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크릴계 단량체 2-HEA와 EGPA의 조성에 따른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의 전기광학적 특성 평가
Effect of 2-HEA and EGPA Composition on the Electro-optical Propertie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30 no.2, 2019년, pp.205 - 211  

최종선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  김영대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  김소연 (충남대학교 에너지과학기술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수십 년 동안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은 전기광학적으로 전환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빛의 투과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smart window를 개발하는 물질로서 주목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구동전압과 낮은 명암비 등의 PDLC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크릴계 단량체 2-hydroxyethyl acrylate (2-HEA)와 ethylene glycol phenyl ether acrylate (EGPA)의 조성이 PDLC의 전기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상온에서 10 cps 이하의 낮은 점도를 나타내는 2-HEA와 EGPA 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하는 경우 보다 쉽게 capillary action에 의해서 indium tin oxide (ITO) glass 사이에 주입하는 공정이 가능하였다. Phenyl group를 포함한 EGPA 단량체가 대부분으로 이루어진 1 : 9인 단량체 혼합물로 만들어진 PDLC cell의 경우 전기장을 인가하지 않은 경우에도 불투명한 상태가 관측되지 않았고 인가 전압에 따라 매우 불안정한 투과율을 나타내었다. Cell gap thickness가 증가함에 따라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V_{th}$)과 포화전압(saturation voltage, $V_{sat}$)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0{\mu}m$의 cell gap thickness를 갖는 PDLC cell이 10과 $40{\mu}m$의 경우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명암비를 나타내었다. 특히, 7 : 3 비율의 2-HEA : EGPA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PDLC cell의 경우가 낮은 구동전압과 높은 명암비의 가장 우수한 전기광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the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 has received particular attention as a material for developing smart window due to their electro-optical switchable properties. In this study, PDLC cells were fabricated using acrylate monomers, namely 2-hydroxyethyl acrylat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특히, PDLC의 전기광학적 특성은 고분자 매트릭스와 액정 입자와의 친화성, 액정 입자의 크기, 형상 및 균일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본연구에서는 smart window와 같은 switchable window의 중요한 특성인 높은 명암비와 낮은 구동전압을 갖는 PDLC를 제조하기 위해 다양한 volume ratio로 혼합된 아크릴계 모노머와 nematic LC인 E7을 이용해 cell gap의 두께를 달리하며 PDLC cell을 PIPS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그에 따른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Vth), 포화전압(saturation voltage, Vsat), 명암비 (contrast ratio, CR) 및 투과율(transmittance) 등과 같은 전기광학적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이 smart window 개발물질로서 주목받은 이유는 무엇인가? 지난 수십 년 동안 고분자 분산형 액정(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PDLC)은 전기광학적으로 전환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빛의 투과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smart window를 개발하는 물질로서 주목을 받아왔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구동전압과 낮은 명암비 등의 PDLC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크릴계 단량체 2-hydroxyethyl acrylate (2-HEA)와 ethylene glycol phenyl ether acrylate (EGPA)의 조성이 PDLC의 전기광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PDLC의 장점은 무엇인가? 외부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액정 입자 간의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입사광은 산란하여 불투명하게 되지만, PDLC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이 전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액정 입자의 굴절률은 고분자 매트릭스와 거의 일치하게 되어 그로 인해 빛을 투과시켜 투명한 상태로 전환된다[6,7]. PDLC는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편광자를 사용하지 않아 광이용 효율이 높아 고투과율의 밝은 표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야각이 우수하며 또한 기판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유연한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PDLC의 우수한 광학적 특성, 간단한 제조 공정, 에너지 절감 및 장기 내구성으로 인해 건축 인테리어, 디스플레이, 운송 및 반도체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 적용 될 수 있다[8,9].
액정 입자와 고분자 간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투과율이 조절되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PDLC는 고분자 매트릭스 내에 micrometer 크기의 액정 droplet이 분산되어 있는 구조로서, 액정 입자와 고분자 간의 굴절률 차이에 의해 투과율이 조절된다[4,5]. 외부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고분자 매트릭스와 액정 입자 간의 굴절률이 다르기 때문에 입사광은 산란하여 불투명하게 되지만, PDLC에 전압을 인가하면 액정이 전기장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액정 입자의 굴절률은 고분자 매트릭스와 거의 일치하게 되어 그로 인해 빛을 투과시켜 투명한 상태로 전환된다[6,7]. PDLC는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편광자를 사용하지 않아 광이용 효율이 높아 고투과율의 밝은 표시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시야각이 우수하며 또한 기판으로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유연한 형태로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E. L. Runnerstrom, A. Llordes, S. D. Lounis, and D. J. Milliron, Nanostructured electrochromic smart windows: Traditional materials and NIR-selective plasmonic nanocrystals, Chem. Commun., 50, 10555-10572 (2014). 

  2. A. M. Osterholm, D. E. Shen, J. A. Kerszulis, R. H. Bulloch, M. Kuepfert, A. L. Dyer, and J. R. Reynolds, Four shades of brown: Tuning of electrochromic polymer blends toward high-contrast eyewear, ACS Appl. Mater. Interfaces, 7, 1413-1421 (2015). 

  3. H. H. Khaligh, K. Liew, Y. N. Han, N. M. Abukhdeir, and I. A. Goldthorpe, Silver nanowire transparent electrodes for liquid crystal-based smart windows, Sol. Energy Mater. Sol. Cells, 132, 337-341 (2015). 

  4. C. W. Su and M. Y. Chen,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applied in active-matrix transparent display, J. Disp. Technol., 10, 683-687 (2014). 

  5. S. Park and J. W. Hong,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film for variable-transparency glazing, Thin Solid Films, 517, 3183-3186 (2009). 

  6. Z. Ma, X. Meng, X. Liu, G. Si, and Y. J. Liu, Liquid crystal enabled dynamic nanodevices, Nanomaterials, 8, 871-891 (2018). 

  7. V. N. John, S. N. Varanakkottu, and S. Varghese, Flexible, ferroelectric nanoparticle dope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devices for lower switching voltage and nanoenergy generation, Opt. Mater., 80, 233-240 (2018). 

  8. Y. Kim, K. Kim, K. B. Kim, J.-Y. Park, N. Lee, and Y. Seo, Flexible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film with graphene transparent electrodes. Curr. Appl. Phys., 16, 409-414 (2016). 

  9. S. H. Chung and H. Y. Noh,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devices with graphene electrodes, Opt. Express, 23, 32149-32157 (2015). 

  10. J. Cooper, Compositional analysis of Merck E7 liquid crystal intermediates using ultraperformance convergence chromatography (UPC2) with PDA detection, Waters Application Note 720004814en, 1-7 (2013). 

  11. H. Park, E. P. J. Parrott, F. Fan, M. Lim, H. Han, V. G. Chigrinov, and E. Pickwell-MacPherson, Evaluating liquid crystal properties for use in terahertz devices. Opt. Express, 20, 11899-11905 (2012). 

  12. A. I. Mouquinho, K. Petrova, M. T. Barros, and J. Sotomayor, New polymer networks for PDLC films application, in: A. D. S. Gomes (ed.), New Polymers for Special Applications, Chapter 5, 139-164, IntechOpen, London, UK (2012). 

  13. L. Bedjaoui, N. Gogibus, B. Ewen, T. Pakula, X. Coqueret, M. Benmouna, and U. Maschke, Preferential solvation of the eutectic mixture of liquid crystals E7 in a polysiloxane, Polymers, 45, 6555-6560 (2004). 

  14. M. Mucha, Polymer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blends and composites with liquid crystals, Prog. Polym. Sci., 28, 837-873 (2003). 

  15. G. W. Kim, R. Lampande, D. C. Choe, I. J. Ko, J. H. Park, R. Pode, and J. H. Kwon, Next generation smart window display using transparent organic display and light blocking screen, Opt. Express, 26, 8493-8502 (2018). 

  16. F. Roussel, J. M. Buisine, U. Maschke, and X. Coqueret, Phase diagrams and morphology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based on nematic-liquid-crystal-monofunctional-acrylate mixtures, Phys. Rev. E, 62, 2310-2316 (2000). 

  17. C. Serbutoviez, J. G. Kloosterboer, H. M. J. Boots, and F. J. Touwslager, Polymerization-induced phase separation. 2. Morphology of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thin films, Macromolecules, 29, 7690-7698 (1996). 

  18. F. Roussel, J.-M. Buisine, U. Maschke, and X. J. L. C. Coqueret, Photopolymerization kinetics and phase behaviour of acrylate based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Macromol. Rapid Commun., 24, 555-561 (1998). 

  19. D. Coates, Normal and reverse mode polymer-dispersed liquid-crystal devices, Displays, 14, 94-103 (1993). 

  20. P. Malik, J. K. Ahuja, and K. K. Raina, Effect of polymer viscosity on morphological and electro-optic properties of aligned polymer dispersed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composite films, Curr. Appl. Phys., 3, 325-329 (2003). 

  21. Y. S. No and C. W. Jeon, Electro-optic properties of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displays: Effect of BDVE (butanediol vinyl ether) & temperature stability, Korean Chem. Eng. Res., 46, 938-944 (2008). 

  22. S. J. Klosowicz and M. Aleksander, Effect of polymer-dispersed liquid crystal morphology on its optical performance, Opto-electron. Rev., 12, 305-312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