 월등히 많았고, 다음이 감초 75농가, 마카70농가였으며 모링가, 포포나무, 그라비올라, 아마란스는 18~13농가, 명월초, 퀴노아, 밀크시슬은 5~2농가 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온과 작물의 재배의 관계는? 기후변화는 모든 산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전통적으로 기후 의존적 산업인 농업에 대한 영향이 가장 클 것으로 전망된다. 기온은 작물의 재배가능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성장뿐 아니라 개화 및 결실시기와 재배지역까지 결정하게 된다. 한라봉은 전북 김제까지, 무화과는 충북 충주까지, 포도는 강원 영월까지, 사과는 경기 포천까지, 녹차는 강원 고성까지 북상하고 있으며, 온난화로 인하여 여름철 채소의 주산지인 고랭지 채소재배 면적도 점차 감소 추세이고, 현재 국내 제주 및 남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망고와 참다래 등 아열대 농산물이 고수익성 상품으로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7).
과거에는 국내에서 재배가 불가능하였던 열대·아열대 작물을 재배할 수 있는 이유는? 최근의 지구온난화에 의한 기후변화에 대한 UN 산하 IPCC(정부간기후변화위원회)의 5차 평가보고서에서 지난 133년(1880~2012년)간 지구의 평균기온이 0.85℃ 상승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지구온난화는 기온상승과 함께 기후시스템에 전반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관측된 기후변화의 주요 원인이 대기 중의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하기 때문이며, 현재와 같은 추세로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하는 경우 21세기 말(2081~2100년) 지구평균기온은 현재(1986~2005년)에 비해 3.
농업의 기원은? 인류는 농업이 시작되기 전에는 오랫동안 야생 동식물을 대상으로 수렵과 채집에 의존하여 생활을 영위하여 왔으며, 그 후 작물적 가치가 우수한 것을 골라서 자기 주변에 심고, 가꾸고, 수확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것이 농업의 시작이며, 그 시기는 최후의 빙하기가 끝나고 지구의 기온이 현재와 비슷해진 약 1만 여년 전으로서 인류는 그 동안 수많은 식물들을 순화시켜서 작물화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