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 스트레스 치유에 관한 경험 연구
A Study on the Experiences Regarding the Healing of Job Performance Stress of Fire Fighting Officer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9 no.5, 2019년, pp.520 - 531  

김종선 (선문대학교 통합의학과 가족상담)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이 직무수행과정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에 대한 치유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명의 현직 소방공무원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개별적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의 경험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17개의 주제묶음과 5개의 하위범주와 3개의 범주화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양한 민원해결 과정에서 직무수행에 따른 스트레스가 강박적 불안, 우울감, 수면장애 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수행에 대해 강한 자부심과 소명감을 보이지만 퇴직 이후 삶에 대해 두려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스트레스는 직업적 소명의식과 동료애, 가족의 지지 등의 긍정적 경험으로 상쇄되고 치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높은 직무 스트레스는 지속적이고 복합적인 신체적 문제와 정서적 심리적 문제들로 발전되어 직업적 소명이나 동료애, 가족 지지 만으로는 치유에 한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에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수행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 치유를 위해 직무 환경개선 뿐만이 아니라 심리 정서 지원과 직업소명의식과 동료애 강화, 가족의 정서적 지원을 위해 복합적이고 체계화된 지원프로그램 운영이 병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n depth the experiences regarding the healing of stress that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the job performance of fire fighting officers. For this, by having seven incumbent fire fighting officers a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the individual in-depth in...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소방기본법에 명시되어 있는 소방기본법의 목적은? 우리나라 소방기본법에는 화재를 예방ㆍ경계하거나 진압하고 화재, 재난ㆍ재해, 그 밖의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ㆍ구급 활동 등을 통하여 국민의 생명ㆍ신체 및 재산을 보호함으로써 공공의 안녕 및 질서 유지와 복리 증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전문개정 2011. 5.
소방공문원이 겪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증상은?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은 첫째, 침투적 사고가 반복적으로 기억이 재생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회피 증상으로, 고통 기억과 관련된 모든 것을 회피하며, 셋째, 부정사고로, 자신과 다른 사람에 대한 Distorted (왜곡된) 믿음을 갖는다[7]. 넷째, 각성 및 과잉반응, 짜증, 감정폭발, 수면장애, 집중장애 등을 보이는데 이 증상들은 소방공무원들에게 가장 많이 호소하는 증상이다. 또한, 소방공무원의 직무특성은 스트레스와 긴장감을 유도하여 정신적·행동적 문제인 우울, 수면장애, 알콜사용장애 등 심각한 병리증상과도 관련이 있다고 분석하였다[8].
현상학적 연구란? 현상학적 연구는 하나의 개념이나 현상에 대한 개인 체험(lived experience)의 공통적 의미를 기술하는 연구방법이다[16]. 현상학의 기본적 목적은 현상에 대한 개인의 경험들을 보편적 본질에 대한 기술로 축소하는 것이다[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소방기본법, 법률 제 11037호, 시행 2012,2,5. 

  2. 노경환,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3. 이종열, 박광욱, "직무스트레스요인과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행정총론, pp.331-356, 2011. 

  4. 이경호, "소방서비스 3교대근무제도에 관한 연구," 국가정책연구, 제26권, 제4호, pp.221-243, 2012. 

  5. 이종협,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도와 직무몰 입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 김성환,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경험과 자생각과의 관계,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7. W. Comeil, R. Beaton, S. Murphy, C. Johnson, and K. Pike,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 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 fighters un two countri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iatry, Vol.4, No.2, pp.131-141, 1999. 

  8. N. K. Rytwinski, M. D. Scur, N. C. Feeny, and E. A. Youngstrom, "The Co-Occurence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mong Individuals With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 meta-Analysi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Vol.26, No.3, pp.299-309, 2013. 

  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SM-IV, Washington DC;APA, 1994. 

  10. 김태우, 김규상, 안연순, "현장직 소방공무원에서 직무스트레스와 우울증상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학회지, 제3권, 제22호, pp.378-379, 2010. 

  11. 임태호, "소방공무원의회복탄력성," 소방청, pp.3-113, 2017. 

  12. 소방청, 2018년도 소방청성과보고서, 2018. 

  13. 김광석, 박정, 박부연, 김성길, 황은영, "소방관직무스트레스가 우울 및 피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3호, pp.224-228, 2014. 

  14. 박정민, 김대성, 김행희, "직무환경이 소방공무원 심리적 탈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 제19권, 제1호, pp.25-49, 2012. 

  15. 문유석,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환경유발요인," 지방정부연구, Vol.15, No.1, pp.119-141, 2002. 

  16. 최낙순, 김재관,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5권, 제3호, pp.481-501, 2011. 

  17. John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6. 

  18. J. W, Creswell, 질적연구방법론, 학지사, 2010. 

  19. 최경호, 순수현상학과 현상학적 철학의 이념들, 문학과 지성사, pp.41-45, 1997. 

  20. 김경식,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순천향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1. 김순진, 김환, 충격적 경험의 후유증,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이상심리시리즈7, 서울학지사, 2013. 

  22. 이영주, 소방공무원이 지각한 외상경험과 외상 후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23. 권석만, 현대이상심리학, 학지사, 2011. 

  24. 김혜숙, 가족치료 및 이론과 기법, 학지사, 2003. 

  25. 배점모, 경찰공무원과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심리적복지감 및 우울간의 관계비교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논문, 2011. 

  26. P. F. Colazzi,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and M. King(Eds),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27. 신경림, "질적 연구방법의 이론," 상담 및 심리치료학회회동연수자료, pp.5-22, 2001. 

  28. 김분한, 김금자, 박인숙, 이금재, 김진경, 홍정주, 이 미향, 김영희, 유인영, 이회영,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비교고찰: Giorgi, Colaizzi, Van Manen방법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제29권, 제6호, pp.1208-220, 1999. 

  29. 신경림, 고명숙, 고병혜, 김경선, 김미영, 김은하, 노승옥, 노영희, 조명옥, 양진향, 질적연구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4. 

  30. V. Bhatia and R. K. Tandon, "Review, stress and the gastrointestinal tract," J. of Gastro & Hapato, Vol.20, No.3, pp.332-337, 2005. 

  31. E. Wolf berg, "Social crisis and occupational fatigue among health porfessionals : warnings and resources," Vertex, Vol.54, No.14, pp.268-279, 2003. 

  32. 이숙진, 최낙현, 주창범, "여성소방공무원의 '외상 후스트레스 장애(PTSD)와 대처방안에 대한 연구," 현대사회와 행정, 제27권, 제3호, pp.70-102, 2017. 

  33. 이혜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3호, pp.251-259, 2013. 

  34. 박승규, 소방공무원의 사망사건 외상경험의 어려움과 대처에 대한 질적연구,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35. Robert K. Yin. 사례연구방법, 한경사, 201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