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에너지 전환정책과 발전의 사회적 비용 -제7차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비교-
Energy Transition Policy and Social Costs of Power Generation in South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경제연구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v.28 no.1, 2019년, pp.147 - 176  

김광인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  김현숙 (숭실대학교 경제통상대학 경제학과) ,  조인구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한양대학교 경제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균등화 발전비용에 대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전원 구성에 있어서 원자력의 비중이나 이용률이 발전의 사회적 비용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도출한다. 원전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도록 설계되었던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원전의 비중을 축소하고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비중을 증가시킨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비교하여 전원 믹스에 따른 발전의 사회적 비용, 발전단가, 전기요금의 변화 정도를 추정한다. 8차 수급계획의 환경급전 관련 변수를 고려하고, 국내 두 기관의 균등화 발전비용 연구결과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 사회적 비용은 향후 10년 내에 22%까지 증가할 수 있고, 직접적인 전력생산비용에 기초하고 있는 발전단가 역시 22% 증가하고, 전기요금은 최대 18%까지 증가할 수 있음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른 전원믹스는 발전에 따른 외부 비용까지 고려한 사회적 비용차원에서 검토할 경우 7차 수급계획의 전원믹스와 비교할 때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킨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uses research on the Levelized Cost of Electricity (LCOE) in South Korea to conduct a simulation analysis on the impact of nuclear power dependency and usage rates on the social costs of power generation. We compare the $7^{th}$ basic plan for long-term electricity supply and d...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국내의 균등화 발전비용 산정의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원전의 설비를 제7차 수급계획대비 제8차 수급계획으로 전환할 경우, 즉 원전의 비중을 제7차 수급계 획에 비해 축소할 경우 각 전원별 균등화 발전비용으로 산정한 사회적 비용의 변화가 어느 정도인지 추정하려고 한다. 우리나라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대한 평가가 학술적으로 활발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원전부지에 신규호기를 건설한다는 현실적으로 실현 가능한 7차 수급계획에 따른 원전용량 유지 및 확대 시나리오 대비 신재생에너지를 7차 계획당시보다 더 확대하고 여러 가지 환경적 요인을 고려하여 원전을 축소하는 8차 수급계획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원별 발전량의 변화와 사회적 비용의 크기를 비교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용한 환경급전과 관련된 세 가지의 제약조건은 ①탄소배출 수준을 8차 수급계획 수준이하로 유지하며 ②석탄발전소의 감발을 통해 미세먼지 수준을 8차 수급계획 예측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가정, ③8차 수급계획 상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용량과 발전량을 주어진 조건으로 가정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원전의 발전용량을 7차 수급계획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위의 제약조건들을 고려한 균등화 발전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화 모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균등화 비용을 계산하는 것이 주요한 목적이 아니므로 기존의 두 가지 연구 즉 에너지경제연구원(2017)과 산업조직학회(2017)가 산출한 내역을 간단하게 기술하고 이 두 기관의 추정치를 이용하여 발전원의 구성변화에 따른 비용을 산출한다. 두 기관의 비용 산정에 대한 비교분석은 제3의 평가자문위원2)에 의해 한차례 이루어진바 있다.
  • 7%로 증가한다. 본 연구에서는 만약 8차 수급계획이 아니라 7차 수급계획에 따라 원전을 유지 및 확대할 경우에 이에 따른 발전량의 변화와 균등화 발전비용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원전의 발전용량을 7차 수급계획 수준으로 유지할 경우의 전원별 발전량과 균등화 발전비용을 추정한다. 단 원자력발전의 대체 전원 및 대체발전량은 석탄발전, 가스복합발전으로 가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력소비 증가율의 실적치를 반영하고 보다 보수적으로 전력수요 증가추세를 고려한 8차 수급계획에서 제시한 소비량 추정치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한다. <표 4>에서 나타나듯이 8차 수급계획에서는 7차 수급계획에 비해 연도별로 수요예측치가 적게는 7%에서 많게는 25%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두 기관의 비용 산정에 대한 비교분석은 제3의 평가자문위원2)에 의해 한차례 이루어진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핵심적인 부문에 대한 두 기관의 분석 내용을 요약하고 본 연구에서 이용한 두 연구기관의 산정 값에 대해 논의한다. 두 연구기관 모두 발전원별로 원자력, 석탄, 가스복합에 대한 대표발전기의 발전설비용량은 각각 1,400MW 3), 1,000MW, 900MW로 설정하고 있고, 에너지경제연구원(2017)이 산정한 건설비, 연료비, 운전유지비는 고정비와 변동비로 반영되는 비용이며, 송전접속비용은 일종의 발전소 단위비용을 뛰어넘는 시스템 비용으로 고정비와 변동비로 구분되어 균등화발전비용에 포함된 비용요소이다.
  •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전원구성의 변화가 전력의 생산비용인 사적 비용을 넘어 환경비용이나 사고위험까지 고려한 사회적 비용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 하는 것이다. 특히 가장 최근의 8차 전력수급계획의 전원구성과 그 이전의 7차 수급계획 상의 전원구성의 방향이나 전원구성 비중의 변화가 크므로 두 계획의 차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차이를 분석하고자한다.
  • 본 연구에서 이용한 연간 분석 기간은 2020년에서 2031년까지이다. 분석기간 동안 연 단위로 사회적 비용을 망라한 균등화 발전비용을 최소화하는 것이 목적함수이다. GRt는 신재생에너지의 시간당 발전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약조건(1)은 연간단위로 산정할 때 8차 수급계획에 따른 시간당
  • 전원별 사회적 비용의 추정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나 이미 산출된 선행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전원구성의 변화가 가져올 사회적 비용의 차이에 대해 분석하는 것 역시 매우 중요하며 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되는 연구이다. 전원별 균등화 발전비용의 분석이 개별전원별 경제성을 분석한 것이라면 본 연구에서 중점을 둔 것은 전체 전원 용량구성과 각 전원의 이용률이 사회적 비용의 총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발전원별 고정비와 변동비 수준을 넘어 시스템 관련 비용, 외부환경관련 비용까지 망라한 사회적 비용의 추정치에 기초하여 전원계획에 따른 사회적 총비용의 격차를 비교하는 것은 국가의 전원계획에 따른 사회적총비용을 양적으로 계량하여 분석한다는 차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본 연구의 주요한 목적은 전원구성의 변화가 전력의 생산비용인 사적 비용을 넘어 환경비용이나 사고위험까지 고려한 사회적 비용에 어느 정도의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 하는 것이다. 특히 가장 최근의 8차 전력수급계획의 전원구성과 그 이전의 7차 수급계획 상의 전원구성의 방향이나 전원구성 비중의 변화가 크므로 두 계획의 차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의 차이를 분석하고자한다. 7차 수급계획 역시 현실적으로 가능한 발전원 구성을 고려하여 산정된 것이고, 8차 수급계획 역시 사후적(ex post)으로 계획과 실적치에 차이가 있을 수는 있으나 현실적으로 가능하다는 전제하에 수립된 국가의 장기적 계획이므로 두 계획의 전원구성을 비교하는 것은 단순한 가정을 넘어 현실적으로 실행 가능한 두 개의 시나리오라 볼 수 있다.

가설 설정

  • 정부의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전력수요를 과대 추정하여 2016년과 2017년 기준으로 각각 제7차 수급계획의 전망치는 510TWh, 533TWh인 반면 실제 전력소비량은 497TWh, 506TWh에 머물렀다. 2007~2011년의 전력수요 증가율은 5.5%인 반면 2012~2016년 증가율은 1.8%로 낮아졌으나 제7차 수급계획에서는 4% 이상의 증가율을 가정하였다. 8차 수급 계획은 전기차 보급 등 4차 산업혁명 등에 대한 추가수요를 고려하되 이와 같은 실적치 이상의 수요추정 문제와 수요자원관리가 수요 추정에 포함되지 않았던 문제를 중점적으로 반영하여 7차 수급계획에 비해 낮아진 전력수요량을 제시하였다.
  • 또한 원전 발전량 증가 이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증가 이후의 배출량이 최소한 동일하도록 설정하는데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의 억제를 환경을 고려한 전력계통 운영의 핵심요소로 설정했음을 의미한다. 나아가 8차 수급계획에서 반영한 미세먼지 저감 조치와 탄소배출량을 고려하여 8차 수급계획에 따라 운전될 경우의 석탄발전 상한제 약의 예상치인 석탄발전 용량의 70%이하(2020년 기준)로만 석탄발전량을 출력할 수 있다는 가정을 반영한다.
  • 본 연구에서는 원전의 발전용량을 7차 수급계획 수준으로 유지할 경우의 전원별 발전량과 균등화 발전비용을 추정한다. 단 원자력발전의 대체 전원 및 대체발전량은 석탄발전, 가스복합발전으로 가정한다. 신재생에너지발전의 경우에는 탈 원전 정책과 관계없이 발전용량과 발전량 증가가 8차 수급계획에서 설정된 수준에서 유지된다고 가정한다9) .
  •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이용한 환경급전과 관련된 세 가지의 제약조건은 ①탄소배출 수준을 8차 수급계획 수준이하로 유지하며 ②석탄발전소의 감발을 통해 미세먼지 수준을 8차 수급계획 예측 수준으로 유지한다는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가정, ③8차 수급계획 상의 신재생 에너지 발전용량과 발전량을 주어진 조건으로 가정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원전의 발전용량을 7차 수급계획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위의 제약조건들을 고려한 균등화 발전비용을 최소화하는 최적화 모형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 이용한 균등화 발전비용은 세 가지 전통전원 모두 이용률 80%를 가정하여 산출한 것이다. 8차 수급계획에 따른 사회적 비용 추정 시 전원별 이용률은 원자력 약 80%, 석탄 62%~70%, 가스복합 22%~30% 수준으로 석탄과 가스복합의 이용률이 감소 해간다.
  • 단 원자력발전의 대체 전원 및 대체발전량은 석탄발전, 가스복합발전으로 가정한다. 신재생에너지발전의 경우에는 탈 원전 정책과 관계없이 발전용량과 발전량 증가가 8차 수급계획에서 설정된 수준에서 유지된다고 가정한다9) . 또한 원전 발전량 증가 이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증가 이후의 배출량이 최소한 동일하도록 설정하는데 이는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의 억제를 환경을 고려한 전력계통 운영의 핵심요소로 설정했음을 의미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배출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노력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또한 탄소배출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노후석탄 가동을 중지하고 대기오염경보 발령 등 미세먼지 감축이 필요한 경우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석탄발전의 상한을 제약할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8차 수급계획의 탄소배출과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제약조건을 추가하여 비용최적화 모형을 구성한다.
균등화 발전비용이 재생에너지 발전원의 비중이 높은국가에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균등화 발전비용은 재생에너지 발전원의 비중이 높은 국가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측면이 있다. 계통에 대한 접속과 관련하여 시스템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나 발전용량 (capacity)의 가치 등을 반영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1). Pawel(2014)는 태양광과 저장용 장치가 결합된 발전기의 균등화발전비용을 도출하여 신재생 전원의 간헐적 발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보조서비스(ancillary service) 등을 포함한 시스템의 불안정성을 내부화하는 모형을 제시하고 있고 전력경제REVIEW(2019)는 신재생에너지의 간헐성에 대응하는 각국의 방안에 대해서도 소개하고 있다.
균등화 발전비용이란 무엇인가? 균등화 발전비용은 일종의 평균비용 개념으로 단기가 아닌 여러 기간에 걸쳐 생산과 비용발생이 이루어지고 기간별로 생산량이나 비용의 변동이 심할 때 이를 기간에 따라 균등화하여 정의하는 비용이다. 균등화 발전비용은 여러 가지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에너지 관련 비용 산정 특히 전원별 경제성 평가에 있어서 전 세계적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개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노동석, 원자력발전의 경제적.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전원믹스 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2013. 

  2. 문영석.노동석.조상민, "에너지믹스 변화의 추정: 신재생확대 시나리오", 에너지경제연구, 제10권 제2호, 2011, pp. 169-186. 

  3. 산업조직학회, 전통전원 및 재생에너지 균등화발전비용의 전망과 향후과제, 간담회 발표자료, 2017.12. 

  4. 산업통상자원부,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15.7 

  5. 산업통상자원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017.12 

  6. 에너지경제연구원, 발전원별 균등화 발전비용 추산, 간담회 발표자료, 2017.12. 

  7. 에너지경제연구원, 원자력발전의 경제적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전원 믹스 연구, 기본연구보고서, 2015, pp. 15-24. 

  8. 일본 경제산업성, 장기에너지 수급전망 소위원회에 대한 발전비용 등의 검증에 관한 보고, 2015 

  9. 전력경제REVIEW, 주요국 신재생발전 간헐성 대응동향, 2019.3. 

  10. 조성진.박찬국, 원자력발전의 경제적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전원믹스 연구(제3차년도), 에너지경제연구원, 2015. 

  11. 조영탁.박종배, 우리나라 균등화 발전비용 산정결과 비교평가 -산업조직학회와 에너지 경제연구원의 연구결과 비교-, 2017.12. 

  12. 조영탁.석광훈.박종배,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국내 주요 발전기술의 균등화 발전비용 산정", 전기학회논문지, 제67권 제2호, 2018, pp. 170-185. 

  13. 최봉석.박찬국, 원자력발전의 경제적.사회적 비용을 고려한 적정 전원믹스 연구(전원별 외부비용추정), 에너지경제연구원, 2014. 

  14. Borenstein, S., "The Private and Public Economics of Renewable Electricity Generation", Journal of Economic Persepctives, Vol. 26, No. 1, 2012, pp. 67-92. 

  15. Brown, A., P. Beiter, D. Heimiller, C. Davidson, P. Denholm, J. Melius, A. Lopez, D. Hettinger, D. Mulcahy, and G. Porro, Estimating Renewable Energy Economic Potential in the United States: Methodology and Initial Results, NREL, 2016. 

  16. European Commission, External Costs: Research results on socio-environmental damages due to electricity and transport, Community Research, 2003. 

  17. ExtermE, ExternE - Externalities of Energy - Vol. 5: Nuclear, European Commission, Document EUR 16524, Brussels/Luxemburg. 

  18. Grausz, S., The Social Cost of Coal: Implications for the World Bank, World Bank, 2011. 

  19. IEA, Projected Costs of Generation Electricity 2015 Edition, 2015. 

  20. Jowkow, P., "Comparing the Costs of Intermittent and Dispatchable Electricity Generating Technologies",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101, No. 3, 2011, pp. 238-241. 

  21. Namovicz, C., Modeling Intermittent Resources, EPRI, 2014. 

  22. Parry, I., D. Heine, E. Lis, and S. Li, Getting Energy Prices Right: From Principle to Practice, IMF, 2014. 

  23. Pawel, I., "The cost of storage-how to calculate the levelized cost of stored energy(LCOE) and applications to renewable energy generation", Energy Procedia, Vol. 46, 2014, pp. 68-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