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 훈련이 실어증 환자의 의사소통 개선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munication Improvement on Caregivers Education and Training on Aphasia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재활치료과학, v.8 no.2, 2019년, pp.79 - 88  

박희준 (부산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  장현진 (부산가톨릭대학교 언어청각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경험학습모델에 따라 하나의 체계적 프로그램으로 결합하였는데 이 접근법의 목표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이해를 돕고 필요한 것을 인지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자는 환자와 대화상대자 사이의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모델에 근거한 그룹훈련의 장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이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소재에 있는 종합병원에 입원한 40~50세의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 6명(구어 실행증 2명, 브로카실어증 3명, 명칭 실어증 1명)과 보호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은 보호자가 촉진전략을 사용하여 환자의 메시지를 파악하였는지 알아보고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은 보호자의 긍정적인 행동과 방해하는 행동의 빈도 변화를 파악하였다. 보호자의 행동 변화는 훈련 전의 부정적 행동들이 훈련 후 어떠한 행동으로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 설문지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첫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둘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셋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보호자의 행동을 변화시켰다. 넷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향상 시켰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에서는 그동안 거의 고려되지 않았던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국외에서 이미 활용 중인 여러 유형의 프로그램을 표방하여 우리나라의 문화와 재활 환경에 맞는 다양한 보호자 교육의 내용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Aphasia interferes with communication between the patient and conversation partner. Adequate communication is essential not only for the patient but also for caregiver education and training Method : This study examined the benefits of parental education and group training in terms of i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들에게 경험학습 모델에 근거한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보호자 교육에 대한 성과와 만족도를 살펴보고, 향후 개선해야 할 보호자 교육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보호자 교육의 현황과 만족도를 알아보고, 만족도에 미치는 변인들을 파악하며, 향후 바라는 보호자 교육의 형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 이 연구는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실어증 환자와 보호자들의 의사소통을 개선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Purdy와 Hindenlang(2005)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게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이 증가하였고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 시 긍정적 행동이 증가하고 부정적 행동은 감소하였다.
  • Sorin-Peter(2003)는 뇌졸중 환자와 보호자들을 위한 상담과 교육, 의사소통기술 훈련을 Kolb (2014) 의 경험학습모델에 따라 하나의 체계적 프로그램으로 결합하였는데 이 접근법의 목표는 환자와 보호자들의 이해를 돕고 필요한 것을 인지시키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자는 환자와 대화상대자 사이의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모델에 근거한 그룹훈련의 장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재활서비스 최종 목표는 무엇인가? 신경언어장애 환자의 재활서비스의 최종 목표는 환자 스스로 독립적으로 활동할 수 있고, 환자와 가족 모두가 이전에 생활로 돌아가는 즉, 가정 및 사회로의 복귀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라 할 수 있다(Roth, 1991). 따라서 실어증 환자들에 대한 언어재활 서비스와 보호자 교육은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연구결과 보호자 교육(caregiver education)이 실어증 환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했는가? 보호자의 행동 변화는 훈련 전의 부정적 행동들이 훈련 후 어떠한 행동으로 변화하였는지 알아보고 설문지를 통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알아보았다. 결과 : 첫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명확한 정보교환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둘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을 향상 시켰다. 셋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보호자의 행동을 변화시켰다. 넷째, 보호자 교육과 경험학습에 근거한 그룹훈련이 환자와 보호자들의 만족도를 향상 시켰다. 결론 :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국내에서는 그동안 거의 고려되지 않았던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국외에서 이미 활용 중인 여러 유형의 프로그램을 표방하여 우리나라의 문화와 재활 환경에 맞는 다양한 보호자 교육의 내용을 계획할 필요가 있다.
많은 연구에서 실어증 환자의 치료에 대해서 어떻게 말하고 있는가? 실어증 환자의 경우 치료 초기에는 언어재활사를 통해 재활 서비스를 받게 되지만, 결국 의사소통능력의 촉진과 일반화에 대한 부분은 가족 구성원의 몫이 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실어증 환자의 절반 정도가 병원 이용이 번거롭고, 경제적인 비용 부담과 병원 치료의 불만족 등으로 치료를 받고 있지 않다고 보고하였다(Pyun, Kim, Han, Kwon, & Lee, 1999). 실어증의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의 경우에도 스트레스 발생률이 치매 환자의 보호자와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조사되었고 실어증이 있는 뇌졸중 환자의 언어장애는 보호자의 스트레스를 더욱 높이는 요인으로 간주하였는데,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들은 비 실어증 환자의 보호자들에 비해 우울감, 고립감, 그리고 기타 정서적인 문제 들을 더욱 많이 호소하는 것으로 결론 내리고 있다 (Michallet, Dorze, & Tetreault, 2001; Dorze & Brassaed,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ocklehurst, J. C., Morris, P., Andrews, K., Richards, B., & Laycock, P. (1981). Social effects of stroke. Social Science & Medicine, 15, 35-39. doi:10.1016/0271-7123(81)90043-2 

  2. Dorze, G. L., & Brassard, C. (1995). A description of the consequences of aphasia on aphasic persons and their relatives and friends, based on the WHO model of chronic diseases. Aphasiology, 9(3), 239-255. doi:10.1080/02687039508248198 

  3. Johannsen-Horbach, H., Crone, M., & Wallesch, C. W. (1999). Group therapy for spouses of aphasic patients. Seminars in Speech and Language, 20(1), 73-82. doi: 10.1055/s-2008-1064010 

  4. Kagan, A., & Gailey, G. (1993). Functional is not enough:Training conversation partners for aphasic adults. In A. Holland & M. Forbes (Eds.), Aphasia treatment: World perspectives (pp.199-225). San Diego, CA: Singular Publishing Group. 

  5. Kagan, A., Black, S., Duchan, J., Simmons-Mackie, N., & Square, P. (2001). Training volunteers as conversation partners using "Supported Conversation for Adults With Aphasia"(SCA): A controlled trial.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44, 624-638. doi:10.1044/1092-4388(2001/051) 

  6. Kolb, D. A. (2014).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New Jersey, US:FT press. 

  7. Kim, J. Y. (2011). A study on the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caregiver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aphasia. Journal of Speech & Hearing Disorders, 20(3). 53-72. 

  8. Michallet, B., Dorze, G., & Tetreault, S. (2001). The need s of spouses caring for severely aphasic persons. Aphasiology, 15(8), 731-747. doi:10.1080/02687040143000087 

  9. Nichols, F., Varchevker, A., & Pring, T. (1996). Working with people with aphasia and their families: An exploration of the use of family therapy techniques. Aphasiology, 10(8), 767-781. doi:10.1080/02687039608248449 

  10. Purdy, M., & Hindenlang, J. (2005). Educating and training caregivers of persons with aphasia. Aphasiology, 19(3-5), 377-388. doi:10.1080/02687030444000822 

  11. Pyun, S. B., Kim, S. H., Han, M. S., Kwon, H, K., & Lee, H. J. (1999). Quality of life after strok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3(2). 233-239. 

  12. Ross, S., & Morris, R. G. (1988). Psychological adjustment of the spouses of aphasic strok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11(4), 383-386. 

  13. Roth, E. J. (1991). Medical complications encountered in stroke rehabilitation.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Clinics, 2(3), 563-578. doi:10.1016/S1047-9651(18)30701-0 

  14. Sorin-Peters, R. (2003). Viewing couples living with aphasia as adult learners: Implications for promoting quality of life. Aphasiology, 17(4), 405-416. doi:10.1080/02687030244000752 

  15. SMI, Choi-Kwon., Kim, H. S., Kwon, S. U., & Kim, J. S. (2005). Factors affecting the burden on caregivers of stroke survivors in South Korea.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6(5), 1043-1048. doi:10.1016/j.apmr.2004.09.013 

  16. Wahrborg, P., & Borenstein, P. (1990) The aphasic person and his/her family: What about the future? Aphasiology, 4(4), 371-378. doi:10.1080/02687039008249089 

  17. Williams, S. E. (1993). The impact of aphasia on marital satisfac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74(4), 361-36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