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trends of air quality in the study area by analyzing monthly and seasonal concentration trends obtained from sampled data. To this aim, the mass concentrations of $PM_{2.5}$ in the air were analyzed, as well as those of metals, ions, and to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17년 10월부터 2018년 9월까지 농성동 대기오염자동측정소에서 초미세먼지의 이온성분, 중금속, 탄소성분을 분석하고 광주지역 초미세먼지(PM2.5)의 구성 성분별 농도, 배출원 및 배출원의 기여도 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미세먼지(PM2.5)의 구성 성분별 농도, 배출원 및 배출원의 기여도 등을 파악하고 정량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시료 채취·분석하여 미세먼지 구성성분의 농도 변화 추이를 알아보고,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인자분석을 실시하여 초미세먼지 농도 변화에 미치는 주요 영향인자를 파악하고 발생원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 2002). 초미세먼지의 오염원과 위해성을 파악하기 위해 초미세먼지에 함유된 이온, 중금속, 탄소 등 구성 성분을 조사한 결과, 초미세먼지 발생 원인은 크게 연료연소, 산업활동, 자동차 배기가스, 2차 초미세먼지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아울러 도시 대기 중에는 2차 초미세먼지가 상당량을 차지하고 있으며, 2차 초미세먼지의 30%에서 60% 정도가 이온성분으로 황산염, 질산염, 암모늄염이 주로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ark et al.
초미세먼지는 인체에 어떤 악영향을 주는가? 세계보건기구에서 1급 발암물질로 지정한 초미세먼지는 작은 크기 때문에 호흡기를 통해 폐에 침투하는 성향이 강하여 폐에 염증을 일으키거나 폐를 손상하기도 하며(Brook et al., 2003), 호흡기계 질환을 비롯한 심근경색, 혈관장애, 동맥경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Peters et al.
광주지역 초미세먼지의 이온 성분의 구성과 초미세먼지 생성 원인 물질의 비율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초미세먼지의 이온성분 31.1% 중 음이온이 22.9%, 양이온이 8.1% 정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이온 중에는 SO42-, 양이온 중에는 NH4+가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온물질 중 초미세먼지 2차 생성 원인물질인 SO42-(51.2%), NH4+ (24.6%), NO3-(21.6%)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2차 생성된 미세먼지는 입경이 작아 폐포에 침착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SO2, NH3, NOx에 대한 배출 저감대책이 매우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Brook, R. D., Brook, J. R., Rajagopalan, S., 2003, Air pollution: the "heart" of the problem, Curr. Hypertens. Rep., 5, 32-39. 

  2. Hu, M., He, L. Y., Zhang, Y. H., Wang, M., Kim, Y. P., Moon, K. C., 2002, Seasonal variation of ionic species in fine particles at Qingdao, China, Atmos. Environ., 36, 5853-5859. 

  3. Hwang, I. J., Kim, D. S., 2013, Research trends of receptor models i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and improvement directions for air quality management, J. Korean Soc. Atmos. Environ., 29, 459-476. 

  4. Hwang, I. J., Kim, T. O., Kim, D. S., 2001, Source identification of $PM_{10}$ in S uwon using the method of positive matrix factorization, J. Korean Soc. Atmos. Environ., 17, 133-145. 

  5. Kang, B. W., Lee, H. S., 2015, Source apportionment of fine particulate matter ( $PM_{2.5}$ ) in the Chungju City, 31, 437-448. 

  6. Kang, C. M., Lee, H. S., Kang, B. W., Lee, S. K., Sunwoo, Y., 2004,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ic gas pollutants and $PM_{2.5}$ species during hazy episodes in Seoul, South Korea, Atmos. Environ., 38, 4749-4760. 

  7. Kim, Y. P., 2017,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s against Ambient Fine Particles, J. Korean Soc. Atmos. Environ., 33(3), 191-204. 

  8. Kunzli, N., Jerrett, M., Mack, W. J., Beckerman, B., LaBree, L., Gilliland, F., Thomas, D., Peters, J., Hodis, H. N., 2005, Ambient air pollution and atherosclerosis in Los Angels, Environmental Health Perspestives. 113, 201-206. 

  9. Lee, K. B., Kim, S. D., Kim, D. S., 2015, Ion Compositional Existence Forms of $PM_{10}$ in Seoul Area, J. Korean Soc. Environ. Eng., 37, 197-203. 

  10. Lee, Y. J., Jung, S. A., Jo, M. R., Kim, S. J., Park, M. K., Ahn, J. Y., Lyu, Y. S., Choi, W. J., Hong, Y. D., Han, J. S., Lim, J. H., 2014, Characteristics of PM chemical component during haze episode and Asian dust at Gwang-ju, J. Korean Soc. Atmos. Environ., 30, 434-448. 

  11. Park, G. H., Cho, J. G., Ryu, B. S., 2010, Evaluation of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M_{2.5}$ in ambient air in Busan(II), The annual report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stitute of health and environment, 20, 154-167. 

  12. Park, J. S., Kim, C. H., Lee, J. J., Kim, J. H., Hwang, U. H., Kim, S. D., 2010, A Study on the chemical mass composition of particle matter in Seoul, J. Korean Soc. Ur. Environ., 10, 293-303. 

  13. Park, J. Y., Lim, H. J. 2006, Characteristics of water soluble ions in fine particles during the winter and spring in Dague, J. Korean Soc. Atmos. Environ., 22, 627-641. 

  14. Peter, A., Dockery, D. W., Muller, J. E., Mittleman, M. A., 2001, Increased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the triggering of myocardial infarction, Circulation, 103, 2810-2815. 

  15. Won, S. R., Choi, Y. C., Kim, A. R., Choi, S. H., Ghim, Y. S., 2010, Ion concentrations of particulate matter in Yongin in Spring and Fall, J. Korean Soc. Atmos. Environ., 26, 265-275. 

  16. Yao, X., Chan, C. K., Fang, M., Cadle, S., Chan, T., Mulawa, P., He, K., Ye, B., 2002, The water-soluble ionic composition of $PM_{2.5}$ in Shanghai and Beijing, China, Atmos. Environ., 36, 4223-423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