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부부의 가정폭력실태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ior couple's domestic violence and its effect on mental health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5 no.2, 2019년, pp.101 - 109  

박상진 (경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노인 부부간의 폭력실태를 피해와 가해를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부부폭력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부부폭력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부폭력은 정서적폭력, 경미한 신체폭력, 심각한 신체폭력, 성적폭력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하였다. 정신건강은 우울, 스트레스, 공격성, 자존감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부부폭력 피해의 경우 정서폭력이 29.9%로 가장 높았고, 신체폭력은 3% 미만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 가해의 경우 정서폭력이 25.4%이고, 신체폭력은 2% 미만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 분석결과 피해의 경우는 폭력유형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우울과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가해의 경우는 공격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부부폭력은 폭력유형과 가해와 피해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부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서 부부폭력 예방을 위한 다양한 복지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활성화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realities of senior couple's violence by dividing them into victim and assaulter, and then grasp the degree of the effect of violence on desirable cohabitation. Conjugal violence was divided into emotional, minor physical, severe physical and sexual violence. Mental hea...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지역사회에서는 노인부부의 원만한 노후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상호간에 신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노인부부 간의 폭력실태를 조사하고, 이에 따른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지역사회의 부부간 폭력 행사의 정도(이성적 해결, 정서폭력, 경미한 신체폭력, 심각한 신체폭력, 성적 폭력)를 파악하고, 둘째, 부부간 폭력 행사의 경우 피해의 경우와 가해의 경우를 구분하여 파악하며, 셋째, 부부간의 폭력 정도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영북지역에서 발생하는 노인부부 폭력에 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폭력유형별로 양상은 다르기는 하지만 상당히 많은 가정에서 부부폭력이 상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가 고령화사회가 되면서 부부만 사는 빈둥지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서 영북지역인 속초, 고성, 양양에 거주하는 어른들을 중심으로 부부간의 가정폭력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함께 부부폭력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부 폭력에 관한 실태조사를 위해서 지난 1년간 배우자가 나에게(가해) 가한 폭력유형 및 경험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남녀 전체를 합산한 결과가 Table 2에 제시된 것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부 폭력에 관한 실태조사를 위해서 지난 1년간 배우자가 나에게(피해) 가한 폭력유형 및 경험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남녀 전체를 합산한 결과가 Table 1에 제시된 것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부부폭력 실태를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내가 배우자에게 행한’ 부부폭력 가해와, ‘배우자가 내게 행한’ 부부폭력피해 모두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노인부부 폭력에 관한 실태조사를 하였다. 부부폭력에서 피해의 경우는 조사결과는 남녀 전체를 합산한 경우에는 바람직한 해결 방법인 이성적 해결은 48.
  •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요인을 지칭하기도 하고, 스트레스 반응을 의미하기도 한다. 스트레스 반응은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행동적 반응에 중점을 두는 것이고,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요인보다는 반응적 측면을 살펴보자 한다. 공격성은 적대감, 분노, 격분, 자극과민성, 울분 등의 부정적인 정서 상태로서 사고, 감정 및 행동을 반영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부부 상호간 접촉이 증가하고 사회생활과 직업에 전념하던 남편들이 가정생활에 깊이 관여하면서 갈등이 시작되는데 바람직한 대안은? 노년기는 은퇴로 인해 부부 모두 주된 생활 장소가 가정으로 바뀌면서 부부 상호간 접촉이 증가하고 사회생활과 직업에 전념하던 남편들이 가정생활에 깊이 관여하면서 갈등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해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가 필요한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성공적인 노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또한 정서사회적 노후준비는 사회적지지를 통해 성공적 노화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3]. 따라서 지역사회에서는 노인부부의 원만한 노후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상호간에 신뢰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가정 폭력의 개념은? 부부폭력은 인간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로 ‘가정 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등의 관련 법률을 제정하여 범죄로 다루어지고 있다. 가정 폭력은 일반적으로 배우자 학대, 부부폭력, 아동 학대, 노인 학대 등을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본 연구에서는 주로 배우자 학대, 부부 폭력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가정폭력을 폭력행위의 대상에 따라 부부폭력과 아동학대(미성년 자녀에 대한 폭력), 또는 자녀폭력, 형제간의 폭력 등으로 분류하고, 이 중 부부폭력은 부부 사이에서 행해지는 폭력행위로서 남편이 아내에게, 아내가 남편에게 폭력을 가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부부폭력이란? 부부폭력이란 배우자 사이의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피해를 수반하는 모든 폭력 행위를 말한다. 부부폭력은 인간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로 ‘가정 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등의 관련 법률을 제정하여 범죄로 다루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Y. J. Jeong & J. S. Ahn (2012). Mediating Effects of Attachment to Children between Marital Intimacy and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ety, 32(1), 185-206 

  2. M. J. Gwak, S. J. Park, S. H. Sung, K. H. Son & H. S. Oh, (2019). Healthy Family, Yangsungwon Press, 

  3. K. Y. Song.(2018) The Effects of Emotional & Social Preparation for Aging on Successful Aging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JCCT) Vol. 4, No. 4, pp. 47-56, November 30, 

  4. Y. B. Jang (2008), Effects of stress and communication between couples on senior couple violence , M. A. Thesis, Yonsei Univ.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5. B. Shiferaw, M. B Mittelmark, J. L. Wofford, R. T. Anderson, P. Wells, & Roher. (1994). The investigation and outcome of reported cases of elder abuse: The Forsyth County Aging Study. The Gerontologist, 34(1), 123-125. 

  6. K. Pillemer, D. Finkelhor. (1988).The Prevalence of Elder Abuse: A Random Sample Survey. 

  7. M. S. Lachs, C. Williams, S. O'brien, L. Hurst, & R. Horwitz, (1997) "Risk factors for reported elder abuse and neglect : A nine-year observational cohort study". The Gerontologist. 37(4). 469-474. 

  8. J. Y. Kim(1998),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of violence in senior couples and the relationship with socio-demographic factor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18 (3), 103-122. 

  9. J. H. Choi (2000), Study on difference in senior couple violence by gender,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 20 (3) pp.17-35. 

  10. S. Y. Kim (2002),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presence and extent of senior couple violence. Doctoral Thesis, Jung-Ang Univ. Graduate School. 

  11. J. J. Lee (2008), Study on actual conditions of senior couple violence; Centering on couples aged 60 and more, M. A. Thesis, Kyung-Un Univ. Graduate School. 

  12. G. I. Kim & K. Y. Moon (1994), Study on the helplessness, ego strength and ego function of a beaten wife, Women's Studies Spring, Vol. 42, The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13. Straus, M. A. (1979). Measuring intrafamily conflict and violence: The Conflict Tactics Scal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1, 75-88. 

  14. A. T. Beck, R. A. Steer, R. Ball & W. Ranieri (1996), Comparison of Beck Depression Inventories -IA and -II in psychiatric outpati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 67 (3), pp. 588-97. 

  15. J. N. Abell (1991), The Index of Clinical Stress: A brief measure of subjective stress for practice and research. Social Work Research and Abstracts, Vol. 27 (2), pp. 12-15. 

  16. M. Rosenberg (1965), Self-Esteem Scale: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 O. M. Baik (2018), Transition in Living Arrange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Old Ag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4, No. 4, pp. 301-308, November 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