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대역대 활성광촉매를 활용한 융·복합 구조 공기살균정화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ir-sterilization purification system of fusion and composite structure using broadband-to-active photocatalys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4, 2019년, pp.147 - 151  

윤승배 (한성대학교 스마트융합컨설팅학과) ,  황윤정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창업경영컨설팅학과) ,  김승천 (한성대학교 IT융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인들은 가정, 학교 혹은 직장, 병원, 쇼핑몰, 지하철역과 객실, 주차장 등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보내게 된다. 이렇듯 실내에 갇힌 현대인들은 갇힌 공기 속에서 살아갈 수밖에 없다. 이에 실내 공기질 향상을 위한 공기정화장치는 많이 개발되었으나 대다수의 공기정화장치는 필터에 의한 필터링과 유해세균 살균방식에 있어 자외선이라는 제한된 영역에서의 살균방식에 국한 할 수밖에 없었다. 여기서는 실내 공기질 향상은 물론 원천적으로 실내공기중의 부유 세균을 제거하고,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에서도 활동하는 광촉매를 적용한 미디어광촉매필터를 활용한 광대역대 활성광촉매를 활용한 융 복합 구조 공기살균정화장치 개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ern people spend most of their daily lives in their homes, schools, or workplaces, hospitals, shopping malls, subway stations, rooms, and parking lots. According to the survey, air quality management at the multi-use facility is less than 50% satisfied. In this study, a photocatalytic filtration ...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공기 살균정화기술은 흡입 및 방출 방식이 융·복합된 공기살균시스템으로 자외선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도 활성화되는 새로운 광촉매기술과 타원형 및 격자형 구조를 갖는 공기살균정화장치를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다[1-4].
  • 공기살균정화기술은 오염된 실내공기를 특화된 광대역대 광촉매기술을 이용하여 흡입과 배출과정에서 오염원을 제거하는 공기살균정화시스템으로써, 핵심기술을 개발하여 실내오염물질 저감 제품으로 확장함으로써 다양한 기술적인 파급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비용을 절감하고 실내 환경 산업에 기여하며,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기술로 경제 및 산업적인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기술적인 측면과 경제 및 산업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기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기살균정화장치의 3개의 모듈은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이와 같이 설계된 공기살균정화장치는 크게 3개의 모듈로 구성되어 있는바, 먼저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모듈, 흡입된 공기를 살균 및 정화하는 살균.정화 모듈, 살균.정화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토출 모듈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공기살균정화장치의 내부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공기의 흐름이나 살균 되는 공기의 양에 제한을 받지 않도록 내부 구조의 굴곡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였다.
기존 공기살균정화기술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방식의 구조는 여러 가지 단점으로 구조가 복잡하여 수리 및 정비가 용이하지 않고, 필터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여기서는 각 부품을 모듈(module)식으로 구성하여 각 모듈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모듈화된 구성품은 모듈별로 분리하여 교체 및 수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공기살균정화기술은 무엇인가? 공기살균정화기술은 기존 공기살균기(청정기)의 취약한 정화성능을 획기적으로 보완할 수 있는 기술로, 광대역대 미디움광촉매 및 세라믹 bead 광촉매모듈에 의한 흡입형 살균정화기술을 통해 부유세균 및 바이러스 등 실내오염물질에 대한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 S. Jeong. (2015). Introduction to Air Pollution. Paju : Shinkwang Cultural History. 

  2. S. O. Beck. (2014). Urban areas Hazardous Air Pollutants (HAPs) monitoring. Incheon :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 Y. N. Jeon. (2014). Pollution Prevention Techniques. Paju : Cheongmungak. 

  4. H .Y. Inoue, (2014). The Secret Killer Ultrafine Dust PM 2.5. Seoul : Jeonnamusup. 

  5. S. Y. Jo. (2015). A Study on Concentration Characteristics and Secondary Production of Fine Particulate Matters(PM2.5) by Region. Inche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6. Y. J. Choi. (2015). A Study on Indoor Air Quality Management of Welfare Facilities in Seoul: Focusing on Day Nurseries and Senior Citizens Center. Seoul : The Seoul Institute. 

  7. Y. J. Choi. (2013). A Study on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in Homes. Seoul : The Seoul Institute. 

  8. Friends consulting. (2016). A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a Fusion Composite Air Disinfection System with Wide Band - to - Active Photocatalyst and Ion Cluster Generation Module. Seoul : Friends consulting. 

  9. I. S. Yoo. & S. D. Na. (2015). Air Sterilization/Purification Device having Elliptical Tube-Shaped Photocatalyst Module and Ion Dluster Generation Module. Gyeonggi-do : International Application Published with International Search Report. 

  10. D. H. Kim. (2015). Hybrid nanostructure thin film photocatalyst. Seoul : Ewha Womans University Industry Collaboration Foundation patent 

  11. Y. H. Lee, Y. J. Choi. & J. O. Choi. (2017). Convergence Evaluation of Indoor Air Measurement in Medical Institu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71-76. DOI : 10.15207/JKCS.2017.8.1.701 

  12. J. W. Lee & J. S. Yang (2018). Backcasting of Future Energy Service Industry based on Energy-A ICBM technology onvergen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Cociety, 9(7), 33-40 DOI : 10.15207/JKCS.2018.9.7.033 

  13. J. G. Kim, J. M. Park. (2015). A Study on Design Method depending upon Low Carbon Green Architecture of Big Medical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5(4), 987-996. 

  14. Y. W. Song, Y. K. Yang, T. W. Kim, M. Y. Kim, & J. C. Park. (2018). A Study on the Reduction of Indoor Air Pollutants by Photocatalytic.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8(2), 290-291 

  15. D. W. Kim, D. H. Je, & K. B. Ji. (2018) The Removal of Indoor Suspended Microorganisms of Eco-friendly Antimicrobial Copper Net Filter.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4), 311-316 IOD : 10.5762/KAIS.2018.19.4.3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