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차성(intersectionality)의 관점에서 바라본 실라 르브랑 드 브레트빌의 작품세계
The Works of Sheila Levrant de Bretteville with Reference to Intersectional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5, 2019년, pp.149 - 156  

김린 (동양미래대학교 시각정보디자인과) ,  박수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실라 르브랑 드 브레트빌의 작품세계에 일관되게 등장하는 '교차성(intersectionality)'을 주요 개념으로 채택하고 그의 디자인에 나타난 교차성 개념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주요 개념인 교차성의 정의를 흑인 페미니즘 사상으로부터 그 시원을 찾아보고, 디자인에 있어서 교차성 개념이 어떻게 실천되는지 개괄했다. 드브레트빌의 디자인 작업에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을 조형성, 디자인 방법론, 표현 매체 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1)발언의 타이포그래피 2)내러티브의 수집 3)장소특정적 설치와 같은 특징으로 수렴할 수 있었다. 디자인이 놓인 권력의 맥락을 전복하여 잊히거나 덜 조명된 입장들을 포용하는 교차성 개념을 근간으로 실라 르브랑 드 브레트빌의 디자인에 나타난 교차성을 살펴본 결과 1)비가시성의 가시화 2) 객체의 주체화 3)변방의 탈주변화와 같은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고가 탈중앙화, 다양화되는 한국 사회 동시대 가치 변화에 발맞춰 디자인 철학을 정립하고자 하는 연구자와 실무자에게 통찰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dopts 'intersectionality' as a key concept of Sheila Levrant de Bretteville's design works. As a method of research, this research suggests the definition of intersectionality, from the idea of black feminism. Analysis of the features are such as 1) Typography of speech, 2) Collection of...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드 브레트빌의 디자인 방법론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교차성(intersectionality)’을 본 연구의 주요 개념으로 채택한다. 드 브레트빌의 작품세계에 드러나는 전반적인 디자인 특징을 찾고, 그 결과 드 브레트빌의 디자인에 나타난 교차성 관점에서의 시사점을 발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3은 벽면 그래픽의 주된 요소로 지역 사회의 내러티브를 활용하고 있다. 드 브레트빌이 디자인에 착수했을 때는 이미 건축 설계안이 진행되어 로비 벽면 타일로 12인치짜리 백색 타일이 부착되어있었으나 드 브레트빌은 기존의 12인치 타일의 일부를 4인치 모자이크 타일로 대체하면서 힐하우스 고등학교 대부분의 재학생인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목소리를 반영하고자 했다. 모자이크 타일의 문양은 아프리카 고유 전통 문양인 켄테 옷감의 패턴을 활용함과 동시에 타일 안에 새겨질 인용문을 힐하우스 졸업생들로부터 수집했다.
  • 가령, 소아마비로 인해 인공호흡기에 의지해 연명하는 중증 장애인이 된 환자의 경험은 아버지로서의 가족 정체성, 탐험가이자 잎차 수출입상으로서의 직업 정체성과 교차되었을 때 ‘평생 병동에 갇혀 지내는 게 아니라 가족과 함께 집에서 지내고 싶다’에서 ‘가족과 함께 세상을 여행하고 싶다’로 확장된다 [14]. 이 실제 사례는 교차적 정체성을 통해 구조를 직시할 때어떻게 새로운 발견(이동식 전동 호흡기를 장착한 휠체어)과 국가 정책의 변화(사회의 동등한 일원으로서 장애인 인권과 이동권 보장)를 이끌어 내는지 보여 준다. 동질적이고 순도 높은 단일한 축을 공유하는 병동에서가 아니라 병동 밖의 가족, 친구, 후원자들과 함께 복합적 축의 교차적 연합을 이루면서 이러한 일들이 이루어진다.
  • 이상으로 살펴본 교차성 관점에서 실라 르브랑 드 브레트빌의 작품세계가 보여주는 시사점을 살펴보기에 앞서, 드 브레트빌 디자인 작업 전반에 드러나는 조형적, 표현매체적, 디자인 방법론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에 비하여 국내에서 드 브레트빌의 작품 세계에 관한 연구는 ‘디자인을 넘어선 디자인’과 같은 앤솔러지번역서에 단편적으로 다뤄지는데 그치고 있다[5]. 이에 본 연구는 그의 작품세계 전반에 관해 소개하고 작품 속에 반영된 시대적 관점을 짚어보고자 한다. 특히 드 브레트빌의 디자인 방법론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서 ‘교차성(intersectionality)’을 본 연구의 주요 개념으로 채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간 디자인이 선정한 2019년 디자인 트렌드 키워드는? 이와 같이 디자인이 놓인 권력의 맥락을 전복하여 잊히거나 덜 조명된 입장들을 포용하는 교차성 개념에 기본을 두고 드 브레트빌의 디자인에 나타난 교차성 경향을 찾아본 결과 크게 비가시성의 가시화, 객체의 주체화, 변방의 탈주변화 세 가지 통찰을 도출할 수 있었다. 월간 ‘디자인’은 2019년 디자인 트렌드 키워드로 한국 사회의 탈중앙화, 급진적 다양성 추구의 경향을 지적한 바 있다[17]. 인간 삶의 가치, 사회 어젠다의 변화와 밀접한 관계를 맺는 디자인 분야에 있어 이와 같은 사회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페미니스트 디자인 프랙티스 사례의 다양한 연구가 요청된다.
드브레트빌의 디자인 작업에 드러나는 공통적인 특징은 무엇인가? 연구의 주요 개념인 교차성의 정의를 흑인 페미니즘 사상으로부터 그 시원을 찾아보고, 디자인에 있어서 교차성 개념이 어떻게 실천되는지 개괄했다. 드브레트빌의 디자인 작업에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을 조형성, 디자인 방법론, 표현 매체 등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1)발언의 타이포그래피 2)내러티브의 수집 3)장소특정적 설치와 같은 특징으로 수렴할 수 있었다. 디자인이 놓인 권력의 맥락을 전복하여 잊히거나 덜 조명된 입장들을 포용하는 교차성 개념을 근간으로 실라 르브랑 드 브레트빌의 디자인에 나타난 교차성을 살펴본 결과 1)비가시성의 가시화 2) 객체의 주체화 3)변방의 탈주변화와 같은 세 가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언급한 교차성이 적용된 사례는 어떤 것인가요? 교차성은 여성 삶의 다양성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을 넘어 보편적 약자성, 주변화된 존재의 탈주변화 맥락으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가령, 소아마비로 인해 인공호흡기에 의지해 연명하는 중증 장애인이 된 환자의 경험은 아버지로서의 가족 정체성, 탐험가이자 잎차 수출입상으로서의 직업 정체성과 교차되었을 때 ‘평생 병동에 갇혀 지내는 게 아니라 가족과 함께 집에서 지내고 싶다’에서 ‘가족과 함께 세상을 여행하고 싶다’로 확장된다 [14].이 실제 사례는 교차적 정체성을 통해 구조를 직시할 때어떻게 새로운 발견(이동식 전동 호흡기를 장착한 휠체어)과 국가 정책의 변화(사회의 동등한 일원으로서 장애인 인권과 이동권 보장)를 이끌어 내는지 보여 준다. 동질적이고 순도 높은 단일한 축을 공유하는 병동에서가 아니라 병동 밖의 가족, 친구, 후원자들과 함께 복합적 축의 교차적 연합을 이루면서 이러한 일들이 이루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L. De Bretteville. (2018). Insights 2018: Sheila Levrant de Bretteville, Yale University/Sheila-Studio,https://www.youtube.com/watch?vQY8d80tGal4 

  2. P. Kirkham. (2002). Women Designers in the USA 1900-2000: Diversity and Difference, Yale University Press. 

  3. Joan, R.(1999). Design and Feminism: Re-Visioning Spaces, Places and Everyday Things, Rutgers University Press. 

  4. G. Kim. (2018). Gender, Creation, and Economy, LetterSeed, 10(1), 12-19. 

  5. J. V. Toorn et al. (2004). Design beyond Design, Seoul: Sigong Books. 

  6. Sheila Studio. (2018). https://sheilastudio.us 

  7. E. Lupton. (1993). Reputations: Sheila Levrant de Bretteville, Eye Magazine, http://www.eyemagazine.com/feature/article/reputations-sheila-levrant-de-bretteville 

  8. Brooklyn Museum.(2018). https://www.brooklynmuseum.org 

  9. Yale University. (2018). http://art.yale.edu/SheilaLevrantDeBretteville 

  10. AIGA Gold Medalist. (2018). https://www.aiga.org/medalist-sheilalevrantdebretteville 

  11. J. Park. (2018). Doing Intersectional Analysis in the Era of Neo-Liberalism, Women's Studies Review, 35(1), 163-183. 

  12. K. Crenshaw. (2016). The Urgency of Inter-sectionality, A talk at TED Women 2016 [video file],https://www.ted.com/talks/kimberle_crenshaw_the_urgency_of_intersectionality. (translation: J. Park) 

  13. K. Crenshaw. (1989).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University of Chicago Legal Forum, 1989(1), 139-167. 

  14. Movie title (2017). Breathe. 

  15. C. Sasha(2018). Design Justice: Towards an Intersectional Feminist Framework for Design Theory and Practice, Proceedings of DRS 2018 International Conference: 25-28 June 2018, 529-540. 

  16. S. L. De Bretteville. (2018). Insights 2018: Sheila Levrant de Bretteville, Yale University/Sheila Studio, https://www.youtube.com/watch?vQY8d80tGal4 

  17. E. Kim, E. Jeon. (2019). Design & Life Keword 2019 for Creators, Design, (487), 112-1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