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u-Fe 합금에서 소성변형과 어닐링 공정조건이 인장강도와 전기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stic Deformation and Annealing Process Parameters on Strengt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Cu-Fe Alloys 원문보기

열처리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t treatment, v.32 no.3, 2019년, pp.107 - 112  

우창준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박현균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astic deformation and annealing process parameters on strength and electrical conductivity of Cu-Fe alloys, Cu-10wt%Fe, Cu-15wt%Fe alloys were drawn up to ${\eta}=4$ and anneal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00^{\circ}C$ to $700^{\c...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발변형율과 어닐링 온도에 따른 인장강도, 전기전도도 변화와 중간 어닐링 공정의 공정상의 위치에 따른 전기적, 기계적 특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동합금을 사용하는 이유는? 산업발전에 따라 최근의 리드프레임, 커넥터,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부품이나 전선, 스위치 등의 전자 부품 소재는 높은 강도와 전기전도도를 지닌 소재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소재는 일반적으로 가공성과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동합금을 사용하여 왔는데, 순 구리는 강도가 낮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 2 또는 제 3의 원소를 합금하여 강도를 올려 사용해 왔다.
베릴륨동, 크롬동의 특징은? 이 때 구리에 다른 원소가 들어 가면 전기전도도가 감소하므로 이 폐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타원소가 고용이 아닌 석출물의 형태로 존 재하게 하여 강도는 높이면서 전기 전도도의 저하를 최소화 하는 합금설계를 해왔다[1-3]. 이러한 개념에 기반하여 그동안 베릴륨동, 크롬동 등 여러 가지 동 합금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는데, 대부분 강도, 전기전도도의 필요특성을 충족시키지 못하였으므로, 필요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Cu-Ag, Cu-Nb계 합금을 개발하여 높은 강도와 전기전도도를 얻었다. 하지만 이 합금들에서는 합금원소의 희소성 및 비경제성 때문에 적용분야가 크게 제한되어 용이성 측면에서 첨가원소로 Fe를 이용한 합금의 개발에 대한관심이 고조되고 있다[4-8].
순 구리가 강도가 낮다는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은? 산업발전에 따라 최근의 리드프레임, 커넥터, 다이오드 등의 반도체 부품이나 전선, 스위치 등의 전자 부품 소재는 높은 강도와 전기전도도를 지닌 소재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소재는 일반적으로 가공성과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동합금을 사용하여 왔는데, 순 구리는 강도가 낮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 2 또는 제 3의 원소를 합금하여 강도를 올려 사용해 왔다. 이 때 구리에 다른 원소가 들어 가면 전기전도도가 감소하므로 이 폐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타원소가 고용이 아닌 석출물의 형태로 존 재하게 하여 강도는 높이면서 전기 전도도의 저하를 최소화 하는 합금설계를 해왔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P. M. Berge, G. R. Haupt, E. D. Gibson and J. D. Verhoeven : Wire Journal International (1991) 62. 

  2. 김창주, 이정무, "기계와 재료" 6 (1994) 89. 

  3. M. J. Tenwick and H. A. Davies : Mater. Sci. Eng, 35 (1988)543. 

  4. D. G. Morris and M. A. Morris : Acta Metall, Mater, 39 (1991) 1763. 

  5. M. Holscher, D. Raabe and K. Lucke : Acta Metall. Mater, 42 (1994) 879. 

  6. D. A. Hardwick, C. G. Rhodes and L. G. Fritzemeier : Metall. Trans., 27A (1993) 27. 

  7. D. A. Hardwick, C. G. Rhodes and L. G. Fritzemeier : Sci. 36 (2001) 2711. 

  8. D. A. Hardwick, C. G. Rhodes and L. G. Fritzemeier : Metall. Trans., B 51 (1995) 8076. 

  9. W. A. Spitzig, H. L. Downing, F. C. Laabs, E. D. Gibson, J. D. Verhoeven : Metall, Trans, 24A (1993) 7. 

  10. P. D. Funkenbusch, T. H. Courtney : Scripta Metall 15 (1981) 1349. 

  11. M. J. Dianez, E. Donoso, M. J. Sayagues, A. Perejon, P. E. Sanchez-Jimenez, L. A. Perez-Maqueda and J. M. Criado : J. Alloy Compd. 688 (2016) 288. 

  12. H. Fernee, J. Nairn and A. Atrens : J. Mater. 

  13. Y. N. Zhang, J. L. Zi, M. S. Zheng and J. W. Zhu : J. Alloy Compd. 462 (2008). 

  14. J. Eckert, J. C. Holzer, C. E. Krill and W. J. Johnson : J. Appl. Phys. 73 (1993) 2794. 

  15. E. Ma, M. Atzmon and F. E. Pinkerton : J. Appl. Phys. 74 (1993) 955. 

  16. P. Bellon and R. S. Averback : Phys. Rev. Lett. 74 (1995) 1819. 

  17. Z. J. Zhang, O. Jin and B. X. Liu : Phys. Rev. 

  18. O. Jin, Z. J. Zhang and B. X. Liu : Appl. Phys. Lett. 67 (1995) pp.1524. 

  19. W. A. Spitzig, H. L. Downing, F. C. Laabs, E. D. Gibson and J. D. Verhoeven : Metall, Trans, 24A (1993) 7. 

  20. O. Drbohlav and A. R. Yavari : Acta Metall. Mater. 43 (1995) 1799. 

  21. A. R. Miedema : Philips Tech. Rev. 36 (1976) 217. 

  22. 김병일, 배차헌, 이지환, 이정중, '비철금속재료', 원창출판사 (1993). 

  23. William F. Smith저, 김진천, 방재철 역 :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사이텍 미디어(200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