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안전신고 제도(안전신문고) 도입에 따른 효과 분석
Analysis of Effects on Adoption of a Safety e-Reporting System 원문보기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v.12 no.4, 2019년, pp.27 - 41  

이준 (한국교통연구원 안전방재연구센터) ,  조상명 (행정안전부 안전정책실) ,  박은미 (목원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화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안전 신문고 제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4년 9월 ~ 2019년 7월까지 접수된 안전신고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통해 안전신고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하여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제 도입에 대한 효과, 도로교통사고 기반의 원단위법을 이용한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9년 10월까지 49개 기초자치단체의 4대 불법 주정차 주민 신고제 도입 후 약 60% 정도 단속 단가가 감소되었으며, 단속인력에 대한 신고 1건의 가치는 21만 3천원/건으로 도출되었다. 과태료 부과 등을 통한 세수 확보를 건당 편익으로 산정하면 약 6만 2천원/건 정도 추정되었다. 이 둘을 합하면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 가치는 총 27만 5천원/건으로 도출되었다. 안전신문고의 신고 유형은 대부분 교통 및 시설로 이를 대표적인 신고가치로 정의하고 연도별 총 편익을 산정한 결과,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안전신문고로 접수된 신고건수는 1,164,439건, 2019년 4월 이후 7월까지 신고 된 4대 불법 주정차 신고건수는 502,721건으로 지난 5년간 총 편익을 산정하면 약 2,734억여 원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ty e-reporting system, the present study carried out analysis of safety e-reporting data reported between September 2014 and July 2019, and selected items for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reporting. Using these items, the effects of adopting the rep...

Keyword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안전신문고는 올해 5년 정도 시행한 정책으로 2019년 7월 기준 약 116만건의 신고건수를 달성하였으며, 2019년 4월 행정안전부에서는 4대 불법주정차 주민신고제를 함께 운영 중이다. 행정안전부에서는 안전사고 예방, 사회적 비용 절감, 투자 및 고용 파급 효과 등 편익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효과 분석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안전신고 문화의 활성화, 안전신고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안전신고 활성화를 위하여 안전신고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해당데이터를 통해 안전신고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한 후 효과평가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데이터는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였으며, 데이터 분석 범위는 2014년 9월 30일(안전신문고 출범일) ~2019년 7월 31일까지 안전신문고로 접수된 1,164,439건이다. 공간적 범위는 전국 229개 기초지자체(226개 기초지자체 + 세종특별자치시 + 제주특별자치도(제주시, 서귀포시))를 대상으로 안전신고제(안전신문고) 효과 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총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 핵심어 빈도 및 유의어 분석은 안전신문고의 신고 내용을 바탕으로 안전신고 유형 분류 기준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안전신문고는 신고자가 주관적으로 서술식 신고하기 때문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신고 유형(학교안전, 생활안전, 교통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사회안전, 해양안전, 기타 및 다부처 등)으로는 어디의, 어떤 시설물이 무슨 문제를 갖고 있는가에 대해 파악하기 어렵다.
  • 안전신문고는 신고자가 주관적으로 서술식 신고하기 때문에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신고 유형(학교안전, 생활안전, 교통안전, 시설안전, 산업안전, 사회안전, 해양안전, 기타 및 다부처 등)으로는 어디의, 어떤 시설물이 무슨 문제를 갖고 있는가에 대해 파악하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핵심이 빈도 및 유의어 분석을 통해 이용자 관점에서의 안전신고유형 분류 기준을 수립하고, 이를 기반으로 신고항목 가치 도출하였다.
  •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가 2014년 9월에 도입한 안전 신문고 제도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014년 9월 ~ 2019년 7월까지 접수된 안전신고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고 해당 데이터를 통해 안전신고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항목을 선정하여 4대 불법 주정차 신고제 도입에 대한 효과, 도로교통사고 기반의 원단위법을 이용한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2019년 10월까지 49개 기초자치단체의 4대 불법 주정차 주민 신고제 도입 전 불법 주정차 단속 인원 및 건수를 살펴보면, 352명의 인원이 41,555건이었으나, 해당 신고제 도입 후 353명의 인원이 95,406건을 단속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신고 대상 분야로 무엇이 있는가? 안전신문고는 2014년 9월에 안전행정부(현 행정안전부)에서 도입한 안전신고제도 중 하나로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하여 다양한 전략을 시행하고 있으며, 그 결과 국민의 안전신고 참여율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안전신고 대상 분야는 생활안전, 교통안전, 시설안전, 학교안전, 어린이 안전 등 전 분야가 안전신고의 대상으로 하드웨어적인 것부터 관행, 법제도 등 소프트웨어적인 것까지 모두 포함하여 신고 가능하다.
AHP란 무엇인가? AHP는 다속성 의사결정방법 중의 하나로 결정해야 할 문제(대안)의 선호하는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서, 단일 속성들의 선호도와 속성들의 수준을 결합하여 의사결정을 진행하는 방법이다(Saaty, 1980, 1990). AHP 작동원리는 1) 계층적 구조의 설정, 2) 상대적 중요도의 설정, 3) 논리적 일관성 유지이다.
도로교통사고 기반의 원단위법을 이용해 효과 분석을 수행한 결과는 어떠한가? 과태료 부과 등을 통한 세수 확보를 건당 편익으로 산정하면 약 6만 2천원/건 정도 추정되었다. 이 둘을 합하면 4대 불법 주정차 주민신고 가치는 총 27만 5천원/건으로 도출되었다. 안전신문고의 신고 유형은 대부분 교통 및 시설로 이를 대표적인 신고가치로 정의하고 연도별 총 편익을 산정한 결과,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안전신문고로 접수된 신고건수는 1,164,439건, 2019년 4월 이후 7월까지 신고 된 4대 불법 주정차 신고건수는 502,721건으로 지난 5년간 총 편익을 산정하면 약 2,734억여 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

  1. Lee, J. H. and Jung, H. C. (2016). A comparative Study on Validity of AHP and Conjoint Analysis : A Case of Cosmetics Preference,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9(5): 925-927. 

  2. Seong, R. H., Yoo, K. Y., Jeon, K. M., Kim, Y. H., Hwang, D. G., and Park, H. S. (2018). '17 Estimation and Evaluation of Road Traffic Accident Costs. KoROAD. p. 92. 

  3. Jang, T. W. (2009). Methodological Considerations on the Method of Determining the Importance of Choosing the AHP Method and the Conjoint. Journal of Practical Research in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2(1): 10-14. 

  4.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New York. 

  5. Satty, T. L. (1990). How to Make a Decision: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48: 9-26.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