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취약계층 비만의 지역 격차에 관한 연구 -수원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Difference of Obesity in the Social Vulnerabilities -Focused on the Suwon C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4, 2019년, pp.682 - 689  

김한이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  김용진 (한국교통대학교 도시.교통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건강정도를 객관적 지표인 체질량지수를 통해 비만 정도의 지역별 격차를 공간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체질량지수가 공간적으로 높은 값과 낮은 값을 가지는 군집패턴을 보이는 지역을 추출하고 이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비만인구비율의 I 통계량은 0.07, z-score은 4.39으로 나타나, 공간자기상관성을 확인하였다. z-score의 경우 최대 임계값인 2.57보다 훨씬 크게 나타났다. 이는 사회취약계층 비만율이 지역별 격차를 보이며, 이러한 격차가 공간통계적으로 유의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만 취약지역과 양호지역에 대한 지역별 환경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취약지역의 경우 대중교통성이 좋지 않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원이 적으며 단독 다세대 주택이 밀집한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기존 연구들이 소홀했던 사회취약계층의 건강에 대하여 공간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patialize the gap between obesity levels through the body mass index, an objective indicator of the level of health among vulnerable people. Thus, areas where the BMI showed cluster patterns with spatial high and low values were extrac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wer...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사회취약계층 정의 및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방문건강관리사업에 대해 알아보고 취약계층 또는 취약하지 않은 계층을 고려한 물리적 환경과 건강 정도 관계에 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한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 방법인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기존 연구를 고찰한다.
  • 본 연구는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자들을 중심으로 비만 정도의 근린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여기에서 방문건강관리사업이란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하나로 강형평성 제고를 위해 보건소 전문 인력이 취약계층의 가정 등 생활 터에 직접 방문하여 맞춤형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 또한, 취약계층의 공간 분포 및 특성을 유형화하는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취약계층 밀집 지역과 건강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취약계층 전연령에 대하여 이들이 밀집해서 거주하고 있는 지역 중 건강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해당 지역의 물리적 환경과의 관계를 고찰함으로써 선행 연구와의 차별성을 갖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건강정도를 객관적 지표인 체질량지수를 통해 비만 정도의 지역별 격차를 공간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한다. 따라서 체질량지수가 공간적으로 높은 값과 낮은 값을 가지는 군집패턴을 보이는 지역을 추출하고 이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취약계층의 비만도가 밀집한 지구가 존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I 통계량과 G 통계량을 활용하여 국지적 핫스팟 분석을 수행하였다. I 통계량의 경우 평균보다 큰 값과 작은 값 모두 높은 통계량으로 나타나도록 기여한다.
  • 따라서 I 통계량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분포 패턴을 확인하기 위하여 I 통계량과 G 통계량이 함께 사용되어야 한다[13]. 우선적으로는 I 통계량 값에 따라 비만인구비율의 공간자기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차별점을 두어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근린의 물리적 속성과 각 거주민의 건강수준과의 관계를 공간적으로 파악하여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자료는 보건복지부에서 운영하고 지자체별 보건소에서 계획·실시하는 방문건강관리사업 자료를 활용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 다문화가정 등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대상자인 보건분야의 취약계층에 주목하였다. 이들 건강정도의 공간 분포를 파악하고, 건강상태가 비교적 양호하거나 그렇지 않은 취약계층의 군집도를 파악하여 해당하는 지구의 근린환경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 즉, 이 들 취약계층의 건강정도가 공간적으로 어떤 군집패턴을 보이며, 그 해당 사례 지구를 선정하여 당 지구의 근린환경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의 위험성에 대한 세계적 인식은? 2조원’으로 최근 10년간 2배 증가되었고, 이는 고령화 등으로 더욱 가속화 될 전망이다[3]. 또한, WHO에서 비만은 21세기 신종 전염병으로 정의함으로써 특히 비만 발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과 신체활동 실천에 초점을 맞추어 각 국가에서 비만 예방 관리를 위한 노력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최근 보건복지부의 2018년 국가비만관리 종합대책보고 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고도 비만인구(5.
도시계획과 보건학 분야에서 지목한 비만의 요인은? 이러한 측면에서 도시계획 분야 에서도 비만 및 건강도시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 다. 그 중 도시계획과 보건학의 협력연구에 따르면 자동차 의존적 생활패턴, 보행자도로의 감소 및 녹지 감소, 일상생활로부터의 스트레스와 비활동적 (seden-tary)생활 등이 비만과 당뇨, 심근병, 호흡기 질 환 및 우울증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중요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4-7].
과체중 및 비만이란 무엇인가? 과체중 및 비만은 각종 질병과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이 될 뿐 아니라 개인의 생활양식 및 정신적인 부분까 지 포괄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다[1]. 즉, 비만은 만성질환 발생의 주요 건강 위험요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오상우, 취약계층 영양불균형 및 비만, 보건복지부, 2017. 

  2. 김은정, 강민규, "공간회귀모형을 활용한 도시환경이 지역사회 비만도와 자가건강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연구, 제68권, pp.85-98, 2011. 

  3. 보건복지부,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 보건복지부, 2018. 

  4. H. D. Sesso, R. S. Paffenbarger, T. Ha, and I. Lee, "Physical Activ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Vol.150, No.4, pp.408-424, 1999. 

  5. B. G. Swinburn, G. Egger, and F. Raza, "Dissecting Obesogenic Environment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ramework for Identifying and Prioritizing Environmental Interventions for Obesity," Preventive Medicine, Vol.29, No.6, pp.563-570, 1999. 

  6. A. Steptoe and P. J. Feldaman, "Neighborhood Problems as Sources of Chronic Stres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Neighborhood Problems, and Associations with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Vol.23, No.3, pp.177-185, 2001. 

  7. 이차남, "미국의 건강도시 연구와 정책 동향," 국토, 제345호, pp.12-25, 2010. 

  8. 김미희, 건강도시계획의 요소와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9. 국회입법조사처, 보건의료 취약계층 건강 보호 정책, 국회입법조사처, 2012. 

  10. 김용진, 도시 노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근린 환경요소,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1. 이희연, 이다예, 유재성, "저소득층 노인 밀집지구의 시.공간 분포와 근린환경 특성," 서울도시연구, 제16권, 제2호, pp.1-18, 2015. 

  12. 김동하, 노인의 신체활동 관련 주관적 근린환경인식 탐색; 다중 질적방법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13. 이경주, 김용진, 홍성조, "범죄발생과 토지이용간 공간적 상관관계 탐색을 위한 실증연구," 한국도시행정학보, 제28권, 제4호, pp.245-267, 2015. 

  14. 김한이, 취약계층 건강의 공간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교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