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0대와 20대의 셀러브리티 패션 핫 아이템 구매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Influencing Factors on Purchase of Celebrity Fashion Hot Items in Teens and Twentie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1 no.2, 2019년, pp.151 - 162  

지혜경 (한성대학교 글로벌패션산업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s influential factors in regards to the purchase of celebrity fashion hot items and compares these factors in the age groups of teens and twenties. This study surveyed male and female consumers aged 10-20 years old for empirical analysis in July 2018. The study surveyed 322 con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10대 청소년 및 20대의 셀러브리티에 대한 관심과 셀러브리티의 유명세로 관련 제품이 패션 핫 아이템이 되는 유행현상에 주목하여, 10대와 20대 소비자들이 이러한 제품의 구매에 어떤 특성을 보이고, 이들의 구매에는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과거 많은 연구들이 셀러브리티 관련 제품 구매에 셀러브리티의 광고효과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 반면 이러한 제품 구매에 미치는 소비자 요인의 영향을 다룬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선행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진 다양한 소비자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요인들 중 특히 10대와 20대의 셀러브리티 패션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소비자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10대와 20대 소비자들이 셀러브리티 관련 패션제품 구매에 관심과 구매의도가 높은 특징을 가짐을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다음은 셀러브리티 제품 구매와 관련하여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다양한 소비자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0대 청소년 및 20대 소비자들이 셀러브리티 패션 핫 아이템을 어떻게 구매하고 있고 이들 간에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이들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10대 및 20대 소비자들의 셀러브리티 패션 핫 아이템 구매에 미치는 제품관여도, 유행관여도, 매체의존도, 패션동조성, 일반동조성, 모방욕구, 동일시욕구, 유행혁신성, 유행의사선도력의 영향은 이론적 배경에서 선행연구들에 나타난 결과와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특히 10대 및 20대 남녀 소비자 각각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특징적인 소비자 요인을 밝혔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 본 연구에서는 셀러브리티 패션 핫 아이템에 대한 10대와 20대 소비자들의 구매특성과 이들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이 10대 청소년 및 20대의 셀러브리티에 대한 관심과 셀러브리티의 유명세로 관련 제품이 패션 핫 아이템이 되는 유행현상에 주목하여, 10대와 20대 소비자들이 이러한 제품의 구매에 어떤 특성을 보이고, 이들의 구매에는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과거 많은 연구들이 셀러브리티 관련 제품 구매에 셀러브리티의 광고효과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중점을 둔 반면 이러한 제품 구매에 미치는 소비자 요인의 영향을 다룬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선행연구에서 부분적으로 다루어진 다양한 소비자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요인들 중 특히 10대와 20대의 셀러브리티 패션제품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소비자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 위에서와 같이 10대~20대의 젊은 소비자들이 보이는 셀러브리티 관련 제품 지각 특성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셀러브리티로 인해 패션 핫 아이템이 된 제품에 대하여 10대~20대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품목 및 구매정도, 구매만족도, 기업의 셀러브리티 마케팅 의도에 대한 의식 정도는 어떤 지를 파악해 보고자 한다.
  • 위에서와 같이 셀러브리티 관련 패션제품을 구매하는 데에는 다양한 소비자 요인이 작용하는 점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10대~20대 소비자들이 셀러브리티의 착용 혹은 사용으로 패션 핫 아이템이 된 제품을 구매하는데 소비자의 제품관여도, 유행관여도, 매체의존도, 패션동조성, 일반동조성, 모방욕구, 동 일시욕구, 유행혁신성, 유행의사선도력 등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러한 검증을 통해 10대 및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셀러브리티 마케팅을 전개하는 패션기업들에게 유의한 소비자 요인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셀러브리티 마케팅 전략을 수행해 나가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되는 10대와 20대 소비자들이 셀러브리티 관련 패션제품 구매에 관심과 구매의도가 높은 특징을 가짐을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하고, 다음은 셀러브리티 제품 구매와 관련하여 기존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진 다양한 소비자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로부터 본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소비자 요인의 근거를 마련하고, 본 분석에는 이러한 다양한 소비자 요인 중 특히 10대와 20대 남녀 소비자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소비자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10대 및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셀러브리티 마케팅을 전개하는 패션기업들에게 유의한 소비자 요인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셀러브리티 마케팅 전략을 수행해 나가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 특히 젊은 층이 셀러브리티에 대해 갖는 관심과 열정은 팬덤현상을 일으키기도 하고 관련 제품이 날개 돋친 듯이 팔리기도 하여 패션기업들은 마케팅 차원에서 늘 관심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0대와 20대의 젊은 층이 셀러브리티의 유명세로 인해 패션 핫 아이템이 된 제품에 대하여 어떤 구매특성을 보이고, 이들의 구매에는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대~20대 남녀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은 연구들은 모두 셀러브리티를 광고모델로 설정한 것에 기초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셀러브리티가 광고요소로 사용되었던 그렇지 않던 셀러브리티의 착용 혹은 사용으로 유명해진 패션 핫 아이템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떤 구매특성을 보이고, 이러한 제품의 구매에는 소비자의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에 이하에서는 선행연구들에 나타난 셀러브리티 관련 패션제품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요인을 다룬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이유로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셀러브리티를 광고 요소로 사용했을 때 얻을 수 있는 광고효과 및 광고효과 불러일으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었다(Nam, 2015). 이와 같은 연구들은 모두 셀러브리티를 광고모델로 설정한 것에 기초한 연구로, 본 연구에서는 셀러브리티가 광고요소로 사용되었던 그렇지 않던 셀러브리티의 착용 혹은 사용으로 유명해진 패션 핫 아이템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떤 구매특성을 보이고, 이러한 제품의 구매에는 소비자의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고자 한다. 이에 이하에서는 선행연구들에 나타난 셀러브리티 관련 패션제품의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자 요인을 다룬 연구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셀러브리티가 패션산업에 중요한 마케팅 장치인 이유는? 대중에게 주목받는 셀러브리티나 셀러브리티 패션스타일은 그들의 특징적인 요소를 모방하는 워너비(Wanna-Be)현상을 만들어내기도 하고 더 적극적으로는 팬덤문화를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문화에 동참하는 사람들은 셀러브리티와 관련된 모든 행 사나 그들이 사용하는 상품을 구매, 수집, 소유함으로써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Goh & Kwak, 2011). 이러한 영향 때문에 셀러브리티는 패션산업에서 중요한 하나의 마케팅 장치로 활용되고 새로운 패션트렌드와 사회문화적 이데올로기를 생성, 전파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Kim, 2007).
워너비(Wanna-Be)현상이란? 기존 대중 매체뿐만 아니라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유투브와 같은 시각영상 효과가 큰 온라인 매체들이 보다 보편적으로 활용됨에 따라 패션기업들은 셀러브리티의 신상 아이템을 재빨리 캐치하여 빠른 시간에 시장에 내놓음으로써 매출을 올릴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되었다. 대중에게 주목받는 셀러브리티나 셀러브리티 패션스타일은 그들의 특징적인 요소를 모방하는 워너비(Wanna-Be)현상을 만들어내기도 하고 더 적극적으로는 팬덤문화를 만들기도 한다. 이러한 문화에 동참하는 사람들은 셀러브리티와 관련된 모든 행 사나 그들이 사용하는 상품을 구매, 수집, 소유함으로써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힘을 발휘하기도 한다(Goh & Kwak, 2011).
패션업체들은 어떤 방법으로 광고효과를 얻는가? 셀러브리티에 대한 워너비나 동조현상은 젊은 층에서 더 잘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o, 2007) 특히 10대 청소년들은 자신들이 현재 실현하기 어려운 욕망을 대중 스타의 모습을 모방하고 함께하는 사람들끼리 공유함으로써 정체성을 갖고 싶어 하여, 10대 청소년들에게는 셀러브리티에 대한 열광이나 열망, 모방, 동일시, 동조 욕구가 더 크게 나타난다(Goh & Kwak, 2011). 패션업체들은 청소년들의 이러한 스타에 대한 동조심리를 이용하여 자사 브랜드 이미지와 어울리는 연예인을 모델로 기용하거나 의상을 협찬하여 광고효과를 얻고자 한다(Jang, 2008). 한 기사에 따르면 최근 아이돌 굿즈(Idole goods)가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유통업체들은 아이돌 굿즈 상품을 출시하며 1020세대를 공략하고 있고 상품 종류도 과거 책받침, 브로마이드 정도에서 화장품, 생필품 등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Cho, J. H. (2017). The influences of celebrity endorser imitation in OOH advertising and social comparison on audience's level of materialism.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7(4), 49-70. 

  2. Cho, Y. J. (2000). Study o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benefits sought according to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3. Cho, Y. J. (2007). The influence of the PPL advertisement on TV dramas over the fashion brand preference and the intention to purchase fashion produ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4. Choi, M. Y. (2016). A study on sports outdoor wear market segmentation according to the fashion conformity of china adolescent consumers. Journal of Fashion Design, 16(3), 47-65. 

  5. Chung, S. H., & Moon, S. J. (2001). A study on the fashion leadership and wear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entertainers for fashion styles. Chung-Ang Journal of Human Ecology, 14, 163-186. 

  6. Do, K. E. (2008). A study of process which the popular fashion style has been spreading to the public-on basis of celebrity.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4(3), 182-190. 

  7. Goh, Y. H., & Kwak, T. G. (2011). A study on the Wanna-Bephenomenon of celebrity fashion style. Journal of Fashion Design, 11(1), 17-36. 

  8. Ha, J. K. (2006). A study on clothing involvement and TV mediarelated influential factor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1), 141-148. 

  9. Jang, J. S. (2008). A effect on the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fashion lifestyle and star marke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10. Jang, S. H. (2002). The effect of star-marketing on teenagers' fashion similarity -Those aging from 13 to 18 living in Kang-buk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uksung Women's University, Seoul. 

  11. Jeong, S. J. (2016).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models and star marketing - Focusing on product involvement and fashion lifestyl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University, Seoul. 

  12. Joo, S. Y. (2015). Fashion industry system and fashion leaders in the digital e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im, J. H., & Ahn, J. T. (2004). The effects of endorsers' perceived expertise and viewers' fashion involvement on product placement: The PPL of fashion goods in TV dramas.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14(1), 95-115. 

  14. Kim, J. M. (2017). The effect purchase motivation factors for celebrities personal fashion brand on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product satisfaction - Focused on chinese consumer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3(4), 197-206. 

  15. Kim, H. L. (2000a).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placement of goods in TV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6. Kim, H. N. (2000b). Consumer segmentation of clothing products by fashion conformity and their reference grou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7. Kim, K. A. (2006). PPL effect of clothing sponsorship in TV drama - Focused on adolescent gir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18. Kim, M. S., & Lee, H. T. (2012). The effect of the self-congruity and conformity on the WOM of smart phone.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23(1), 281-299. 

  19. Kim, S. L. (2007). Celebrity fashion and the influence of celebrity on a fashion socie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20. Koh, W. J. (2017). The usage of Instagram and hash-tags and usefulness of fashion information and purchasing intention as determined by fashion leadership.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21. Krugman, H. E. (1971). Brain wave measure of media involvement.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1(1), 3-9. 

  22. Kwon, M. H., & Lee, G. C. (2000). Consumption values and rationality of consumption behavior of adolescent consumer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18(2), 175-190. 

  23. Lee, D. A. (2015a). Effects of types of endorser and fashion goods, fashion involvement on attitudes of advertis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24. Lee, H. E., & Choi, J. W. (2014).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elebrity fashion on public.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Conference Proceedings, 127-128. 

  25. Lee, H. S. (2015b). Effects of Korean wave star's activity on the fandom's emotional identification or consumption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26. Lee, S. K. (2008). Adolescent imitation behavior by preference of entertainer and communication activit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7. Nam, I. Y. (2015). Review of studies on advertising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 in Korea. Global Culture Contents, 19, 67-98. 

  28. Park, J. J. (2006).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placement-an intention-based approach. Advertising Research, 71, 153-175. 

  29. Park, J. M. (2008). The effect of star marketing on clothing purchasing behavior of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30. Park, J. M., & Park, K. H. (2008). The effect of star marketing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 of adolescent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0(2), 173-180. 

  31. Park, R. M. (2018, April 14). 'Special demand for Idol goods in retailer market, Wanna One goods sell out in a flash' ... 100 billion Won idol goods market 'wide open'. Economy-The Korean Herald. Retrieved February 5, 2019, from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80413000676 

  32. Pyo, J. Y. (2019, January 30). 'Idol goods', increasing sales in online market, 11st. Newsis. Retrieved February 20, 2018, from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111902109931102001 

  33. Pyo, S. J. (2013). The effect of awareness of fashion products PPL on advertising effect-the moderating effect of fashion involvement and TV media depend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34. Robertson, T. S., & Wind, Y. (1980). Organizational psychographics and innovativenes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7, 24-32. 

  35. Rogers, E. M. (1962). Diffusion of innovation, 5th. New York: Free Press. 

  36. Seol, Y. H. (2012). The effects of ad model's characteristics(suitability & likability) on a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ed on model type and product involve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onggi University, Suwon. 

  37. Shin, J. H. (2000). The influence of TV costume over costume purchase act of new generation - Focusing on star market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38. Shim, H. R. (2017). The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distance of visual information on sns on consumers's fashion style preferenc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39. Yang, Y. J. (2011). The role of involvement, credibility and commitment to effecting on bus advertising. Journal of Outdoor Advertising Research, 8(2), 5-27. 

  40. Yun, S. U., & Woo, S. Y. (2005). A study of the effect of affective responses on attitudes toward the brand - Focused on the audience involvement and brand familiarity. The Korean Journal of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7(1), 7-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