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외선 차단제 유형에 따른 사용 인식 요인과 재구매 및 만족도 조사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unscreen Use Patterns and Awareness by Type on Product Satisfac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363 - 371  

이나영 (건국대학교 산업대학교 향장학과) ,  유선희 (연성대학교 뷰티스타일리스트과) ,  리순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여성 340명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제 유형, 사용 실태에 따른 사용인식이 제품 사용만족도와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사용인식을 편리성, 유효성, 사용성, 안전성으로 하위요인을 구성하여 설문조사를 이용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실내 활동 빈도가 야외활동 보다 높게 나타났고 피부톤 보정을 위해 단순 및 복합 자외선 차단제를 둘 다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단순 자외선 차단제 중 선크림을, 복합 자외선 차단제 중 에어쿠션을 많이 사용하였다. 제품 사용감, 자외선 차단 지수가 구매의 중요한 요인이었고 제품 사용만족도 및 재구매 의사가 높게 나타났지만 30%가 부작용을 경험하였다. 단순 자외선 차단 제품이 복합 자외선 차단 제품보다 안전성, 유효성, 편리성, 사용성, 만족도, 재구매에 대한 인식정도가 모두 높게 나타났고 제품 사용인식 하위요인 중 편리성, 유효성, 사용성, 안전성 순으로 만족도와 재구매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자외선 차단을 위한 제품 사용 시 단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인식이 더 높았고, 편리성이 만족도 및 재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340 Korean women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type of sunscreen and use status on the satisfaction of products and resale. Studies have shown that indoor activity is higher than outdoor activity, and both simple and complex sunscreen is often used to compensate for skin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여성 340명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사용 인식과 재구매 및 만족도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30세-40세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59.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자외선 차단제를 단순 자외선 차단제와 복합 자외선 차단제로 분류하여 실내, 야외 활동에 따른 자외선 차단제의 사용실태 및 사용인식을 분석하였고 제품 사용인식을 안전성, 유효성, 편리성, 사용성 4개 하위요인으로 재구성하여 제품 사용 만족도,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단순 및 복합 기능을 가진 자외선 차단제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 자외선 차단제 사용에 있어서 올바른 선택 및 적절한 사용방법을 제시하여 자외선 차단제 화장품 분야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의 특징은?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외부인자에 노출되어 있다. 피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표적인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자외선(ultraviolet, UV), 대기오염이나 환경 호르몬, 흡연 등이 알려져 있다 [1].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자외선이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피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표적인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자외선(ultraviolet, UV), 대기오염이나 환경 호르몬, 흡연 등이 알려져 있다 [1]. 이 중 자외선은 적절한 일광욕을 통한 피부에서 비타민 D의 합성이나, 살균과 같은 이로운 작용을 하지만, 지속적인 자외선의 노출은 세포 내 활성 산소를 증가시키고, 피부에 급격한 피부 노화, 홍반, 부종, 화상, 악성 흑생종, 기저세포암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게 된다 [2,3]. 이렇듯 지속적인 자외선 조사가 피부에서의 문제 이 제기됨에 따라 일상생활 중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피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표적인 환경적인 요인은? 피부는 신체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외부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양한 외부인자에 노출되어 있다. 피부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대표적인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자외선(ultraviolet, UV), 대기오염이나 환경 호르몬, 흡연 등이 알려져 있다 [1]. 이 중 자외선은 적절한 일광욕을 통한 피부에서 비타민 D의 합성이나, 살균과 같은 이로운 작용을 하지만, 지속적인 자외선의 노출은 세포 내 활성 산소를 증가시키고, 피부에 급격한 피부 노화, 홍반, 부종, 화상, 악성 흑생종, 기저세포암 등의 부정적인 영향을 일으키게 된다 [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Y.M. Yoon, S.H. Bae, S.K. An, Y. B. Choe, K. J. Ahn, I, S, An. " Effects of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Skin and Skin Cell Signaling Pathways". Kor. J. Aesthet. Cosmetol. Vol.11, No.3. pp.417-426, 2016. 

  2. Imokawa G. Mechanism of UVB-induced wrinkling of the skin: paracrine cytokine linkage between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leading to the stimulation of elastase. J. Invest. Dermatol. Symp. Proc, Vol.14, pp.36-43, 2009. 

  3. Y. H. Park, M. R. Kim. A study on the tyrosinase inhibitorfrom mushroom phellinus ribis. Soonchunhyang J. Nat. Sci.Vol.1, No.2, pp.183-188, 1995. 

  4. C. I. Park, T. J. Kang, S. J. Lee, "Process System Engineering, Transport Phenomena, Process Safety : Effects of Rheological Properties of Emulsions Having Sun Screening Agent on Sun Protection 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chemical engineering, Vol.41, No.5 pp. 598-603, 2003. 

  5. S. H. Jang, H. S. Park, S. Y. Cho, H. S. Yoon, "Original Article:A Survey of Attitudes, Knowledge, and Behavior Regarding Sun Exposure and Sunscreen in Korea",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Vol.53, No.1, pp.16-22, 2015. 

  6. S. M. Hwang, "A Study on the Perception Toward Ultraviolet Ray and the Current Use of UV Screener Among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pp. 1-61, 2010. 

  7. C. Kim, S. B. Jung, K. H. Lim, M. H. Kang, J. H. Ahn, J. H. Kim, H. Lee,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Natural Sunscreen (BHC-S) Having Sun Screening and Anti-Wrinkle",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Vol.43, No.4 pp. 321-327, 2017. 

  8. M. Y. Kim, "A Studyon Consumptionof Anti-aging Cosmetics", Doctoral's Thesis, Sejong University, pp. 1-149, 2013. 

  9. S. M. Park, S. W. Cho, "The Study on Skin Harmfulness and Skin Care on the Golf Course Environment by Ultra-Violet(UV) Rays", Korean Society of Golf Studies, Vol.9, No.4 pp.43-54, 2015. 

  10. Y. Hyun, E. H. Lee, "The Relationship Between Use of Sun Blocks and Dry Ey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6 pp.347-353, 2016. 

  11. Y. S. Lim, "The Evaluation of Attitudes Effects of UV and Behavioral Aspects of UV-Blocking Products in Young Adult Koreans", Korean Journal of Aesthetics and Cosmetics Society, Vol.1, No.1 pp.23-39, 2003. 

  12. S. S. Park, "The Effect of Sunscreen and B.B Cream on Facial Skin of Men in 20s and 30s",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pp.1-80, 2013. 

  13. D. R. Lee, Y. J. Hong, H. G. Kim, C. S. Kang, "Review on the Harmfulness of UV Irradiation, the Regulations and the Appropriate Approaches for UV Protection",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Vol.6, No.2 pp. 223-231, 2016. 

  14. Editorial Department, "Safety Status of Spray-type Sun Block", Safety Report, pp.1-20, 2016. 

  15. M. Y. Kim, C. S. Youn, "The Research on the Ultraviolet Protector Recognition of the Adult and Propensity to Consume", Korea Beauty Industry Association, Vol.8, No.1 pp. 63-84, 2014. 

  16. M. Y. Kim, J. Y. Chung, "BB Cream Trends Change and BB Cream According to Skin Type Awareness and Satisfaction Survery", Korea Design Trend Society, Vol.40 pp.259-268, 2013. 

  17. S. J, Lee, J. M. Lim."Regular Articles : A Study on the Awareness for the Use of Ultraviolet Ray Protective Products and the Actual State of Their Use Based on Age and Gender", J.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Vol.9, No.2 pp.129-136, 2013. 

  18. S. H. Baek, "Consumer's Recognition and Seasonal use of Different Ultraviolet Protection Product Formulations",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pp.1-118, 2017. 

  19.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New York, McGraw Hil, 1967. 

  20. E. Y. Quark. "A Study on the Understanding of Ultraviolet-Rays and the Use of Sunscreen by Female Adult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1. 

  21. E. K. Shin. "Recognition of Ultraviolet Rays and the Use of UV-protecting Products depend on Gender & Age", Chung-Ang University, 2011. 

  22. S. H. Baek. "Consumer's recognition and seasonal use of different ultraviolet protection product formulations". Chung-Ang University,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