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Plan of Fire Safety Performance for Public Building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4, 2019년, pp.25 - 32  

구재현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학과)

초록

소방활동 관점에서 공동주택은 화재시 구조적 관리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피난장애 발생 및 연소확대 위험성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공동주택의 다양한 화재취약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안전시스템, 소방시설, 건축물 안전, 일반안전 분야로 평가분야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른 평가요소들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6개의 국내외 공동주택 화재안전성능 인증제도 현황을 비교분석함에 따라 국내외 인증제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인증제도의 5개의 융합적 추진방향 및 4개 평가분야별 22개 평가항목들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3개의 공동주택 화재안전성능 인증제도의 융합적 도입 방안을 수립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the viewpoint of fire-fighting activities, public building have structural and management problems in fire, so evacuation disturbance and risk of expanding combustion are high. As a result of analyzing various fire fragile factors of public building, The evaluation areas were derived from safet...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 평가방안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의 화재안전 취약요인 조사 및 국내외 관련 인증제도 분석 결과를 통하여 화재안전성능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 인증제도 도입방안을 수립하였다. 향후 본 연구결과는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 강화를 통한 자율적인 화재예방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공동주택의 화재안전성능 인증제도 방안에 관한 것으로, 공동주택에 대하여 화재시 소방활동 문제점, 화재안전 취약요인 및 국내외 인증제도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화재안전성능 평가분야별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화재안전성능 인증제도 도입방안을 제시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공동주택에 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공동주택은「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제15조에 따라 30개의 특정소방대상물중 아파트와 기숙사로 구분되어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은 소방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국내 공동주택에 대한 규범위주의 소방안전 체계의 한계성이 증가하고 있는 분위기속에서, 급변하는 선진 소방환경에 매칭되는 화재안전성 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다[2].
공동주택의 화재위험성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특히, 공동주택은 과거와 비교하여 복합적이고 다양한 잠재적 화재위험요소가 서로 상존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종류의 가연물 등에 기안하여 단위면적당 화재하중의 증가에 따라 화재위험성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건물규모가 소규모이고 건축주의 자발적인 화재안전의식의 부족의 예시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국내 대부분의 공동주택은 과거 설계 당시에 화재안전 사항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구조설계 적용 건축물이며, 이는 건물규모가 소규모이고 건축주의 자발적인 화재안전의식의 부족에 기인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반 건축물에 적용되는 쌍방향 피난통로 확보도 고려되지 않고 피난통로가 주출입구만 설치된 경우가 대부분으로 화재시 취약요인임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주택은 방범 상 피난통로가 되는 발코니와 창문을 방범창으로 폐쇄함에 따라 심각한 피난장애물이 되고 있다. 또한, 지하층 화재의 경우, 출입구가 폐쇄될 경우 탈출로가 전혀 없으며, 화재유형도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훈소(燻燒) 화재로 진행되어 다량의 연기 발생 가능성이 있으나, 연기배출 제어설비 설치가 미비한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 C. Choi (2017). A Study on Evaluation Method of Fire Safety Performance for Fire Safety Improvement of High-rise Buildings. Seoul : Korea Fire Protection UBIS Co. Ltd. 

  2. National Fire Agency (2018). Enforcement Decree of the Act on Fire Prevention and Installation, Maintenance. and Safety Control of Fire-Fighting Systems. Article 15. 

  3. Ministry of Land, Infratructure & Transport (2018). Housing Act. Article 2, 39. 

  4. S. A. Kim (2005). A Study on Performance Classification System for Public Building.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5. Ministry of Education (2017). Framework Act on Education, Article 28. 

  6. Statistics Korea (201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Total Count Results [Online]. https://sgis.kostat.go.kr 

  7. I. J. Lee (2017. 2. 23). General Housing, Vulnerable to Fire. More than half of Fire Fatalities Occur in General Housing. Korea JoongAng Daily. 

  8. National Fire Agency (2018). National Fire Data System [Online]. https://nfds.go.kr 

  9. M. J. Lee, H. H. Kang, B. S. Kwon & M. J. Kim (2007), Experimental Study on the Sound Attenuation of the Fire Alarm Sounder System in Apartment Buildings.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 Vibration Engineering, 2007 Spring Conference, 1-7. 

  10. H. C. Shin (2012). Development of fire safety standards for high-rise buildings. Seoul : Korea Sire Safety Association. 

  11. C. W. Lee (2016. 2. 29). How Secure is the Apartment. SobangNews. 

  12. J. Y. Lee (2015). Development of Fire Safety Policy for National Fire Safety Base Expansion. Seoul : Chung-Ang University. 

  13. B. S. Kang & K. H. Lee (2016), Fire Alarm Solutions Through the Convergence of Image Processing Technology and M2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1), 37-42. 

  14. G. G. Koo & D. H. Lee (2015), A Study on The Lifetime of Field Work Flame Retardant Products.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2015 Spring Conference, 7-8. 

  15. H. B. Hwang & S. H. Min (2016), A Study on Standardization of the Underground Safety Zone of the High-rise Buildings. J. Korean Soc. Hazard Mitig., 16(5), 173-179. 

  16. E. H. Hwang, J. H. Choi & D. M. Choi (2018), A Study on the Effective Methods of Securing the Golden Time of Fire Engine Move Out. J. Korean Soc. Hazard Mitig., 18(5), 119-126. 

  17. National Fire Agency (2018). Provision of Preventive Fire Service. Article 3. 

  18.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2017). Act on the Indemnification for Fire-caused Loss and the Purchase of Insurance Policies. Article 11. 

  19. C. H. Baek, S. A. Kim & H. J. Yang (2017), Comparison of New Construction and Existing housing on Assessment Items and Criteria in the Japan Housing Performance Grading Indication System.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17 Spring Conference, 177-178. 

  20. J. H. Kim & T. K. Oh (2016), A Cas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isk Assessment by Worker-Oriented Safety Circle Discussion in Construction Industry by the Surve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31(5), 82-88. 

  21. M. S. Song (2015), Convergence Models of Evaluation System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6(5), 115-122. 

  22. H. J. Jung (2016), The Software Quality Testing on the basi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ISO/IEC 25023.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35-41. 

  23. S. R. Moon & J. H. Cho. (2019). Study on IoT-based Map Inside the Building and Fire Perception Syst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 85-90. 

  24. B. M. Lee & J. I. Park, U. G. Kang. (2012).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al-time Automatic Disaster and Information Broadcasting Syste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7), 141-152. 

  25. B. C. Chung & W. S. Na. (2016). A Study on the Smart Fire Detection System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3), 37-41. 

  26. Y. I. Kwon & S. J. Jeong (2017). Implementation of Home Security System using a Mobile App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4), 91-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