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사육중인 젖소에서 발생하는 재발성 유열의 특징 분석
Incidence Analysis of Recurrent Milk Fever in Korean Domestic Dairy Cattle 원문보기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and biotechnology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v.34 no.1, 2019년, pp.30 - 34  

전령훈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  노규진 (경상대학교 수의과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lk fever is a metabolic disease with manifestation of clinical signs due to hypocalcemia, which usually occurs within 48-72 h after delivery. However, even after a successful treatment of milk fever, recurrence of milk fever may occur, and studies on recurrent milk fever are still lacking. Accor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공적인 유열 치료를 위해서는 빠른 발견과 치료가 중요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모니터링뿐만 아니라 발생하는 유열의 종류별로 특성을 분석하여 예측도를 향상시키고 신속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발성 유열의 발생 특성을 밝히기 위해 분만 전후 젖소의 생리상태에 영향을 주는 사육 농가, 분만 계절, 산차 및 난산에 따른 원발성 유열과 재발성 유열을 비교 분석하였다.
  • 유열은 발생원인인 저칼슘혈증의 교정을 통해 신속하게 회복되는 질병으로 일반적으로 예후는 좋지만, 일부 개체에서는 재발생 하여 추가적인 체력손실과 생산력 저하를 유발하기 때문에 문제 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재발성 유열의 발생특성을 밝히 기 위해 사육농장, 계절, 산차 및 난산에 따른 원발성 유열과 재발성 유열을 발생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재발성 유열의 발생은 일반적으로 원발성 유열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며, 계절 요인에서 여름, 산차요인에서 3산 이상이 적용될때 높아지는 것을 밝혔다.
  • 본 연구는 재발성 유열의 상세한 양상을 밝혀내어 예방효율을 높이고자 수행되었으며, 유열 발생을 원발성과 재발성으로 구분한 뒤 사육농장, 계절, 산차 및 난산에 따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재발성 유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원발성 유열의 발생률 을 낮출 필요가 있고, 여름과 3산이상 적용되는 개체의 경우 높은 재발성 유열을 예상하고 집중적인 치료를 대비할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이와 같은 재발성 유열은 유병 기간 연장으로 인한 발생가축의 체력손실, 농장의 추가 노동력 소요 및 생산성 저하 등 전체 생산력을 떨어 뜨리기 때문에 원인을 찾아서 예방할 필요가 있다(Wilson, 2001; Saborío-Montero 등, 2017). 이를 위한 시작점으로 본 연구에 서는 이행기(transit period) 젖소의 생리에 변화를 일으키는 사육농장, 계절, 산차 및 난산이 유열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열은 무엇인가? 유열(milk fever)은 젖소에서 가장 흔하고 중요한 대사성 질병으로써 혈중 칼슘 농도가 신경조직과 근육조직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수준 이하로(< 1.625 mmol/L) 감소하는 것이 유열 발생 의 직접적인 원인이며, 흥분, 파행, 후지의 강직 또는 의식상실과 같은 전형적인 임상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 유열로 진단한다(Lean 등, 2006; DeGaris와 Lean, 2008; Goff, 2008).
유열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 가? 치료는 칼슘 제재(calcium gluconate 또는 calcium borogluconate)를 정맥주사하여 혈중 칼슘농도를 회복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며, 착유 중인 경우는 비유 과정에서 손실되는 체내 칼슘양을 줄이기 위해 착유를 중지한다(DeGaris와 Lean, 2008). 발생초기에는 치료효율이 높으며 예후가 좋은 편이지만 치료하지 못한 경우 위운동 감소, 반추 정지와 저체온을 보이다가 혼수와 심박동 미약을 거쳐 폐사에 이른다(Thilsing-Hansen 등, 2002; Goff, 2008).
유열 예방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장기간의 횡와로 인한 허혈성 괴 사시 기립불능증을 유발해 도태가 필요하며, 증상에 따라 5% 미만의 폐사율을 보인다(Goff, 2008). 유열 예방에는 건유기 칼슘섭취량 조절 또는 비타민 D 주사가 좋은 효과를 보이지만, 분만 후 대량의 칼슘손실이 발생하는 초유 생산 특성상 완전한 예 방은 어렵다(Roche, 2003; Tsioulpas 등, 2007). 유열은 혈중 칼슘을 농도를 높이는 치료법에 반응성이 좋기 때문에 발생초기에 치료가 이뤄지면 대부분 회복하지만, 처음 발생한 유열에 대한 성공적인 치료 후에도 일정 기간 후 다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Thilsing-Hansen 등, 2002; DeGaris와 Lean,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10.1136/vr.124.9.217 BorsberryS and DobsonH . 1989. Periparturient diseases and their effect on reproductive performance in five dairy herds. Vet. Rec. 124:217-219. 

  2. ChiwomeB , KandiwaE , Mushonga B, Sajeni S and Habarugira G. 2017. A study of the incidence of milk fever in Jersey and Holstein cows at a dairy farm in Beatrice, Zimbabwe. J. S. Afr. Vet. Assoc. 88:e1-e6. 

  3. DanielRC . 1983. Motility of the rumen and abomasum during hypocalcaemia. Can. J. Comp. Med. 47:276-280. 

  4. 10.1016/j.tvjl.2007.12.029 DeGarisPJ and LeanIJ . 2008. Milk fever in dairy cows: a review of pathophysiology and control principles. Vet. J. 176:58-69 

  5. 10.3168/jds.S0022-0302(88)79845-8 ErbHN and GrohnYT . 1988. Epidemiology of metabolic disorders in the periparturient dairy cow. J. Dairy Sci. 71:2557- 2571. 

  6. 10.1016/j.tvjl.2007.12.020 GoffJP . 2008. The monitoring,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ilk fever and subclinical hypocalcemia in dairy cows. Vet. J. 176:50-57. 

  7. HoueH , ØstergaardS , Thilsing-Hansen T, Jørgensen RJ, Larsen T, Sørensen JT, Agger JF and Blom JY. 2001. Milk fever and subclinical hypocalcaemia-an evaluation of parameters on incidence risk, diagnosis, risk factors and biological effects as input for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disease control. Acta Vet. Scand. 42:1-29. 

  8. 10.3168/jds.S0022-0302(06)72130-0 LeanIJ , DeGarisPJ , McNeil DM and Block E. 2006. Hypocalcemia in dairy cows: meta-analysis and dietary cation anion difference theory revisited. J. Dairy Sci. 89:669-684 

  9. 10.1080/00480169.2001.36204 McDougallS . 2001. Effects of periparturient diseases and conditions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New Zealand dairy cows. N. Z. Vet. J. 49:60-67. 

  10. MoosaviM , MirzaeiA , Ghavami M and Tamadon A. 2014. Relationship between season, lactation number and incidence of clinical mastitis in different stages of lactation in a Holstein dairy farm. Vet. Res. Forum 5:13-19. 

  11. MulliganF , O’GradyL , Rice D and Doherty M. 2006. Production diseases of the transition cow: Milk fever and subclinical hypocalcaemia. Ir. Vet. J. 59:697-702. 

  12. 10.3168/jds.S0022-0302(91)78583-4 OetzelGR . 1991. Meta-analysis of nutritional risk factors for milk fever in dairy cattle. J. Dairy Sci. 74:3900-3912. 

  13. 10.1017/S0962728600002220 OltenacuP and BroomD . 2010. The impact of genetic selection for increased milk yield on the welfare of dairy cows. Anim. Welf. 19:39-49. 

  14. 10.1002/jsfa.7779 PuppelK and KuczyńskaB . 2016. Metabolic profiles of cow’s blood; a review. J. Sci. Food Agric. 96:4321-4328. 

  15. 10.1016/j.tvjl.2010.03.025 ReinhardtTA , LippolisJD , McCluskey BJ, Goff JP and Horst RL. 2011. Prevalence of subclinical hypocalcemia in dairy herds. Vet. J. 188:122-4. 

  16. RocheJR . 2003. The incidence and control of hypocalcaemia in pasture-based systems. Acta Vet. Scand. Suppl. 97:141-144. 

  17. 10.3168/jds.S0022-0302(06)72354-2 RocheJR and BerryDP . Periparturient climatic, animal, and management factors influencing the incidence of milk Fever in grazing systems. J. Dairy Sci. 89:2775-2783. 

  18. 10.3168/jds.2017-13065 Sabor&#xED;o-MonteroA , Vargas-LeitónB , Romero-Zúñiga JJ and Sánchez JM. 2017.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milk fever occurrence in grazing dairy cattle. J. Dairy Sci. 100:9715-9722. 

  19. 10.3390/ani5040395 SundrumA . 2015. Metabolic disorders in the transition period indicate that the dairy cows’ ability to adapt is overstressed. Animals (Basel) 5:978-1020. 

  20. 10.1186/1751-0147-43-1 Thilsing-HansenT , JørgensenRJ , and Østergaard S. 2002. Milk fever control principles: a review. Acta Vet. Scand. 43:1-19. 

  21. 10.3168/jds.2007-0192 TsioulpasA , GrandisonAS , and Lewis MJ. 2007.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of bovine milk from the colostrum period to early lactation. J. Dairy Sci. 90:5012-5017. 

  22. 10.1080/00480169.2001.36207 WilsonGF . 2001. A novel nutritional strategy to prevent milk fever and stimulate milk production in dairy cows. N. Z. Vet. J. 49:78-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