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군 군수품 무응찰 문제 분석 및 정책에 관한 연구
Korea Militaries's none-bid Products Analysis and future Policy Research 원문보기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JIIBC, v.19 no.2, 2019년, pp.193 - 201  

백원철 (한세대학교 대학원IT 융합 학과) ,  신승중 (한세대학교 대학원 IT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우리 군의 무기체계 도입 후 체계 업체가 CSP( Concurrent Spare Parts)지원 이후 우리 군이 운용유지 기간 해외에서 도입된 장비의 정비 지원 장비 품목의 해외 상업 구매 시 부품 무응찰 품목 조달 문제에 대한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의 각 기관별 수행 과정 및 수행된 사업들을 통해 파악된 노후화된 장비의 해외 부품 조달에 있어 입찰 참여자가 없는 부품의 무응찰 발생의 근본 원인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 및 진단함으로써, 향후 해외 도입 장비의 수리 부속 부품 조달시 부품 소요량 판단을 각 군이 보다 정확하게 소요량, 획득 기점을 예측 함으로 부품의 무응찰 발생률을 줄이고 이로 인한 장비 가동률 저하 문제와 미래의 부품가격 상승을 사전에 예방하고 효율적인 업무를 하기 위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and extrnal factors of procurement of non-bid parts in the overseas militaries products for commercial purchase after deploy at Militaries. How we will continures to support of Primary of delivery to end users for all systems for maintenance s...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부적 요인의 첫째, 조달계획 단계에서 무응잘 이력이나 부품단종 여부를 확인하여 소요 판단이 보다 정확하게 함으로써 개선하는 것이다. 무응찰 이력이 있다는 것은 시장 내에서 유통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소요군과 방위사업청은 무응찰 문제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명확한 원인 파악과 대안을 찾지 못하고 동일한 프로세스를 매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당면한 무응찰 품목 조달 문제를 해소하고 근본 원일은 파악하여 사전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정책 연구를 하게 되었다.
  • 하지만 해외 상업구매 무응찰과 같은 조달상의 애로 문제는 다변화된 군수시장과 기술의 고도화되고 급변하는 시장 환경속에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 군에서 문제방지를 위한 절차와 문제 해결을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계속적으로 반영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특히, 본 논문은 무응찰 발생 원인에 대한 조달업무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하는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의 부품 공급 시간의 환경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 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안전재고는 리드타임기간 도안의 재고 부족의 발생에 따는 위허믕ㄹ 예방 할 수 있으며, 또한 적절한 주문량을 계산하여 수요 대비 재고유지비용, 재고 수량등을 줄여 불용제고와 같은 불필요한 가용 재고 보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다. 1) 일정한 연간 수요 발생 2) 년간 평균 재고유지비용 3) 주문비용은 매입의 총 비용의 1% 4) 재고보유비용은 단위당 구입비용의 5% 5) 반품은 허용하지 않음 등의 관리로 적정 투자 예산의 유지가 가능 하다. 그러나 군은 상시 전투 투세 및 훈련등의 임무 및 부품의 단종이 수시로 발생 하기 때문에 무기체계의 장기 운용을 위하여서는 일괄 구매등의 방법으로 과도한 수량을 구매 하고 있는 현실이다.
  • 첫째, 시스템 간 정보 불일치 문제이다. 조달이 필요한 부품정보 분석의 국방표준종합정보시스템과 장비정보관리체계간의 정보가 불일치하는 상항이 존재 하며 이는 잘못된 정보를 사용한 입찰공고로 인해 무응찰을 발생 시길 수 있다.
  • 첫째, 품목담당관 1인당 관리 품목수가 과다 하다는 것이다. 한국국방연구원의 보고서에 인용된 국방부 자료에 따르면 소요군 1인당 평균 관리 품목수는 평균 2,226종에 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응찰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 각 기관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무응찰 문제는 여전히 완벽하게 해결되지 않고 있으며, 따라서 근본적인 관계를 이해라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강구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무응찰의 원인에는 장비 정보체계의 부정확성 으로 인한 정보의 부정확성화성 또한 원인으로써 군수유지비의 대부분을 수리부속품에 대한 군수활동과 같은 수십 만종에 달러는 품목 수 및 수량에있다. 특히 정비단계(LOM: Level of Maintenance)으로 구분하는 부대정비. 야전정비. 창정비 등으로 정비체계의 복잡성으로 인한 부품정보의 정제 부실 또한 원인이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수리 시 부품단종으로 인한 대체부품의 정보. 재생품, 등의 변 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원 정보의 수정 및 갱신 부제 등을 들 수 있다.
군 운용 무기체계는 어떤 방법으로 조달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가? 군 운용 무기체계는 소요기획에서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 수명주기를 갖고 있으며 무기체계에 소용되는 수리부속은 무기체계의 수명주기 내에서 각 단계에 따라 다양한 주체들에 의한 조달 및 관리가 이루어진다. 운용유지 단계로 넘어간 무기체계에는 다양한 조달 방법을 적용 하고 있다.
군수품 구매애로란 무엇인가? 조달 판단에 따라 내자와 외자로 구분되며 외자는 일반 상업 구매와 FMS(Foreign Militaries Service)로 나누어진다. 군수품 구매애로란, 일반적으로 판매업체가 판매에 참여하지 않아 조달하기에 불가능 하게 된 상태를 말하며, 의도하지 않은 조달 실패를 의미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