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석회를 이용한 급경사 농경지 토양유실 저감
Reduction of Soil Loss from Sloped Agricultural Field by using Hydrated Lime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24 no.2, 2019년, pp.1 - 7  

고일하 (환경기술정책연구원) ,  유찬 (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 ,  박미정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술연구센터) ,  지원현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술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easibility of using hydrated lime ($Ca(OH)_2$) was assessed in reducing soil loss in sloped land under field condition. During 6-month monitoring from May to October, amendment of hydrated lime (3%, w/w) to a test plot decreased soil loss by 76% as compared to the unamended plot. How...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 토양유실과 관련한 연구는 주로 토양유실량 평가나 완충식생대 및 승수로와 같은 토양입자의 물리적 유실 억제 방안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비해 토양 입자의 응집력 향상(입단개선)을 위해 유실억제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처리방안은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 시험구 조성 후 별도의 농작물 식재는 하지 않았다. 다만, 모니터링 기간동안 복토층 내 잡풀과 같은 자연발생 식생에 대해서 별도의 제초작업을 하지 않아 식생에 의한 유실저감 효과까지 고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평균 25%의 경사도를 가진 농경지(밭)를 대상으로 광해방지사업(토양개량 · 복원사업)을 모사한 현장 시험구를 대상으로 소석회(Ca(OH)2)의 토양 유실억 제제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2009)은 토양 자체의 응집력 향상을 위해 토양개량제로서 고분자응집제인 Polyacrylamide (PAM)의 적용성을 검토한 바 있다. 이러한 토양유실 연구는 토양유실 저감을 통해 농경지(밭) 토양환경의 퇴화 방지, 댐이나 호소로 유입되는 현탁입자로 인한 저수용량의 감소, 부영향화 발생억제 등과 같은 수환경의 문제해결을 목적으로 한다(Park et al., 2011).
  • 이에 비해 토양 입자의 응집력 향상(입단개선)을 위해 유실억제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처리방안은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폐광산 지역 급경사 농경지에 소석회(Ca(OH)2)가 투여된 시험구를 조성하여 토양유실 억제효과를 검토하였다. 토양유실 억제제로서 석회물질의 적용성은 선행연구(Hwang et al.
  • 따라서 실험대상 현장에서 두 종류의 유실억제제를 적절하게 혼용하였다면, 자연식생 성장 측면에서 보다 좋은 결과를 도출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즉, 식물성장의 적정 산도를 유지하도록 토양 내 소석회 투여량을 낮추고, 유기퇴비를 추가투여함으로써 토양의 비옥도를 높임과 동시에 토양입단 형성과 식생의 활착(토양 피복정도) 증가를 유도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양이 가지는 식물생산 기능은 무엇인가? 토양은 자연생태계와 환경보전의 두 가지 유지기능이 있는데, 두 기능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것이 식물생산과 연관된 것이다. 이는 식물에게 물과 양분을 공급하는 등 지각의 최외곽 부위로 녹색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비옥도를 지니고, 농작물과 유용수종을 포함한 녹색식물 전반을 생산하는 기능이다(Lee et al., 2008).
토양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토양은 암석이 물리화학적 그리고 생물학적 작용을 받아 부스러지고 분해된 물질 즉, 모재가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항상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는 동체(動體)이기 때문에 토양을 정의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Cho et al.
토양을 정의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엇인가? 토양은 암석이 물리화학적 그리고 생물학적 작용을 받아 부스러지고 분해된 물질 즉, 모재가 오랜 세월을 지나면서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항상 주위 환경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는 동체(動體)이기 때문에 토양을 정의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다(Cho et al.,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ady, N.C. and Weil, R.R., 2014, Elements of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s, Pearson Education Limited. 

  2. Branson, F.A. and Owen, J.B., 1970, Plant cover, runoff, and sediment yield relationships on Mancos shale in Western Colorado, Water Resour. Res., 6, 184-790. 

  3. Chae, J.C., Park, S.J., Kang, B.H., and Kim, S.H., 2013, Principles of Crop Cultivation, Hyangmunsa. 

  4. Choi, B.S. Lim, J.E., Choi, Y.B., Lim, K.J., Choi, J.D., Joo, J.H., Yang, J.E., and Ok, Y.S., 2009, Applicability of PAM (polyacrylamide) in soil erosion prevention: rainfall simulation experiments, Korean J. Soil Sci. Fert., 28(3), 249-257. 

  5. Cho, S.J., Park, C.S., and Um, D.I., 2002, Soil Science, Hyangmunsa. 

  6. Greene, R.S.B., Kinnell, P.I.A., and Wood, J.T., 1994, Role of plant cover and stock trampling on runoff and soil erosion from semi-arid wooded rangelands, Aust. J. Soil Res., 32, 953-973. 

  7. Heo, S.G., Jun, M.S., Park, S.H., Kim, K.S., Kang, S.K., Ok, Y.S., and Lim, K.J., 2008, Analysis of soil erosion reduction ratio with changes in soil reconditioning amount for highland agricultural crops, Korean J. Soil Sci. Fert., 24(2), 185-194. 

  8. Hwang, W.J., Bang, H.W., Hyun, S.H., Ji, W.H., and Lee., S.H., 2016, Assessment of several amendments for soil erosion reduction in sloping land, Proceedings of KoSSGE 2016 fall conference, Daejeon, Koea, p.232. 

  9. Hur, S.O., Jung, K.H., Ha, S.K., Kwak, H.K., and Kim, J.G., 2005, Mathematical description of soil loss by runoff at inclined upland of maize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38(2), 66-71. 

  10. Kainz, M., 1989, Runoff, erosion and sugar beet yields in conventional and mulched cultivation. Results of the 1988 experiment, In: U.R. Schwertmann, R.J. Rickson, K. Auerswald (ed.), Soil Protection Measures in Europe, Soil Technology Series 1, p.103-114. 

  11. Kim, K.N., 2013, Plant, Soil and Fertilizer, Moa-adcom. 

  12. KM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A Study on the Conservation of Surface Soil and Erosion Control, 6-8 p. 

  13. Koh, I.H., Roh, H., Hwang, W.J., Seo, H.G., and Ji, W.H., 2018, Reducing soil loss of sloped land using lime-organic compost mixtures under rainfall simulation, J. Soil Groundwater Environ., 23(3), 43-50. 

  14. Lee, G.J., Lee, J.T., Ryu, J.S., Oh, D.S., and Kim, J.S., 2012, Effects of slope gradient and rainfall intensity on soil losses with rainfall simulator experiment, Korean J. Soil Sci. Fert., 45(6), 877-881. 

  15. Lee, J.T., Lee, G.J., Ryu, J.S., Park, S.H., Han, K.H., and Zhang, Y.S., 2011, Evaluation of surface covering methods for reducing soil loss of highland slope in radish cultivation, Korean J. Soil Sci. Fert., 44(5), 667-673. 

  16. Lee, M.H., Choi, S.I., Lee, J.Y., Lee, G.K., and Park, J.W., 2008, Soil & Groundwater Environment,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Co.. 

  17. NAA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0, Methods of soil chemical analysis. 

  18. Oh, Y.J., Kim, M.H., Na, Y.E., Hong, S.H., Paik, W.K., and Yoon, S.T., 2012, Vulnerability assessment of soil loss in farm area to climate change adaption, Korean J. Soil Sci. Fert., 45(5), 711-716. 

  19. Osborn, B., 1954, Effectiveness of cover in reducing soil splash by raindrop impact, J SOIL WATER CONSERV, 9, 70-76. 

  20. Park, C.S., Jung, Y.S., Joo, J.H., and Lee, J.T., 2005, Best management practices reducing soil loss in the saprolite piled upland in Hongcheon highland, Korean J. Soil Sci. Fert., 38(3), 119-126. 

  21. Park, C.W., Sonn, Y.K., Hyun, B.K., Song, K.C., Chun, H.C., Moon, Y.H., and Yun, S.G., 2011, The redetermination of USLE rainfall erosion factor for estimation of soill loss at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44(6), 977-982. 

  22. Wainwright, J., Parsons, A.J., and Abrahams, A.D., 2000, Plot-scale studies of vegetation, overland flow and erosion interactions: case studies from Arizona and New Mexico, Hydrol. Process, 14, 2921-2943. 

  23. Yang, J.E., Jung, J.B., Kim, J.E., and Lee,G.S., 2008, Ag-Environmental Science, CIR. 

  24. Duran Zuazo, V.H. and Rodriguez Pleguezuelo, C.R., 2008, Soil-erosion and runoff prevention by plant covers. A review, Agron. Sustain. Dev., 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