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02~2016년도 제주도 소아의 성홍열 발생의 시계열분석
Time series analysis for incidence of scarlet fever in children in Jeju Province, Korea, 2002~2016 원문보기

The Journal of Medicine and Life Science = 의생명과학, v.16 no.3, 2019년, pp.90 - 95  

신인혜 (제주도 감염병관리지원단) ,  배종면 (제주도 감염병관리지원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interpreted that recent outbreaks of scarlet fever in Korea since 2011 was resulted from the expansion of scarlet fever notification criteria. To suggest a relevant hypothesis regarding this emerging outbreak, a time series analysis(TSA) of scarl...

Keyword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코호트 효과가 있다는 사실에 따라, 성홍열 발생의 시계열분석 (time series analysis, TSA)을 할 필요가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성홍열 유행에 대한 TSA 분석을 수행하여, 성홍열 발생이 증가한 사실을 보다 타당하게 설명하기 위한 가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홍열(scarlet fever)은 어떻게 생기는가? 발열외독소(pyrogenic exotoxin)을 생성하는 group A streptococcus (GAS) 감염에 의해 생기는 성홍열(scarlet fever)1)은 2011년 홍콩과 중국 본토에서,2-5) 2014~2016년 영국6,7)에서 돌발적인 유행을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홍열의 돌발적 유행에 대하여 정확한 이유는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불규칙 요인이란? 12) 시계열 데이터의 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추세요인(T, trend), 순환요인(C, circular), 계절요인(S, season), 불규칙 요인(R, error) 등이 있는데, 계절 분해 시계열 모형은 이러한 변동요인을 고려한 것이다. 불규칙 요인은 계절요인(S)에서 추세순환요인(TC)을 뺀 차이 값을 의미한다. 만약 발생건수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진폭이 비율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을 경우 4가지 변동 요인들의 합으로 이루어진 가법모형을 적용하였다.
TSA 중 계절 분해 기법(Seasonal Decomposition)은 어떤 요인을 고려한 기법인가? 계절성을 확인하기 위해 TSA 중 계절 분해 기법(Seasonal Decomposition)을 사용하였다.12) 시계열 데이터의 변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추세요인(T, trend), 순환요인(C, circular), 계절요인(S, season), 불규칙 요인(R, error) 등이 있는데, 계절 분해 시계열 모형은 이러한 변동요인을 고려한 것이다. 불규칙 요인은 계절요인(S)에서 추세순환요인(TC)을 뺀 차이 값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Walker MJ, Barnett TC, McArthur JD, Cole JN, Gillen CM, Henningham A, et al. Disease manifestations and pathogenic mechanisms of Group A Streptococcus. Clin Microbiol Rev 2014;27:264-301. 

  2. Hsieh YC, Huang YC. Scarlet fever outbreak in Hong Kong, 2011. J Microbiol Immunol Infect 2011;44:409-11. 

  3. Lee CF, Cowling BJ, Lau EHY. Epidemiology of Reemerging Scarlet Fever, Hong Kong, 2005-2015. Emerg Infect Dis 2017;23:1707-10. 

  4. Chen M, Yao W, Wang X, Li Y, Chen M, Wang G, et al. Outbreak of scarlet fever associated with emm12 type group A Streptococcus in 2011 in Shanghai, China. Pediatr Infect Dis J 2012;31:e158-62. 

  5. Yang P, Peng X, Zhang D, Wu S, Liu Y, Cui S, et al. Characteristics of group A Streptococcus strains circulating during scarlet fever epidemic, Beijing, China, 2011. Emerg Infect Dis 2013;19:909-15. 

  6. Guy R, Williams C, Irvine N, Reynolds A, Coelho J, Saliba V, et al. Increase in scarlet fever notifications in the United Kingdom, 2013/2014. Euro Surveill 2014;19:20749. 

  7. Lamagni T, Guy R, Chand M, Henderson KL, Chalker V, Lewis J, et al. Resurgence of scarlet fever in England, 2014-16: a population-based surveillance study. Lancet Infect Dis 2018;18:180-7. 

  8. Korea Centers for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s for scarlet fever prevention and control 2017 [cited 2019 Apr 21].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together/CdcKrTogether0302.jsp?menuIdsHOME006-MNU2804-MNU3027-MNU2979&cid138052. 

  9. Korea Centers for Diseases Control and Prevention. Report of explanation on 2016 December 26: explosion of measles and scarlet fever [cited 2019 Apr 21].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notice/CdcKrIntro0201.jsp?menuIdsHOME006-MNU2804-MNU2937&cid72443. 

  10. Kim MN, Han YJ, Yang DH, Bae JM. Status of National Notifiable Infectious Diseases in Jejudo, Korea: 2001-2017. J Med Life Sci 2017;14:51-8. 

  11. Kim JH, Kim JE, Bae JM. Incidence of scarlet fever in children in Jeju Province, Korea, 2002-2016: an age-period-cohort analysis. J Prev Med Public Health 2019;52:195-9. 

  12. Cleveland WP, Tiao GC. Decomposition of seasonal time series: a model for the census X-11 program. J Am Stat Assoc 218 1976:71:581-7. 

  13. IBM. SPSS Forecasting 22. [cited 2019 Apr 21]. Available from: http://www.sussex.ac.uk/its/pdfs/SPSS_Forecasting_22.pdf. 

  14. Andrey DO, Posfay-Barbe KM. Re-emergence of scarlet fever: old players return? Exp Rev Anti-infect Ther 2016;14:687-9. 

  15. Duan Y, Huang XL, Wang YJ, Zhang JQ, Zhang Q, Dang YW, et al. Impact of meterological changes on the incidence of scarlet fever in Hefei City, China. Int J Biometerol 2016;60:1543-50. 

  16. Tse H, Bao JY, Davies MR, Maamary P, Tsoi HW, Tong AH,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2011 Hong Kong scarlet fever outbreak. J Infect Dis 2012;206:341-51. 

  17. Choi JH, Yang NR, Lee WJ, Lee H, Choi EH, Lee HJ. Distribution of emm types among group A Streptococcus isolates from children in Korea. Diagn Microbiol Infect Dis 2015;82:26-31. 

  18. Park DW, Kim SH, Park JW, Kim MJ, Cho SJ, Park HJ, et al. Incidence and Characteristics of Scarlet Fever, South Korea, 2008-2015. Emerg Infect Dis 2017;23:658-6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