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리카 베이스 무기 바인더 기반의 TiO2 코팅액의 제조 및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iO2 coating solution with silica-based inorganic binder 원문보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crystal growth and crystal technology, v.29 no.2, 2019년, pp.71 - 76  

강우규 (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김혜진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  김진호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  황광택 (한국세라믹기술원 이천분원) ,  장건익 (충북대학교 신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동화 시스템이 일반화되면서 제품 관리를 위한 라벨지(label)의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라벨지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인쇄회로기판의 경우 제작 과정에서 $300^{\circ}C$ 이상의 리플로우 솔더링 공정과 여러 차례의 세정 공정을 거치기 때문에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바코드 라벨지(barcode label)가 사용되고 있으나 황변(yellowing) 현상 발생으로 인한 인식률 저하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리카 무기 바인더와 이산화티탄 백색안료를 사용한 복합 코팅층을 개발하고, 열적 화학적 안정성을 확보한 기능성 라벨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졸-겔 공정으로 제조한 실리카 무기 바인더는 기재(substrate)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우수한 밀착성과 내마모성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산화티탄 백색안료와 혼합하여 폴리이미드 필름에 백색의 코팅층을 제조할 수 있었으며, 복합 코팅층은 $4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도 우수한 백색도와 광택도를 특성을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성(pH 1.6)과 염기성(pH 13.6) 세정제를 통한 화학 처리 후에도 백색도와 광택도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demand of labels for product management is increasing, as the automation system becomes more commo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labels which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has been rapidly proceeded. In the case of a printed circuit board, barcode labels with thermal and chemic...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기재로 사용하는 폴리이미드(Polyimide) 필름에 접착성이 우수하면서 열적 · 화학적 안정성을 갖춘 실리카 무기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고온 라벨지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리카 무기 바인더 제조 시 복합 코팅액의 최적 첨가 농도는 무엇인가? 실리카 무기 바인더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우수한 밀착성을 갖추고 있으며,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첨가에 따라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 코팅액은 이산화티탄 30 % 첨가 시 우수한 백색도와 은폐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 이상 첨가 시 코팅층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표면 거칠기 증가에 따른 코팅층 균일성 또한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폴리이미드 필름 위의 복합 코팅층(실리카 무기 바인더 + 이산화티탄 30 %)은 건조 및 경화 후 최초 두께 대비 75 % 감소한 ~13 μm 두께로 존재하며, 백색도는 88.
실리카 무기 바인더의 장점은 무엇인가? 300ºC 이상의 고온에서 기재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우수한 밀착성과 내마모성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실리카 무기 바인더를 졸-겔 공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바코드 인쇄를 위한 백색의 코팅층을 위하여 이산화티탄을 혼합하여 복합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리카 무기 바인더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우수한 밀착성을 갖추고 있으며,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첨가에 따라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합 코팅액은 이산화티탄 30 % 첨가 시 우수한 백색도와 은폐성을 갖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 이상 첨가 시 코팅층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표면 거칠기 증가에 따른 코팅층 균일성 또한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리카 무기 바인더를 졸-젤 공정으로 제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쇄회로기판(PCB)에 사용이 가능하고, 열적 · 화학적 안정성이 우수한 기능성 라벨지 개발을 진행하였다. 300ºC 이상의 고온에서 기재로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우수한 밀착성과 내마모성을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실리카 무기 바인더를 졸-겔 공정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으며, 바코드 인쇄를 위한 백색의 코팅층을 위하여 이산화티탄을 혼합하여 복합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실리카 무기 바인더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우수한 밀착성을 갖추고 있으며,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첨가에 따라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G.H. Lee, E.Y. Yoon and S.J. Lee, "A study on the thermal distribution of PCB in the reflow soldering process with thermal-air flow simulation", J.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Defense Industry Studies 16 (2009) 174. 

  2. S.K. Kim, Y.S. Son and J.Y. Shin, "Analysis on the effect of operating conditions on the thermal response of electronic assemblies during infrared reflow soldering",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utumn Conference (2009) 1063. 

  3. J.R. Williams, "Lead-free implications for barcode labels", POLYONICS, INC. 867 Rt 12, Westmoreland, from http://www.polyonics.com. 

  4. A. Dennison, "The ideal balance of high temperature performance and function", Label and Packaging Materials (2014). 

  5. Y.J. Kim, "A study on corrosion resistant characteristic of Zn coating solution by inorganic.inorganic binder"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Siheung, 2011). 

  6. Y.B. Ryu and M.S. Lee, "Infrared spectra and thermal properties of sodium silicate solutions", Korean J. Metals & Mater. 56 (2018) 72. 

  7. J.H. Yang and K.C. Song, "Effect of types of colloidal silica on properties of hydrophilic coating films", Korean Chem. Eng. Res. 55 (2017) 830. 

  8. S. IsIam, P.A. Rahman, Z. Othaman, S. Riaz, M.A. Saeed and S. Naseem,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rack-free sol-gel based $SiO_2$ - $TiO_2$ hybrid nanoparticle film", J. Sol-gel Sci. & Technol. 68 (2013) 162. 

  9. B.R. Yoo and D.E. Jung, "Recent progress in the development of Si-based materials for organic-inorganic hybrid system",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20 (2009) 124. 

  10. T.Y. Kim, J. Jung and I.D. Jung, "Preparation of superhydrophobic surfaces using agglomeration control of silica nanoparticles by organic solvent and non-fluoride self-assembled monolayers", Adhesion and Interface 16 (2015) 116. 

  11. B.S. Bae, "Inorganic-organic hybrid materials coating",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2 (2001) 7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