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91년부터 2017년까지 표층 뜰개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동해의 평균 표층 해류와 해류 변동성
Estimation of Mean Surface Current and Current Variability in the East Sea using Surface Drifter Data from 1991 to 2017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4 no.2, 2019년, pp.208 - 225  

박주은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  김수윤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  최병주 (전남대학교 해양학과) ,  변도성 (국립해양조사원 해양과학조사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해의 평균 표층 순환과 표층 해류의 변동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2017년까지 동해를 지나간 표층 뜰개들의 궤적을 분석하였다. 표층 뜰개 자료를 분석하여 동해 표층 해류들을 그 주경로 별로 분류하고, 이들 해류의 변동을 조사하였다. 동한난류는 한국 동해안을 따라 북쪽으로 흐르며 $36{\sim}38^{\circ}N$에서 이안한 후 동해 중앙($131{\sim}137^{\circ}E$)에서 동쪽으로 흐른다. 이때 해류 경로의 평균 위도는 $36{\sim}40^{\circ}N$의 범위를 가지며, 남북으로 큰 진폭을 갖고 사행한다. 표층 뜰개 경로의 평균 위도가 $37.5^{\circ}N$ 이남(이북)일 때 사행진폭이 상대적으로 크며(작으며) 진폭은 약 100 (50) km이다. 동해 중앙에서 표층 뜰개들은 $37.5{\sim}38.5^{\circ}N$를 따라 동쪽으로 흐르는 경로를 가장 빈번하게 지나간다. 동해 북부 블라디보스토크 연안에 투하된 표층 뜰개들은 연안을 따라 남서쪽으로 이동하다가 일본분지 서쪽에서 반시계방향 순환을 따라 남동쪽으로 이동한 후 $39{\sim}40^{\circ}N$에서 동쪽으로 사행하여 이동한다. 다음으로 동해를 $0.25^{\circ}$ 간격으로 격자를 나누어 각 격자를 통과하는 표층 뜰개들의 이동 속도 벡터 자료로 동해 평균 표층 해류 벡터장과 속력장을 구하였다. 그리고 $0.5^{\circ}$ 격자 간격으로 해류장의 분산타원을 계산하였다. 울릉분지 서쪽에서는 동한난류의 경로가 매년 변화하고, 야마토분지에서는 해류의 사행과 소용돌이가 많아 해류의 변동성(분산)이 크다. 표층 뜰개의 주 이동 경로, 평균 해류 벡터장, 분산을 모두 반영하여 표층 뜰개 자료에 근거한 동해 표층 해류 모식도를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인공위성 고도계 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표층 지형류와 해양수치모델로 모의한 해류를 중심으로 연구해 왔던 동해 표층 순환을 라그랑지 관측 자료를 통해 정리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mean surface circulation and surface currents in the East Sea, trajectories of surface drifters passed through the East Sea from 1991 to 2017 were analyzed. By analyzing the surface drifter trajectory data, the main paths of surface ocean currents were grouped and the variation in ...

주제어

표/그림 (10)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극전선(Polar Front, PF)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무엇인가? 동해 남쪽의 따뜻한 해수와 북쪽의 차가운 해수가 서로 만나서 극전선(Polar Front, PF)을 형성한다. 이 경계에서는 높은 수온구배(gradient)가 나타나고, 해류가 경계를 따라 빠르게 흐르는 것이 특징이다. 남쪽 난수역 그리고 북쪽 냉수 역의 강화와 약화에 따라 극전선의 위치는 남북으로 변동하고, 흔히 37∼41°N 사이에 주로 분포하여 평균적으로는 39∼40°N에 위치한다고 알려져 있다(Preller and Hogan 1998; Talley et al.
해류는 무엇인가? 해류정보는 해양의 열, 염, 물질 순환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해류는 해양생물 분포, 어장 형성, 기상 현상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어서 해양 환경을 파악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기초정보이다. 그동안 동해 표층 해류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인공위성 해수면 높이 자료와 해양 수치모델 자료를 토대로 이루어졌다(Kim and Yoon, 1999; Morimoto and Yanagi, 2001; Kim et al.
인공위성 관측에서 얻어진 해수면 높이로부터 산출된 표층 지형류 자료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 2018). 인공위성 관측에서 얻어진 해수면 높이로부터 산출된 표층 지형류 자료는 준 실시간으로 시·공간적 변동성을 조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공간적으로 내삽(interpolation)된 자료이기 때문에 매 순간의 해류와 연안 해류를 추정하기 어려우며, 지형류를 산출한 것이므로 바람 마찰에 의한 직접적 효과가 반영되지 않아 해수가 움직이는 경로(trajectory)를 직접 표출하기 힘들다(Choi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B.J., D.-S. Byun and K.H. Lee, 2012. Satellite-altimeter-derived East Sea Surface Currents: Estimation, Description and Variability Pattern, The Sea, 17: 225-242. 

  2. Choi, B.J., S.H. Cho, H.S. Jung, S.H. Lee, D.-S. Byun and K. Kwon, 2018. Interannual variation of surface circulation in the Japan/East Sea due to external forcings and intrinsic variability. Ocean Sci. J., 53(1): 1-16, doi.org/10.1007/s12601-017-0058-8. 

  3. Choi, B.J., D.B. Haidvogel and Y.K. Cho, 2004. Nonseasonal sea level variations in the Japan/East Sea from satellite altimeter data. J. Geophy. Res., 109, C12028, doi:10.1029/2004JC002387. 

  4. Choi, B.J., D.B. Haidvogel and Y.K. Cho, 2009. Interannual variation of the Polar Front in the Japan/East Sea from summertime hydrography and sea level data. J. Mar. Syst., 78: 351-362. 

  5. Isoda, Y., 1994. Warm eddy movements in the Eastern Japan Sea. J. Oceanogr. 50: 1-15. 

  6. Kawabe, M., 1986. Study on the Kuroshio and the Tsushima Current variations of the current path. J. Oceanogr. Soc. Japan, 42: 319-331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7. Kim, C.H. and J.H. Yoon, 1999. A numerical modeling of the upper and the intermediate layer circulation in the East Sea. J. Oceanogr., 55: 327-345. 

  8. Kim, K., Y.K. Cho, B.J. Choi, Y.G., Kim and R.C. Beardsley, 2002. Sea level variability at Ulleung Island in the East (Japan) Sea. J. Geophy. Res., 107(C3): 3015, doi:10.1029/2001JC000895. 

  9. Kim, K. and R. Legeckis, 1986. Branching of the Tsushima Current in 1981-1983. Prog. Oceanogr., 17: 265-276. 

  10. Kim, Y.H., K.I. Chang, J.J. Park, S.K. Park, S.H. Lee, Y.G. Kim, K.T. Jung and K. Kim, 2009. Comparison between a reanalyzed product by 3-dimensional variational assimilation technique and observations in the Ulleung Basin of the East/Japan Sea, J. Mar. Syst., 78(2): 249-264, doi:10.1016/j.jmarsys.2009.02.01.7. 

  11. Lee, D.K., J.C. Lee, S.R. Lee and H.J. Lie, 1997. A Circulation Study of the East Sea Using Satellite-Tracked Drifters 1: Tsushima Current. J. Korean Fish. Soc., 30(6): 1021-1032. 

  12. Lee, D.K. and P.P. Niiler, 2005. The energetic surface circulation patterns of the Japan/East Sea. Deep-Sea Res. II, 52: 1547-1563. 

  13. Lee, D.K. and P.P. Niiler, 2010a. Surface circulation in the southwestern Japan/East Sea as observed from drifter and sea surface height. Deep-Sea Res. I, 57: 1222-1232. 

  14. Lee, D.K. and P.P. Niiler, 2010b. Eddies in the southwestern East/Japan Sea. Deep-Sea Res. I, 57: 1233-1242. 

  15. Lee, D.K., P.P. Niiler, S.R. Lee, K. Kim and H.J. Lie, 2000. Energetics of the surface circulation of the Japan/East Sea. J. Geophys. Res., 105: 19561-19573. 

  16. Lee, S.H., D.S. Byun, B.J. Choi and E. Lee, 2009. Estimation of the surface currents using mean dynamic topography and satellite altimeter data in the East Sea. The Sea, 14: 195-204. 

  17. Lee, S.H., M.J. Kim, C.S. Kim, B.J. Choi and H.B. Moon, 2017. Surface Circulation and Vertical Structure of Current off the Keum River Estuary, Korea in Later Spring 2008. Ocean Sci. J., 52: 307-327. 

  18. Mitchell, D.A., D.R. Watts, M. Wimbush, W.J. Teague, K.L. Tracey, J.W. Book, K.I. Chang, M.S. Suk and J.H. Yoon, 2005. Upper circulation patterns in the Ulleung Basin. Deep-Sea Res. II, 52: 1617-1638. 

  19. Morimoto, A. and T. Yanagi, 2001. Variability of sea surface circulation in the Japan Sea. J. Oceanogr., 57: 1-13. 

  20. Pak, G., Y.H. Kim and Y.G. Park, 2018. Lagrangian approach for a new separation index of the East Korea Warm Current. Ocean Sci. J., 54(1): 29-38, doi:10.1007/s12601-018-0059-2 

  21. Park, J.J. and K. Kim, 2013. Deep currents obtained from Argo float trajectories in the Japan/East Sea. Deep-Sea Res., 85: 169-181. 

  22. Park, K.A., J.Y. Chung and K. Kim, 2004. Sea surface temperature fronts in the East (Japan) Sea and temporal variations. Geophys. Res. Lett., 31: L07304, doi:10.1029/2004GL019424. 

  23. Park, K.A., J.E. Park, B.J. Choi, D.-S. Byun and E.I. Lee, 2013. An oceanic current map of the East Sea for science textbooks based on scientific knowledge acquired from oceanic measurements. The Sea, 18: 234-265. 

  24. Park, K.A., D.S. Ullman, K. Kim, J.Y. Chung and K.R. Kim, 2007.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satellite-observed Subpolar Front in the East/Japan Sea. Deep-Sea Res. Pt I, 54: 453-470. 

  25. Preller, R.H. and P.J. Hogan, 1998. Oceanography of the Sea of Okhotsk and Japan/East Sea, Coastal segment (11,S), in The Sea, vol. 11, edited by A. L. Robinson and K. H. Brink, pp. 429-481, John Wiley, Hoboken, N.J. 

  26. Senjyu, T., H.R. Shin, J.H. Yoon, Z. Nagano, H.S. An, S.K. Byun and C.K. Lee, 2005. Deep flow field in the Japan/East Sea as deduced from direct current measurements. Deep-Sea Res., 52: 1726-1741. 

  27. Talley, L.D., D.H. Min, V.B. Lobanov, V.A. Luchin, V.I. Ponomarev, A.N. Salyuk, A.Y. Shcherbina, P.Y. Tishchenko and I. Zhabin, 2006. Japan/East Sea water masses and their relation to the Sea's circulation. Oceanogr., 19: 32-49. 

  28. Thomson, R.E. and W.J. Emery, 2014. Data analysis methods in physical oceanography. 3rd ed. Elsevier Science, 728 pp. 

  29. Yoon, J.H., 1982. Numerical experiment on the circulation in the Japan Sea. III. Mechanism of the nearshore branch of the Tsushima Current. Journal of the Oceanography Society of Japan, 38: 125-130. 

  30. Yoon, J.H. and H. Kawamura, 2002. The formation and circulation of the Intermediate water in the Japan Sea. J. Oceangr., 58: 197-2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