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세기 초 철도부설과 읍성해체에 따른 도시공간구조와 주변 필지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ransformation of circumjacent Lot by Course of the Construction of Railroads and the Dismantlement of Eupseong in the Early 20th Century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8 no.2, 2019년, pp.31 - 40  

김대중 (경북대학교 건축학과) ,  조재모 (경북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the early 20th century when the existing urban system centered on urban areas began to change, the biggest factors causing urban structural changes in urban areas are construction of railroad and urban dismantling. The change process of Eupseong, in the microscopic viewp...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통적인 읍성도시가 현재의 도시로 변화는 과정의 시발점이 되는 20세기 초반의 철도부설과 읍성 해체에 따른 읍성의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과정에 주목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도시조직의 최소 규모인 필지의 변화에 주목하여 도시조직과 도시구조의 변화 관계를 유추해보고자 한다.
  • 이미 형성되어있는 필지들을 도로부지로 확보하고, 도로형성을 위해 지속적인 필지의 분합과정을 거치며 형성되기에, 이러한 변화는 아주 급진적이고 신속하게 발생한다. 또한 도시조직의 변화가 도시구조의 변화보다 선행, 혹은 동시에 일어나야 가능하기에 그 과정에서 전자와 차이점이 확실하다 하겠다. 앞의 두 사례가 시기적 기점을 확실히 두고 발생하는 반면, 마지막 변화과정은 경계의 붕괴 이후 동일화 과정과 확장의 개념으로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일어나는 변화이다.
  • 본 연구는 1910년대 이후 도입된 철도의 부설과 도시화 진행 과정 중 철거된 읍성이 기존 읍성도시의 가로구조에 미친 영향과 도시구조의 변화에 따른 미시적 변화, 즉 도시조직 내의 필지 단위 변화와의 관계에 대한 알아보고자 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도시의 대응 양상은 당시 조선의 읍성도시가 도시화의 과정에서 일어난 도심의 확장과 변화과정에 주목하여 나눈 것으로, 이는 철도의 개통의 영향과 읍성해체라는 당시로서는 상상조차 힘든 엄청난 요인들의 결합이 파생시킨 도시의 변화 과정이다.
  • 본 연구는 앞에서 언급한 변화과정에 주목하여 20세기 초반 읍성도시의 변화과정 초기에 성곽의 철거로 인한 읍성의 해체와 철도부설을 중심으로 읍성의 변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미시적 관점에서의 변화를 살피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지적원도는 국가기록원에 보관된 당시 조선총독부가 작성한 지적원도를 기반으로 한 문서자료를 디지털 파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도시의 필지조직의 변화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언급된 사례들은 읍성의 해체와 철도의 부설이 동시에 읍성의 변화에 작용한 사례6) 중 일부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전통적인 읍성도시가 현재의 도시로 변화는 과정의 시발점이 되는 20세기 초반의 철도부설과 읍성 해체에 따른 읍성의 도시공간구조의 변화 과정에 주목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도시조직의 최소 규모인 필지의 변화에 주목하여 도시조직과 도시구조의 변화 관계를 유추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철도부설 이후 철도와 평행·직각 방향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가로들은 기존 읍성 내에 형성되지 못하고 성곽을 기준으로 외부 지역에 위치하게 되는데, 중앙로는 읍성 내부의 가로 구조와는 무관하게 이러한 신도로들을 역사와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면서 신도심의 중심가로로서의 위계를 형성하여 대구의 이중적인 도시구조를 만들어내는 결정적인 원인이 된다.18) 변화초기 도로 건설을 위해 분필이 활발히 일어났다. 이는 도로면적 확보를 위한 분필로, 실질적으로 분필이 일어나고 도로로 사용되지 않는 남은 필지는 규모나 형태적인 측면에서 활용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주변의 필지들과의 합필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국토지리정보원 (http://www.ngii.go.kr) 

  2. 김대중, 일제강점기 대구시 필지상황 추적과 주변필지변화에 관한 연구: 북성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 김대중, 조재모, 일제강점기 철도부설에 따른 읍성도시의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3권, 10호, 2017, 67-78쪽 

  4. 손인실, 도시공간의 소통을 위한 경계의 장소화 - 성곽의 단절된 경계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5. 양선아, 남원의 토지이용 및 가로변천에 관한 연구: 조선후기 남원읍성을 기준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2 

  6. 우승완, 순천의 근대기 도시화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7. 우현승, 경북 상주시의 도시공간구조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8. 이미선, 근대기 대구 읍성의 필지변화 연구: 중앙로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장희천, 가로성격에 따른 상점 파사드의 형성에 관한 연구-서울 인사동 가로변 가게와 골목 안 가게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제42권, 1호, 2007.2, 69-79쪽 

  10. 정제정, 일제침략과 한국철도: 1892-1945,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1999 

  11. 조선총독부, 일만분일 조선지형도집성, 백서방, 1985 

  12. 조선총독부, 폐쇄지적(임야)도 등본, 국가기록원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