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브랜드 태도가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지각된 유사성과 모브랜드 소비경험의 조절역할
The Effect of Attitude toward Parent Brand on Trial Intention of Brand Extensions an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imilarity and Consumption Experience of Parent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4, 2019년, pp.59 - 67  

박지연 (울산대학교 기업경영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 연구들은 브랜드확장의 효과성을 예측하기 위한 지표로 구매의도를 주로 활용하고 있다. 이와 달리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된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예측하는데 더 적절한 지표로 시용의도를 제시함으로써 선행요인을 바탕으로 도출한 영향요인인 모브랜드 태도, 지각된 유사성, 모브랜드 소비경험이 확장브랜드 제품의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모브랜드 태도가 확장브랜드 제품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또한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사성과 모브랜드 소비경험의 조절적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브랜드확장 제품의 사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험조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에는 최종적으로 186개의 자료가 사용되었으며 회귀분석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브랜드확장제품의 시용의도에 대한 모브랜드 태도의 강력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각된 유사성이 높을수록 모브랜드 태도가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브랜드에 대한 소비경험이 많을수록 두 변인 간의 관계가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존연구와는 달리 소비자 관점에서의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을 밝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the prior researches in brand extension evaluation have utilized purchase intention as a n effective variable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brand extensions. In contrast, the author proposes that trial intention is to better predict consumers' behavioral response in the newly launched brand...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이 적용한 확장제품 선정방식인 가상의 제품을 대상으로 실험설계 및 실증분석이 실시되었으며 이는 현실적 적용과 일반화에 있어 한계를 갖는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보다 개선된 실험도구 및 실험설계를 통해서 실무적 활용가능성이 높은 세부적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브랜드확장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아닌 시용의도의 맥락에서 역시 모브랜드 자산이 브랜드 확장상품에 효과적으로 전이될 수 있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춘 전략수립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 간접적 영향변인을 밝힘으로써 기업들의 브랜드확장 전략을 통한 신제품 출시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소비자 관련 변인에 대한 보다 넓은 이해의 폭을 가질 수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였다. 최근 들어 브랜드확장 전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외식, 관광, 뷰티, 패션 등 산업의 실무자들은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를 통해 효과성을 측정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반응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전략수립이 가능해 진다는 점에서 실무적 의의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대해 모브랜드 태도 및 지각된 유사성, 소비경험이 직,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8년 9월 10일부터 20일까지 10일간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을 통해 브랜드확장 시 모브랜드 태도와 확장제품의 시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유사성과 모브랜드 소비경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피험자를 2(지각된 유사성: 고유사성 vs.
  • 특히, 브랜드확장 분야의 많은 연구자들이 브랜드확장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초점을 둠으로써 브랜드 연상, 제품군의 유사성과 브랜드 폭, 적합성, 이전성 등과 같은 인지적 차원의 중요 요인들을 제시하였다[5,6].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의 변형적 재검증 차원에서 확장브랜드의 시용의도에 대해 모브랜드 태도가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며, 모브랜드와 확장브랜드간 지각된 유사성 및 모브랜드에 대한 소비경험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간의 관계에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규명하고자 한다.
  • 그렇기에 신제품을 에 대한 직접경험인 시용의도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기존 제품에 대한 신념과 태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시용의도에 대한 모브랜드 태도의 직접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두 변인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들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 전자는 경영전략 분야의 연구자와 실무자들이 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Brand Extension이라는 용어보다 는 Brand Leverage라고 표현한다[3,4]. 즉 전략적 관점에서 공격적인 브랜드확장을 통해 적극적으로 사업실적을 제고하는데 관심을 둔다. 반면, 후자는 매출증대보다 브랜드 이미지, 인지도 등 브랜드 태도를 유지, 향상시키고자 하는 입장이기에 브랜드는 수단이라기보다 목적으로 여긴다.

가설 설정

  • H1: 모브랜드 태도는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모브랜드 태도와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간의 관계는 유사성을 더 크게 지각할수록 그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 커질 것이다.
  • H3: 모브랜드 태도와 브랜드확장 제품의 시용의도간의 관계는 모브랜드 소비경험이 많을수록 그 관계에 미치는 영향력은 더 커질 것이다.
  • 구체적으로, Smith and Park(1992)과 Keller(1993)는 기존의 제품에 인지된 품질에 대한 태도가 호의적이면 신제품에 대한 소비자 평가는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음을 제시하였다[1,19]. 이런 맥락에서 모브랜드에 대한 지각된 품질보다 더욱 포괄적인 의미를 갖는 모브랜드에 대한 태도가 확장브랜드 태도형성에 영향을 미침을 가정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브랜드확장이란 무엇인가? 브랜드확장(Brand extension)이란 새로운 제품범주에 진입하기 위해 이미 확립되어 있는 브랜드를 사용하는 것으로써[5], 기존 브랜드와 다른 제품군에 속하는 새로운 상품에 대하여 기존 브랜드를 유지하여 적용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특히 브랜드확장 전략은 시장 환경이 불확실하고 소비자가 다양한 경쟁 브랜드에 노출되는 상황 하에서 기업의 성장 전략으로 매우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7].
브랜드확장의 장점은 무엇인가? 브랜드확장은 높은 브랜드 가치를 가진 기존 브랜드를 다른 제품군에 속하는 신제품의 이름으로 확장하여 사용하는 전략으로써, 확고한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고 있는 브랜드라면 브랜드확장을 통한 신제품 개발의 실패위험을 최소화하고 기존 브랜드의 후광효과 덕분에 쉽게 제품 인지도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1]. 하지만 실제 많은 기업들은 브랜드확장 전략의 실패로 기존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정체성 혹은 이미지마저도 잃어버리는 경우가 많다.
브랜드파워가 확립된 기업에서 브랜드확장 전략이 더욱 효과적인 이유는? 일반적으로 브랜드확장 전략의 효과성은 브랜드파워가 확립된 기업들일수록 크게 나타난다. 왜냐하면 브랜드확장 전략은 기존 브랜드명을 다른 제품에도 사용하므로 기존 브랜드가 형성한 브랜드가치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브랜드확장 전략을 통해 새로 도입된 브랜드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투입되는 광고, 판촉비용과 위험부담 등을 줄이면서 동시에 타 브랜드에 비해 보다 손쉽게 시장에 진입할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D. C. Smith & C. W. Park. (1992). The Effects of Brand Extensions of Market Share and Advertising Efficienc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3), 296-313. 

  2. G. G. Kim, T. H. Cha & S. W. Chun. (2009). The Effect of the Salience of Product-category Information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 A Cross-cultural Study about the Interference Effect of Product-category Information between Westerners and Easterners.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24(1), 29-50. 

  3. A. Kirmani, S. Sood & S. Bridges. (1999). The Ownership Effect in Consumer Responses to Brand Line Stretches. Journal of Marketing, 63(1), 88-101. 

  4. S. Y. Song & Y. J. Lee. (2015). The Effects of Parent Company Image on Brand Portfolio Evaluation. Journal of Contents, 15(9), 465-477. 

  5. D. A. Aaker & K. L. Keller. (1990). Consumer Response to Br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54(Jan), 27-41. 

  6. C. W. Park, S. Milberg & R. Lawson. (1991).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s: The Role of Product Feature Similarity and Brand Concept Consistency.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8, 185-193. 

  7. J. H. Na, Y. H. Lee & I. G. Kim. (2007). Effects of Preannouncing on Evaluation toward Brand Extension. Journal of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22(3), 1-17. 

  8. P. Sheeran. (2002). Intention-Behaviour Relations: A Conceptual and Empirical Review. European Review of Social Psychology, 12, 1-36. 

  9. R. Dhar, J. Huber & U. Khan. (2007). The Shopping Momentum Effe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4(3), 370-378. 

  10. J. M. Jang & E. Y. Park. (2016). The Effect of Physical Partitioning on Consumers' Behavior Intension - The Moderating Role of Prior Experience. Korean Marketing Association, 31(Aug.), 27-46. 

  11. P. Kotler. (1997). Marketing Management: Analysis, Planning, Implementation, and Control, 9th, 335. 

  12. S. J. Hoch & J. Deighton. (1989). Managing What Consumer Learn From Experience. Journal of Marketing, 53(2), 1-20. 

  13. K. Bawa & R. Shoemaker. (2004). The Effects of Free Sample Promotions on Incremental Brand Sales. Marketing Science, 23(3), 345-363. 

  14. Z. Jiang & S. Sarkar. (2009). Speed Matters: The Role of Free Software Offer in Software Diffusion.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26(3), 207-240. 

  15. M. F. Niculescu & D. J. Wu. (2010). When Should Software Firms Commercialize New Products via Freemium Business Models? Paper presented at the Workshop on Information Systems Economics, St. Louis, MO, December 11-2, 

  16. K. L. Keller & D. A. Aaker. (1992). The Effects of Sequential Introduction of Brand Exten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1), 35-50. 

  17. T. Erdem. (1998). An Empirical Analysis of Umbrella Brand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5(3), 339-351. 

  18. P. A. Dacin & D. C. Smith. (1994). The Effect of Brand Portfolio Characteristics on Consumer Evaluation of Brand Extens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1(2), 229-242. 

  19. K. L. Keller.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 

  20. J. S. Yeo. (2010). Effects of Regulatory Focus, Difficulty of Making Extension, and Parent-Extension Similarity on Brand Extensio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11(2), 257-272. 

  21. J. S. Yeo & S. H. Ko. (2008). Effects of Brand Concep, BRQ, and Parent-Extension Similarity on Brand Extension Evaluation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9(3), 435-448. 

  22. Y. H. Son, B. G. Yang & S. B. Yo. (2009). The Effect of Brand Extension Similarity, Extension Product Price and Perceived Risk on Extension Product Evaluation.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10(4), 683-700. 

  23. E. A. Park, T. H. Kim, Y. S. Sung & J. S. Kang. (2004). The Influence of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on the Evaluations of Extended Brand. Journal of Consumer Studies, 15(4), 37-58. 

  24. D. Maheswaran & B. Sternthal. (1990). The effects of knowledge, motivation, and type of message on ad processing and product judgmen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1), 66-73. 

  25. J. E. Brisoux & E. J. Cheron. (1990). Brand Categorization and Product Involvement.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 101-109. 

  26. G. Murphy & B. Ross. (1994). Prediction from Uncertain Categorizations. Cognitive Psychology, 27(2), 148-193. 

  27. C. L. Hartman, L. L. Prince & C. P. Duncan. (1990). Consumer Evaluation of Franchise Extensions A Categorization Processing Perspective.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7, 120-127. 

  28. H. Thorbjornsen. (2005). Brand Extensions: Brand Concept Congruency and Feedback Effects Revised.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14(4), 250-257. 

  29. J. Doll & I. Ajzen. (1992). Accessibility and Stability of Predictors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5), 745-7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