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경기지역의 시나리오별 액상화 위험지도 작성을 위한 지진가속도와 LPI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s of Earthquake Accelerations and LPIs for Liquefaction Risk Mapping in Seoul & Gyeonggi-do Area based on Artificial Scenarios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0 no.5, 2019년, pp.5 - 12  

백우현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최재순 (Seokyeo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7년 11월 15일 발생한 $M_L=5.4$의 포항지진으로 액상화 피해사례가 접수되었으며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 중에 있다. 지진에 의한 피해사례가 전무하였던 우리나라의 경우, 예방 및 대비에 해당하는 지진위험지도 작성과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시스템의 구축에 매우 소극적이었다. 지진은 가뭄, 홍수나 태풍 등과 달리, 발생 징후를 관찰하고 그 영향 및 규모를 미리 예측하기란 거의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예방 및 대비차원의 액상화 위험지도와 같은 지진재해지도 구축은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지역 14,040개의 시추공 데이터를 수집하여 지반증폭계수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를 우선적으로 실시하고 최대기반암가속도는 재현주기 200년부터 4,800년을 포함하는 최대기반암가속도 0.06g, 0.14g, 0.22g, 0.30g에 대한 액상화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또한, 실시간 예측 가능한 액상화 위험지도 작성을 위해 지진가속도와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로 수치지도의 모든 셀에 해당하는 상관식이 제안되었다. 최종적으로 제안된 상관식을 이용하여 가상의 지진에 대한 액상화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November 15, 2017, a unpredictable liquefaction damage was occurred at the $M_L=5.4$ Pohang earthquake and after,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In Korea, where there were no cases of earthquake damage, it has been extremely neglectable in preparing earthquake risk maps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4,040개에 달하는 지반정보의 처리를 위하여, Fig. 5와 같이 지반종별증폭계수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전용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이 국내에서 작성된 액상화 위험지도가 동일한 가속도 기준으로 작성된 점을 이용하여 가속도와 액상화 발생가능성 지수에 대한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지진발생시 지진가속도가 위치별로 다르게 변하는 점을 반영한 실시간 액상화 위험지도를 제작하고자 하며 이를 수도권을 대상으로 모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진도분포에 따른 위치별 LPI 관계식을 산정하기 위하여 4가지의 2차함수식을 적용하여 경향에 가장 적합한 식을 제안하였다. 2차함수 관계식으로 Hyperbolic Function과 Root Function, Linear Fit, Log Function을 선정하여 경향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14,040개에 달하는 시추공 정보의 처리를 위하여, 시설물 중심의 액상화 평가방법에서 사용하는 지진 응답해석을 대신하여 액상화 평가 시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지반종별 증폭계수를 이용하여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이용하여 LPI를 산정하였다. 이때, 이를 위한 별도의 스프레드시트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반 증폭계수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액상회 위험도를 작성하였으며, 실시간 연계를 위해 LPI와 지진가속도와의 상관분석을 통해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진 재해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노력은? 지진은 가뭄, 홍수나 태풍 등의 재해와 달리 사전 예측・ 예보가 불가능하여 대응・대비가 쉽지 않다. 이와 같은 지진 재해의 피해를 줄이고자 한국지진공학회가 주관하여 지진 위험지도(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997) 가 처음 작성되었으며, 그 이후 소방방재청에서 2013년 공 표한 지진위험지도를 기반으로 사회 인프라시설의 내진설 계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액상화의 경우 지진의 발생 가능성보다 지반 상태 파악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쉽지 않다.
지진의 특징은? 지진은 가뭄, 홍수나 태풍 등의 재해와 달리 사전 예측・ 예보가 불가능하여 대응・대비가 쉽지 않다. 이와 같은 지진 재해의 피해를 줄이고자 한국지진공학회가 주관하여 지진 위험지도(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997) 가 처음 작성되었으며, 그 이후 소방방재청에서 2013년 공 표한 지진위험지도를 기반으로 사회 인프라시설의 내진설 계를 수행하고 있다.
지진 재해중 위험지도로 나타내기 어려운 경우는? 이와 같은 지진 재해의 피해를 줄이고자 한국지진공학회가 주관하여 지진 위험지도(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997) 가 처음 작성되었으며, 그 이후 소방방재청에서 2013년 공 표한 지진위험지도를 기반으로 사회 인프라시설의 내진설 계를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액상화의 경우 지진의 발생 가능성보다 지반 상태 파악이 우선되어야 하므로 위험지도를 작성하기 쉽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J. K., Baek, W. H., Choi, J. S. and Kawk, D. Y. (2018), Investigation of Pohang earthquake liquefaction using 1D effective-stress site respons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4, No. 9, Agust, pp. 37-49. 

  2. Baek, W. H. (2014), "Development of Real-Time Liquefaction Hazard map using Metropolitan area site information data", University of Seokyeong, Seoul, Korea (In Korean). 

  3. Baek, W. H., Choi, J. S. and Ahn, J. K. (2018), "Seismic scenarios-based liquefaction hazard map for Pohang area", EESK J Earthquake Eng., Vol. 22, No. 3, pp. 219-224 (In Korean). 

  4. Baek W. H., Choi J. S. and Kwon O. G. (2015), Real time earthquake hazard map of liquefaction in Korea, The 15th Asian Regional Conferenceon Soil Mechanics and Geotechnical Engineering, 2015/11, Fukuoka, Japan. 

  5. Choi, J. S., Kwon, O. G. and Baek, W. H. (2014), Macro liquefaction hazard map for metropolitan areas in moderate seismic countries, 2nd Asia Conference on Urban Disaster Reduction, 2014/11, Taipei, Taiwan. 

  6.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1998), Eurocode 8, Brussels, Belgium, pp. 33-35. 

  7. EQC (New Zealand Earthquake Commission) (2015), Canterbury Earthquake Sequence : Increased Liquefaction Vulneral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Tonkin+Taylor. 

  8. Idriss, I. (1999), "An update to the Seed-Idriss simplified procedure for evaluating liquefaction potential", Proc., TRB Worshop on New Approaches to Liquefaction, Pubbl. n. FHWA-RD-99-165, Federal Highway Administation. 

  9. Iwasaki, T., Tatsuoka, F., Tokida, K. I. and Yasuda, S. (1978), "A practical method for assess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based on case studies at various sites in Japan", Proc. Second Int. Conf. Microzonation Safer Construction Research Application, 1978, 2, pp. 885-896. 

  10. Kim, S. I., Park., I. J. and Choi, J. S. (2000),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liquefaction potential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KSCE, 20(2-C), 129-139 (In Korean). 

  11. Kwak, C. W. (2001), A study on the liquefaction hazard micro zonation at reclaimed ports and harbors in Korea,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Yonsei, Seoul, Korea (In Korean). 

  12. Kwak, M. J., Ku, T. J. and Choi, J. S. (2015), Development of mapping method for liquefaction hazard in moderate seismic region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big site investigation Data, Journal of the Korean Geo Environmental Society, 16(1), 17-27 (In Korean). 

  13. Ku, T. J. (2010), Development of mapping of liquefaction hazard considering various ground condition in Korea, Master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kyeong, Seoul, Korea (In Korean). 

  14. Seed, H. B., Tokimatsu, K., Harder, L. F. and Chung, R. M. (1985), Influence of SPT procedures in soil liquefaction resistance evaluations, Journal of Geotechnical Engineering, Vol. 111, Issue. 12, pp. 1425-1445. 

  15. Sun, C. K., Jeong, C. K. and Kim, D. S. (2005), A proposition of site coefficients and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design ground motions at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 21, No. 6, pp. 101-115 (In Korean). 

  16.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seismic design criteria II (1997) (In Korean). 

  17. Ministry of Interior Safety (2017), Enforcement decree of th earthquake and volcano disaster countermeasure pp.paragraph (2) in Aticle 10 (in Korean). 

  18.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 Program Development of Seismic Hazard Map (2001), pp. 25-26. 

  19. Rea, L. M. and Parker, R. A. (2005), Designing & Conducting Survey Research A Comprehensive Guide (3rd Edi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 Seed, H. B. and Idriss, I. M. (1971), "Simplified procedure for evaluat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Journal of the Soil Mechanics and Foundations Division, Vol. 97, No. 9, pp. 1249-1273.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