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마트기기 활용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서불안 아동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reatment Using Smart Devices on the Changes of an Emotionally Disturbed Child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5, 2019년, pp.89 - 97  

박미자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  임걸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서불안을 드러내는 단일 연구참가자의 교육적 변화와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정서불안정으로 공격성과 충동성이 있는 초등학교 4학년 남아이다. 연구는 6개월 동안 매주 1-2회에 걸쳐 회당 80분, 총 30회의 교육처치가 실시되었다. 회당 80분의 시간 중 미술치료 60분, 인지행동치료 20분 교육프로그램이 적용되었으며, 30회 동안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기법(그리기 및 조형활동)을 비롯, 인지 재구조화 작업, 행동수정기법, 체계적 둔감법, 사회기술훈련, 공감훈련과 조망훈련, 자기주장훈련 등의 교육방법이 적용되었다. 연구측정도구로는 TAIC(Trait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BAI(Beck Anxiety Inventory), 정서적 불안정 척도가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가 정서불안 아동에게 긍정적인 정서 변화의 효과성이 있음이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체계적인 교수학습전략 의 필요성, 과학적 분석 및 환류기법 적용 등 향후 발전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educational changes and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using the smart device. The participant of the study was a 4th grade of 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 who had aggressiveness and impulsiveness with emotional instability. The study was co...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론적으로, 인지행동 미술치료 분야에서 기존에 시도하지 않았던 스마트기기를 통한 처치 효과의 가능성을 본 연구를 통해 활용하였다. 제언에 기반하여 내담자 특히 디지털 세대인 아동들에게 거부감 없이 친숙하게 접근될 수 있는 스마트기기는 치료의 원활한 도구가 될 수 있다.
  • 미술치료는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목적을 얻기 위해 미술 표현을 활용하는 것이며, 그 목적은 미술 창작 작업을 통해서 아동으로 하여금 통찰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다. 또한 미술치료를 통해 심신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대상에 대해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다[6].
  • 본 연구는 지속적 참여관찰을 통해 연구자의 질적 연구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 미술치료 교사이기도 한 본 고의 연구자는 교육처치를 수행한 이후 연구대상의 회차별 변화를 수시로 기록, 연구결과를 자기보고(self-reporting) 하였다.
  • 인지행동적 미술치료와 관련한 선행 연구는 아동 및 성인, 개인 및 집단 등을 대상으로 한 사례들이 있으나, 미술치료 매체로서의 스마트 기기를 접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에 대한 선행 연구는 그 사례가 미미한 상황이다. 본연구에서는 정서불안 아동에 대한 스마트 매체를 접목한 인지행동 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해 확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 진행하였다.
  • 연구문제 : 스마트 기기를 통한 인지행동적 미술치료는 아동의 정서불안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안이란 무엇인가? 불안(Anxiety)은 의식 표면으로 올라오는 '억압했던 감정, 기억, 욕망, 경험'에서 생기는 두려움의 느낌이다. 불안은 원자아, 자아, 초자아 사이의 갈등이 이용 가능한 정신 에너지의 통제를 넘어서려고 할 때 생긴다[1].
성장기에 있는 아동의 정서적 불안을 빠르게 치료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성장기에 있는 아동에게 정서적 불안으로 인한 다양한 부정적 영향은 정신적인 불안정성과 더불어 다양한 신체화 증상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정서적 불안으로 인한 부정적 영향은 조기에 발견하고 개입하여 치료하지 않는다면 아동기와 청소년기를 거쳐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불안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 불안(Anxiety)은 의식 표면으로 올라오는 '억압했던 감정, 기억, 욕망, 경험'에서 생기는 두려움의 느낌이다. 불안은 원자아, 자아, 초자아 사이의 갈등이 이용 가능한 정신 에너지의 통제를 넘어서려고 할 때 생긴다[1]. 정서적 불안이란 내적이나 외적으로 힘든 자극에 의해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초조, 긴장, 두려움, 걱정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정서 반응으로 유아기부터 청소년까지 모든 연령의 아동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G. Corey. (2013).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Belmont, CA: Cengage Learning. 

  2. E. M. Oh. (2009). Effect that fine healing of group affects emotional uneasiness alleviation and improvement of society adaptability of the children of low income class.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3. L. S. Greenberg, & S. C. Paivio. (2003). Working with Emotions in Psychotherapy. New York, NY: The Guildford Press. 

  4. B. S. Ki et.al. (2013). Neuropsychiatry. Seoul: Chungang Press. 

  5. M. Y. Lee. (2011).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Children with Anxiety Disorder. Doctoral dissertation. Myungji University, Seoul. 

  6. Y. Lee. (2008). The effects of children's cognitive behavioral group art therapy and parental counseling with art activity on ADHD tendency of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Yeungnam University, Gyeongbuk. 

  7. M. Park. (2016).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children's self-esteem. Doctoral dissert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8. Y. B. Cho. (2019).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ural art therapy on automatic thoughts and depression of adult women with depression. Doctoral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9. Kim. (2016). The effect of cognitive-behavior group art therapy on delay of gratification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0. J. Lee. & S. K. Kim. (2018). A theoretical examination of utilizing cognitive behavioral theory for group art therapy for a diagnostic category with alcohol use disorder. Journal of Psychotherapy, 17(2), 1-25. 

  11. S. Cho & J. Choi. (1989) Korean-type infant's condition and development of characteristics anxiety scale. The Seoul journal of psychiatry, 14(3), 150-157. 

  12. S. M. Kwon. (1997). Assessment of psychopathology in anxiety disorder.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athology, 6(1), 37-51. 

  13. T. Han. (1998). Big 5 personality test. Seoul : Korea Aptitude Institute. 

  14. J. S. Feather & K. R. Ronan. (2010). Cognitive behavioural therapy for child trauma and abuse. Philadelphia, PA: Jessica Kingsley Publishers. 

  15. S. Jung. (2015). Th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the self-esteem and empathy of chronic schizophrenia patients. Masters thesis.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16. K. Park. (2013).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 Seoul: Hakji-sa. 

  17. S. Choi. (2017). A case study of art therapy to relieve anxiety and physical symptom of single-parent family siblings. Journal of Holistic Mind Body Therapy, 4(1), 31-63. 

  18. S. Kim. (2017). A case study of art therapy on reducing anxiety of a child. The Study of Child-family Therapy, 16, 25-40. 

  19. K. Kim & G. Kim. (2010). A case study of cognitive behavioral family Art therapy to reduce child's anxiety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Art Therapy, 17(2). 242-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