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출결 시스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사용자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Problems and Solutions of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Focused on User's Awarenes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41 - 49  

이재학 (상명대학교 계당교양교육원) ,  이희화 (상명대학교 스포츠산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IT를 활용한 학습관리시스템인 전자출결 시스템을 직접 사용하는 교수 및 대학생들의 전자출결 시스템의 인식과 현황을 조사하고, 전자출결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1차 5명의 교수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한 스마트출결 시스템의 인식과 요구사항을 조사하였으며, 2차는 S대학 264명의 대학생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스마트출결 시스템 이용현황 및 인식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수자는 전자출결 시스템에 대하여 대부분 만족하며, 학습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학습역량 및 자기관리 기능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대학생들은 전자출결 시스템의 유저인터페이스와 속도에 불만족하는 것으로 지연시간, 로그인, 업데이트, 부정출석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지문 및 안면인식을 활용한 로그인의 간편화, 블루투스의 세기와 인증번호를 이용하여 부정출석 방지를 통한 전자출결 관리시스템 기능의 개선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status of smart attendance systems in the professors and college students who directly use an electronic smart system,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utilizing IT and to propose a plan for improvement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mart attendance s...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대학에서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전자출결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방향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며, 전자출결 시스템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생각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제에 대한 사용자 측면에서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출결 시스템을 직접 사용을 하는 교수 및 대학생들에 대한 전자출결 시스템의 인식 및 불만족 원인을 조사하고 전반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 인식된 주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 인식된 주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차세대 전자출결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전자출결 시스템에 대한 인식을 심도 있게 분석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질적 연구의 대상은 전자출결 시스템을 활용하는 교수자로서 서울 및 충남지역 S대학의 5명을 선정하여 관련 주제의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전자출결 시스템에 대해 개발 및 구축관점이 아닌 교수자 및 학생 등 실제 이용자 측면을 중심으로 문제점과 함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출결 시스템은 대학의 기본축으로써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출결 자료수집과 관리 등 단순한 역할만 초점을 맞춰왔다.
  •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 및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자출결시스템에 대해 인식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교수자와 대학생들이 요구를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출결 시스템을 직접 사용을 하는 교수 및 대학생들에 대한 전자출결 시스템의 인식 및 불만족 원인을 조사하고 전반적인 개선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통해 사용자 입장에서 인식된 주된 문제점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구체적으로 도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향후 차세대 전자출결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대학에서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전자출결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방향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기하며, 전자출결 시스템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생각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문제에 대한 사용자 측면에서 해결방안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참여자 F2: “학생들의 얼굴 확인 가능한 사진이 있으면 출석확인에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MS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스마트 시스템은 초기 도입 당시, 학습관리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 이하 LMS)을 중심으로 개발되었으나, 기존 시스템(Legacy System)과호환성 문제로 인해 통합적으로 운영되기 보다는 별개로 작동하거나 연동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2]. LMS는 온라인을 통해 학습자들의 성적과 진도를 포함해 출결 등 학사 전반에 대한 모든 사항을 관리해주는 통합관리시스템으로 학습 콘텐츠의 개발과 전달, 평가, 관리에 이르는 학습 전체 과정을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유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3].
블루투스는 어떠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방법인가? 스마트 출결 시스템은 블루투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모바일 출석 시스템으로서 블루투스는 모바일, 노트북, 이어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하여 정보를 주고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이다. 블루투스는 주로 10m 이내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주로 사용되는 방법이다. 여기서 블루투스 기반 전자출결 시스템은 10m 이내의 강의실 밖에서 출석확인이 가능하여, 부정 출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블루투스 기반 전자출결 시스템의 문제점에는 부정 출석의 가능성 외에 또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여기서 블루투스 기반 전자출결 시스템은 10m 이내의 강의실 밖에서 출석확인이 가능하여, 부정 출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리고 특정 시점에 요청되는 출결확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의 불안정과 함께 잦은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거나 블루투스 신호 자체가 잡히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모바일의 운영시스템과 버전, 제조사 등의 예측할 수 없는 문제들로 인해 사용과정에서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 M. Kim. (2016). Cyber Education System and Learners'Use of ICT in the Open High Schools. The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0(2), 25-28 

  2. Y. S. Nam, D. I. Yang & H. J. Choi. (2011). The Implementation of Interconnection Modeling between Learning Management System(LMS). The journal of Korea Navigation Institute, 15(4), 640-645. 

  3. Y. M. Jeon & J. S. Cho. (2017). Analysis of Class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Achievement to the Interaction Type on e-Learning in University.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18(1), 131-141. 

  4. J. Hyeon. (2018). Switching Behavior of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Users. Korean Academic Society Of Business Administration, (8), 1573-1578. 

  5. J. Hyeon & Y. H. Choi. (2018). Success Factors of Smart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arch, 18(3), 297-308. 

  6. D. W. Shin, T. H. Kim, J. M. Chol & J. S. Kim. (2013). Automatic Attendance Check System using WiFi Signals based on Smartphone. Journal of KIISE : 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19(4), 219-223. 

  7. S. J. Park. (2014). Attendance Check System based on Smartphone using QR code.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18(2), 325-334. 

  8. J. K. Lee, S. H. Yeom & H. J. Bang. (2015).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Using Binary XML.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 Information Management, 11(3), 11-19. 

  9. H. S. Park & G. H. Hwang. (2017). Ad-hoc Electronic Attendance Checking System Based on BLE Beacon. The Journal of the KICS, 42(1), 227-229. 

  10. P. S. Jeong & Y. H. Cho. (2016). A Real-time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 using Face Detection and Face Recognition.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8), 1524-1530. 

  11. J. Y. Lee, S. W, Lee, J. M. Won & D. R. Shin. (2017). Face Recognition System using Machine Learning.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25(2), 138-141. 

  12. B. J. Lim, B. H. Jeong & J. S. Kim. (2018). Mobile Attendance System using Bluetooth Signal Strength.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24(6), 307-311. 

  13. H. J. Park. (2018). A Study on the intent to use of Electronic attendance-absence recording systems.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8(2), 148-168. 

  14. D. Y. Ha. (2015). Who is the electronic attendance system for?. Ohmynew. http://www.ohmynews.com 

  15. S. W. Lee. (2016). 69.4% feel uncomfortable with the electronic check-in system. Dongduk Women's University. http://ddpress.dongduk.ac.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