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남 지역의 패류 형망어선의 개량
The improvement of the shellfish dredge vessel in Jeonnam province 원문보기

수산해양기술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v.55 no.2, 2019년, pp.162 - 171  

박상준 (경상대학교 대학원 해양생산공학과) ,  장충식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  안영수 (경상대학교 해양산업연구소) ,  진송한 (중소조선연구원) ,  조윤형 (경상대학교 실습선)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n improved shellfish dredge vessel considering the increase of the fishing safety and welfare of fishermen in Jeonnam province. We visited five fishing village societies in Korea, and conducted field surveys and survey question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I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남 고흥 지역의 바지락 형망 어업에 대한 어업인들의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고비용·저효율의 어선 구조 개혁 및 어선원의 안전 및 복지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이를 적용한 설계도서를 작성하였다. 나아가 개량된 선박의 실증화 및 현장 보급을 위한 기반이 됨에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남 고흥 지역의 바지락 형망 어업에 대한 어업인들의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하여 고비용·저효율의 어선 구조 개혁 및 어선원의 안전 및 복지 향상을 위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여 이를 적용한 설계도서를 작성하였다.
  • 이와 같이 어업인에 대한 설문조사 및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2018년 3월 어업인과 조선소 간의 회의를 거쳐 형망어선 개량에 착수하였다. 조업 안전성과 효율, 복지 증대를 위해 어선의 길이 증대, 복원성 증대, 각종 어로장비의 적정 배치와 복지 공간 확보 등의 사항에 주안점을 두어 패류 형망어 선의 개량을 위한 일반배치도를 작성 및 채택하였다.

가설 설정

  • 만재 출항상태의 어구 및 각종 장비의 경우 1.350 M/T으로 가정하였고, 어장발 및 만재·부분만재 입항상태 시의 중량은 해수 등의 영향을 고려하여 기존 중량의 110%인 1.485 M/T으로 가정하였다.
  • 개발 어선의 복원성능을 경하상태, 만재 출항상태, 어장발상태, 만재 입항상태 및 부분만재 입항상태로 총 5가지 상황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먼저 복원성 판정을 위해서 만재 출항상태의 연료유 상황은 연료유 탱크용 적의 87%인 4.158 M/T으로 가정하였고, 기관부 예비품 및 창고품의 경우 0.070 M/T, 식료품 및 식수의 경우 0.025 M/T으로 가정하였다. 만재 출항상태의 어구 및 각종 장비의 경우 1.
  • 485 M/T으로 가정하였다. 어장발상태 및 만재 입항상태의 바지락 망태의 중량은 7.004 M/T으로, 25 kg 망태를 약 280개를 선수에 적재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또한 선원의 영향의 경우 망태 적재공간의 제외한 구역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간주하여, 최대승선인원인 8명을 기준으로 하여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지락 조업 시 어업인들이 횡동요를 줄이고자 선수 좌‧우측에 부력재를 부착한 원인은 무엇인가? 선별된 바지락은 선수 앞쪽부터 망태의 형태로 적재되게 되는데, 1항차에 25 kg의 망태를 300개 정도를 적재하여 선수 흘수가 증가한다. 바지락은 물살이 빠른 협수로에 주로 서식하므로 어선이 협수로에서 크게 선회할 경우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면 전복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어업인들은 자체적으로 Fig.
우리나라 형망어업의 종류는? 형망어업은 자루그물 입구에 직사각형 틀을 달고, 틀의 밑변에 여러 개의 갈퀴를 설치한 어구로써 바닥을 긁어 해저에 묻혀 서식하는 조개류를 어획 대상으로 한다(NIFS, 2018). 우리나라 형망어업에는 근해 형망어업과 이동성 구획어업의 패류 형망어업이 있는데, 전자는 총톤수 20톤 미만의 어선과 폭 8 m, 높이 1 m 이하의 고정 틀로 된 어구를 사용하고, 후자는 다른 어업들과의 분쟁을 피하면서 자원의 보호와 지속적 이용을 위하여 총톤수 5톤 미만의 어선과 폭 5 m, 높이 1 m 이하의 고정 틀로 된 어구를 통해 일정한 구획 내에서만 조업할 수 있다. 형망어업의 생산량은 2009년도 22,244 M/T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15년도에는 927 M/T까지 이르렀다가 2016년도에 일시적으로 반등하여 5,206 M/T을 기록하였다.
형망어업이란? 형망어업은 자루그물 입구에 직사각형 틀을 달고, 틀의 밑변에 여러 개의 갈퀴를 설치한 어구로써 바닥을 긁어 해저에 묻혀 서식하는 조개류를 어획 대상으로 한다(NIFS, 2018). 우리나라 형망어업에는 근해 형망어업과 이동성 구획어업의 패류 형망어업이 있는데, 전자는 총톤수 20톤 미만의 어선과 폭 8 m, 높이 1 m 이하의 고정 틀로 된 어구를 사용하고, 후자는 다른 어업들과의 분쟁을 피하면서 자원의 보호와 지속적 이용을 위하여 총톤수 5톤 미만의 어선과 폭 5 m, 높이 1 m 이하의 고정 틀로 된 어구를 통해 일정한 구획 내에서만 조업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n HC, Bae JH, Park JM, Park CD and Hong SE. 2014. Species composition and cluster analysis of the communities caught by dredge in relation to tooth spacing and mesh size in the coastal waters of Gangneung. J Korean Soc Fish Technol 50(4), 530-541. (DOI:10.3796/ksft.2014.50.4.530). 

  2. An HC, Park HH, Park JM, Hong SE, Yoon BS, Park CD and Bae JH. 2015. Catch and bycatch of dredge in the Yeongil Bay, Pohang. J Korean Soc Fish Technol 51(4), 493-503. (DOI:10.3796/ksft.2015.51.4.493). 

  3. Cha BY, Lee CS, Moon TS and Park MS. 2012. A study on bivalves in Yeongil Bay of Gyeongsangbuk-do Province, Korea. Korean J Malacol 28(2), 101-108. (DOI:10.9710/kjm.2012.28.2.101). 

  4. Cho BK and Kim YK. 1999. A study on the catching selectivity of the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dredge. Bull Korean Soc Fish Tech 35(4), 366-376. 

  5. Cho BK and Ko KS. 1991. Development of Hydraulic Jet Dredge-I, Water tank experiment for the excavating performance of water-jet nozzle on the sand. Bull Korean Fish Tech Soc 27(4), 255-265 

  6. Cho BK and Ko KS. 1991. Development of Hydraulic Jet Dredge-II, 3. Field experiment of hydraulic jet dredge for catching surf clam. Bull Korean Fish Tech Soc 27(4), 266-277. 

  7. Choi JD. 2017. A study on the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Ph.D. Thesis, Kunsan National University, Korea, 123. 

  8. Gaspar MB, Leitao F, Santos MN, Sobral M, Chicharo L, Chicharo A and Monteiro CC. 2003. Size selectivity of the Spisula solida dredge in relation to tooth spacing and mesh size. Fish Res 60, 561-568. (DOI:10.1016/s0165-7836(02)00140-6). 

  9. Hong SE, Bae JH, Park CD, Park JM, Yoon BS and An HC. 2016.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roperty of dredge fishery in Yeongil Bay, Korea. J korean Soc Fish Technol 52(1), 48-55. (DOI:10.3796/ksft.2016.52.1.048). 

  10. Jeong SJ, An HC, Kim IO and Park CD. 2017. Improvement of resistance performance of the 4.99 ton class fishing boat. J Korean Soc Fish Technol 53(4), 446-455. (DOI:10.3796/ksft.2017.53.4.446). 

  11. Jeong UC, Kim HS, Kwon SY and Choi JH. 2015. Study of hull form development of 5-ton-class catamaran-type coastal fishing boat for welfare accommodation of fishing crew. Journal of Ocean Engineering and Technology 29(6), 405-410. (DOI:10.5574/ksoe.2015.29.6.405). 

  12. Kang DS, Yu JW and Lee YG. 2007. A study on the hull form design with minimum resistance for domestic coastal fishing boats. Journal of the Society Naval Architects of Korea 44(4), 349-359. (DOI:10.3744/snak.2007.44.4.349). 

  13. Kim DJ, Park JW, Kim JN and Jeong UC. 2004.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istance performance of small size fishing vessel. Bull Korean Soc Fish Tech 40(4), 304-310. (DOI:10.3796/ksft.2004.40.4.304). 

  14. Kim IO, Jo TH, Park CD and Tokai T. 2005. Mesh selectivity of dredge bagnet for a clam, equilateral venus Gomphina melanaegis. Nippon Suisan Gakkaishi 71(1), 54-59. (DOI:10.2331/suisan.71.54). 

  15. KOSIS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6. Fishery production survey 2016. Retrieved from http://kosis.kr/index/index.do. Accessed 30 Nov 2018. 

  16. Lee HJ, Kim KW, Lee KH, Kim SY, Kim SH, Kim CJ, Choi KI and Jeon HJ. 2013. A study on the advanced schemes on the welfare accommodation of fishing crew.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oul, Korea, 27-83. 

  17. Lee JK. 2016. Development model of fisheries for recovery of Ruditapes philippinarum stock. Ph.D.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Korea, 207. 

  18. MOF. 2000. Development of advanced multi-purpose fishing boat. MOF paper 1, 157. 

  19. MOF.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plan of hull form and fishing system for the multi-purpose coastal small ship. MOF paper 1, 124. 

  20. Park HH and Kim SH. 2000. Tooth selectivity on venus clam (Gomphina melanaegis) dredge. Bull Korean Soc Fish Tech 36(4), 267-273. 

  21. Tanabe T, Watanabe K, Suzuki N and Ono T. 2012. Catching efficiency of toothed dredges for ark shell Scapharca broughtonii in Sendai bay, Northeastern Japan. Nippon Suisan Gakkaishi 78(6), 1112-1117. (DOI:10.2331/suisan.78.1112). 

  22. Yu JW, Lee YG, Jee HW, Park AS, Choi YC, Ha YJ and Jeong KL. 2010.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esistance performance for G/T 4.99ton class korean coastal fishing boats. Journal of the Society of Naval Architects of Korea 47(6), 757-762. (DOI:10.3744/snak.2010.47.6.75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