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류와 고나트륨 한식 대표 음식의 나트륨 함량 및 염도 저감화 기준치 개발
Development of standards for reducing the sodium content and salinity of Korean fermented soybean sauces and representative Korean foods high in sodium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2 no.2, 2019년, pp.185 - 193  

지앙린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은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정숙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연경 (경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본 연구는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나트륨 함량과 염도 기준치를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 장류 4종과 고나트륨 한식대표 음식 16종에 대하여 전국 4개 권역, 10개 지역의 가정식, 단체급식과 외식 음식의 1인 분량, 나트륨 함량과 염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식과 단체급식을 위한 나트륨 및 염도의 저감 기준치를 제안하였다. 장류의 저감화 염도 기준으로 간장 12%, 된장 9%, 고추장 5%, 쌈장 6% 이하로 제안하였고, 장류 100 g의 나트륨 함량 기준은 간장 4,500 mg 이하, 된장 3,500 mg 이하, 고추장 2,000 mg 이하, 쌈장 2,500 mg 이하로 제안하였다. 음식군별 나트륨 저감 염도는 국 탕 찌개류에서는 맑은 국류 0.5%, 맑은 탕류가 0.6%, 토장국류, 일반 탕류 및 찌개류 0.7%, 토장찌개류 0.8%로 제안하였다. 어육류의 찜류와 볶음류는 0.9% 이하, 조림류는 1.0% 이하, 채소류를 포함한 기타 조림류는 1.5% 이하, 장아찌류, 배추김치와 총각김치는 모두 1.5% 이하, 건어물 볶음류는 4.0% 이하로 제안하였다. 음식군별 1인분 나트륨 함량 저감 기준은 맑은 국 400 mg 이하, 토장국 500 mg 이하, 맑은 탕류 400 mg 이하, 일반 탕류 550 mg 이하, 토장찌개류 600 mg 이하, 일반 찌개류 450 mg이하, 어육류 찜류 600 mg 이하, 어육류 볶음류 450 mg 이하, 건어물 볶음류 250 mg 이하, 어육류 조림류 350 mg 이하, 채소 조림류 150 mg 이하, 장아찌류, 김치류 (배추김치와 총각김치)는 200 mg 이하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장류의 염도와 100 g 당 나트륨 저감 기준 및 고나트륨 한식대표 음식의 1인 분량 및 1인분 나트륨 함량과 염도 저감 기준은 가정식과 단체급식의 저염 조리 시 가이드가 될 것이며, 범국민 나트륨 저감화 교육자료로도 활용되어 나트륨 섭취 저감화 실현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standards for the salinity and sodium content in representative Korean foods high in sodium. Methods: A total of 600 foods from four seasonings (soy sauce, soybean paste, red pepper paste, and ssamjang) and 16 representative Korean foods high in sodium w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나트륨 한식 대표 음식은 지역 및 급식 장소를 대표할 수 있는 곳에서 수거하기 위하여 대한영양사협회 (사업체 분과), 한국외식업중앙회, 소비자단체협의회와 각 시도 관련 부처에 공문을 발송하여 수거 장소 섭외를 위한 협조를 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가정식, 단체급식, 외식의 장류와 고나트륨 한식 대표 음식의 염도와 나트륨 함량을 분석하고, 보건복지부, 식약처, 교육부 등 관련 기관의 감량 정책 등을 고려하여, 장류와 고나트륨 한식 대표 음식군별 나트륨과 염도의 저감화 기준치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나트륨 함량과 염도 기준치를 제시하기 위하여 국내 장류 4종과 고나트륨 한식대표 음식 16종에 대하여 전국 4개 권역, 10개 지역의 가정식, 단체급식과 외식 음식의 1인 분량, 나트륨 함량과 염도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식과 단체급식을 위한 나트륨 및 염도의 저감 기준치를 제안하였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9]에서는 나트륨 저감화를 위하여 1단계로 우리 국민의 1일 나트륨 섭취량에서 20%를 감량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다. 이철희 등 [10]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 국민의 평균 나트륨 섭취량을 2009년 현재 수준인 1인 1일 4,700 mg에서 3,000 mg으로 약 36% 낮출 경우 의료비용 절감, 노동손실비용 감소, 사망으로 인한 소득 및 후생손실의 감소 등을 모두 포함하여 나트륨 섭취량 감소정책의 총 편익은 연간 12조 6,000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 7%, 국 배식량 초등학교 100mL, 중학교 130 mL, 고등학교 150 mL 이하를 권장하는 정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나트륨 섭취의 급원인 장류와 고나트륨 한식 대표 음식에 대한 나트륨 저감화 기준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1인분의 나트륨 함량 저감화 제안 기준은 국은 맑은 국 400 mg 이하, 토장국 500 mg 이하, 맑은 탕류 400 mg 이하, 기타 탕류 550 mg 이하, 토장찌개 600 mg 이하, 기타 찌개류 450 mg 이하로 정하였다. 식약처 자료집 [25]에 의하면 소고기미역국의 1인분 (65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나트륨 한식 대표 메뉴의 가정식과 단체급식의 평균 염도는 어떻게 되는가? 비빔밥의 염도는 0.75 ± 0.22%였으며, 20% 염도를 저감하면 0.60%였다. 국·찌개·탕류 (미역국, 된장국, 육개장, 동태탕, 된장찌개, 순두부찌개)의 염도는 미역국이 0.64%로 가장 낮았고, 된장찌개가 0.96%로 가장 높았으며, 염도를 20% 저감하면 0.51 ~ 0.77%가 되었다. 돼지갈비찜의 염도는 1.11 ± 0.32%에서 20% 저감하면 0.89%가 되었다. 볶음류의 염도는 쇠불고기 1.03 ± 0.31%, 돼지고기볶음 1.16%, 멸치볶음 4.26%였으며, 20% 저감하면 0.82 ~3.41%가 되었다. 조림류는 고등어조림 1.28%, 연근조림 1.81%였으며, 20% 저감하면 각각 1.03%와 1.45%가 되었다. 양파장아찌는 2.1%였으며, 20% 저감하면 1.68%가 되었고, 김치류는 배추김치 2.01%였고, 총각김치 (깍두기)는 1.86%였으며 20% 저감하면 각각 1.61%, 1.49%가 되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9]에서는 나트륨 저감화를 위하여 1단계로 정한 목표는 무엇인가? 식품의약품안전처 [9]에서는 나트륨 저감화를 위하여 1단계로 우리 국민의 1일 나트륨 섭취량에서 20%를 감량하는 것을 목표로 정하였다. 이철희 등 [10]의 연구에 의하면 우리 국민의 평균 나트륨 섭취량을 2009년 현재 수준인 1인 1일 4,700 mg에서 3,000 mg으로 약 36% 낮출 경우 의료비용 절감, 노동손실비용 감소, 사망으로 인한 소득 및 후생손실의 감소 등을 모두 포함하여 나트륨 섭취량 감소정책의 총 편익은 연간 12조 6,000억 원으로 추정되었다.
고나트륨 한식 대표 음식의 순위는 어떻게 되는가? 고나트륨 한식 대표 음식을 선정하기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2]에서 나트륨 섭취량의 주요 급원식품을 조사한 결과, 소금 1위, 배추김치 2위, 간장 3위, 된장 4위, 총각김치 6위, 고추장 7위, 쌈장 10위로 주로 소금과 장류 및 김치류가 상위 10위에 포함되었다. 따라서 장류를 활용한 국, 탕, 찌개류와 조림류, 찜류, 볶음류, 장아찌류와 김치류를 고나트륨 한식대표 메뉴로 고려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2. 

  3. Shin EK, Lee YK. Comparison of sodium content of workplace and homemade meals through chemical analysis and salinity measurements. Nutr Res Pract 2014; 8(5): 558-563. 

  4. Son SM, Huh GY. Salt intake and nutritional problems in Korean.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3): 381-390. 

  5. Shin EK, Lee HJ, Lee JJ, Ann MY, Son SM, Lee YK. Estimation of sodium intake of adult female by 24-hour urine analysis, dietary record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DFQ 55). Korean J Nutr 2010; 43(1): 79-85. 

  6. Lim HS, Ko YS, Shin D, Heo YR, Chung HJ, Cjae IS, et al.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for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Masan, Gwangju, and Je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3; 42(8): 1303-1317. 

  7. Kim JA, Kim YH, Ann MY, Lee YK. Measurements of salinity and salt content by menu types served at industry foodservice operation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5): 637-651. 

  8. Lee H, Lee C, Lee K, Jung Y, Ha S, Jung Y, et al. Survey on sodium contents in meals of school foodservice and sodium intakes of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buk-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1): 85-91. 

  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By the 2017, the sodium intake will be reduced by 20%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4 Feb 5 [cited 2015 Oct 22].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brd/m_99/view.do?seq22795. 

  10. Lee CH, Kim DI, Hong JL, Koh EU, Kang BW, Kim JW, et al. Cost-benefit analysis of sodium intake reduction policy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2012; 17(3): 341-352. 

  1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National Health Plan in Korea (2011-2020). [Internet]. Health Plan; 2017 Mar 7 [cited 2018 Sep 22]. Available from: https://www.khealth.or. kr/board/view?linkId559209&menuIdMENU00829. 

  12.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 of student health promotion, 2017. [cited 2018 Sep 22] Available from: https://www.dge.go. kr/dep/board/view.do?menu_idx24&manage_idx39&board_ idx1006054. 

  13. Ministry of Education. Guidelines for sodium reduction of school foodservice 2014 [Internet].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014 [cited 2018 Sep 07]. Available from: http://www.moe.go. kr/boardCnts/view.do?boardID318&lev0&statusYNW&s moe&m030207&opTypeN&boardSeq52712. 

  14. Jiang L, Lee YK. Analysis of sodium content of representative Korean foods high in sodium from home meal, foodservice, and restaurants. J Nutr Health 2017; 50(6): 655-663. 

  15. Jiang L, Shin D, Lee YK. Salinity of representative Korean foods high in sodium from home meals, foodservices, and restaurants. Korean J Community Nutr 2018; 23(4): 333-340. 

  16. Lee KJ, Song MR. Salinity of Kimchi and soups/stews, and the acceptability and attitudes of restaurant owners toward salt in the Jeonju area. Korean J Food Cult 2009; 24(3): 279-285. 

  17. Park S, Min SH. A study on eating out behavior and recognition of salinity in restaurant food in Jecheon area. J Korean Soc Food Cult 2009; 30(1): 20-28. 

  18. Park HR, Jeong GO, Lee SL, Kim JY, Kang SA, Park KY, et al. Workers intake too much salt from dishes of eating out and food service cafeterias; direct chemical analysis of sodium content. Nutr Res Pract 2009; 3(4): 328-333. 

  19. Jang MR, Hong MS, Choi BC, Han SH, Lee KA, Kim LL, et al. Contents of sodium and potassium for restaurant dishes in Seoul. J Food Hyg Saf 2010; 30(2): 189-195. 

  2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Nutrition facts of restaurant food.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21. Park SY, Lee KA. Study on the salt and sodium content of middle school lunch meals in Gyeongsangbuk-do area - focus on application of 'SamSam Foodserv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6; 45(5): 757-764. 

  22. Lee S, Chang E, Choi J, Bahn K, Kim M. Current assessment of sodium and potassium intake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rough school me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0; 42(5): 578-585. 

  23. Lee EM, Park YG, Jung WY, Kim MR, Seo EC, Jung RS, et al. Survey on sodium and potassium content of school meals as well as sodium and potassium intake by students in the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0; 20(6): 853-862. 

  24. Ko YS, Kang HY. A study of the major dish group, food group and meal contributing to sodium and nutrient intake in Jeju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J Nutr Health 2014; 47(1): 51-66. 

  25.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practical restaurant for sodium reduction 2017.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3rd revision.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27. Korea Consumer Agency. Soy sauce, all products are safe, but there is a large difference in sodium content by type [Internet]. Eumseong: Korea Consumer Agency; 2016 Sep 5 [cited 2016 Oct 22]. Available from: http://www.kca.go.kr/brd/m_32/view. do?seq2096&multi_itm_seq0. 

  2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Reduction of processed food sodium part 2- soybean enterprise [Internet].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1 Sep 30 [cited 2017 Sep 7].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brd/m_99/view. do?seq16166. 

  29. Oh SI, Lee MS. Salinity and sweetness of Korean Jang products related to taste threshold, preferences of food group and nutrient intakes in the rural elderly. Korean J Food Nutr 2017; 30(4): 780-787. 

  30.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Sam Sam' foodservice 2017. Cheongju: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