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크럽 화장품의 사용 전과 후의 피부상태 비교와 이에 첨가된 마이크로비드의 현미경적 특성
Comparison of Skin Condition Before and After Use of Scrub Cosmetics and Microscopic Characteristics of Microbead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6, 2019년, pp.211 - 217  

김훈 (건양대학교 제약생명공학과) ,  장병수 (한서대학교 보건학부 피부미용화장품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스크럽 화장품을 사용하여 피부상태의 변화를 피부분석장비로 분석하고 마이크로비드의 형태적 특징을 더마스코프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더마스코프 관찰에서 클렌징을 하는 과정 중의 얼굴피부에 붙어있는 마이크로비드는 서로 밀착되어 존재하고 있거나 분산되어 있었다. 클렌징 한 피부는 깨끗하고 매끄럽게 관찰되었으며 표피 각질세포들 사이의 미세한 주름이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구슬모양의 마이크로비드 표면은 심한 굴곡이나 거친 표면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스크럽을 하기 전과 후의 유분, 수분, pH의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스크럽을 하기전의 피부가 스크럽 후의 피부보다 수분과 유분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pH의 변화는 큰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hange of skin condition was analyzed by skin analysis equipment using scrub cosmetics, an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icrobead were observed by derma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In the dermascope observation, during the process of cleansing, the microbeads 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9명의 피험자 얼굴 피부를 스크럽하기 전과 후의 유분, 수분, pH의 변화를 비교분석하기 위해서 피부통합분석장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얼굴 피부 수분을 측정하기 위해서 Corneometer(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aH, Germany)를 사용하였다. Corneometer에 부착된 탐침(probe)을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적용하여 밀착 시킨 후에 가볍게 눌러 각질층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각 3회씩 반복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 분리된 마이크로비드 시료를 진 공건조기(60℃, HMDS-6210, Hasuc, China)에서 24시간 건조시킨 다음 탄소테이프 위에 구리테이프가 덧붙여져 있는 지지대(stub) 위에 올려놓고 이온침착기(IB-5 ion coater, Eiko, Japan)를 사용하여 10㎚ 두께로 백금 도금 (platinum coating)을 하였다. 도금된 시료는 주사전자현미경(S-4700, Hitachi, Japan)에 장착하여 15㎸에서 관찰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마이크로비드가 첨가된 스크럽 화장품을 선정하여 제품의 사용전과 후의 피부 유분, 수분, pH 의 변화를 비침습성 피부 분석 장비로 분석하였고 얼굴피부에서의 마이크로비드의 물리적 형태적 특성을 더마스코프 (dermascope)와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규명하였다.
  • 마이크로비드 알갱이만을 추출하기 위해서 스크럽 화장품 1g을 펠콘 튜브(Falcon tube, 50㎖)에 넣은 후 자일렌 (xylene, 30㎖)과 알코올(alcohol, 30㎖)로 각각 1시간씩 3회 세척하여 유기물질을 제거하였다.
  • 이어서 고속원심분리기(MF300, Hanil, Korea)를 사용하여 1,2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 시켜 마이크로비드를 침전시켜 분리하였다. 분리된 마이크로비드 시료를 진 공건조기(60℃, HMDS-6210, Hasuc, China)에서 24시간 건조시킨 다음 탄소테이프 위에 구리테이프가 덧붙여져 있는 지지대(stub) 위에 올려놓고 이온침착기(IB-5 ion coater, Eiko, Japan)를 사용하여 10㎚ 두께로 백금 도금 (platinum coating)을 하였다. 도금된 시료는 주사전자현미경(S-4700, Hitachi, Japan)에 장착하여 15㎸에서 관찰 하였다.
  • 스크럽 화장품에서 추출 분리한 마이크로비드를 Fig. 6 과 같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90배의 저배율로 관찰하였다. 마이크로비드는 더마스코프에서 관찰된 모양과 동일하게 구형의 구슬모양으로 확인되었고 크기는 각각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 얼굴 피부 표면의 pH 측정은 Skin pH meter(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aH, Germany)를 사용하였다. 해당 부위별 각 3회씩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고 판단기준은 pH 4.
  • 얼굴 피부측정 부위에 유분 측정 카세트(sebumeter cassette)를 적당한 압력으로 20∼30초간 눌러준 후 1㎠당 유분량 ㎍/㎠의 수치를 측정하였다.
  • 얼굴피부를 스크럽하기 전, 중, 후의 각질상태와 마이크로비드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서 각각의 피부를 더마스코프(CC-205, Sometech Inc, Korea)로 20배의 배율에서 관찰하였다.
  • 이어서 고속원심분리기(MF300, Hanil, Korea)를 사용하여 1,200rpm으로 30분간 원심분리 시켜 마이크로비드를 침전시켜 분리하였다. 분리된 마이크로비드 시료를 진 공건조기(60℃, HMDS-6210, Hasuc, China)에서 24시간 건조시킨 다음 탄소테이프 위에 구리테이프가 덧붙여져 있는 지지대(stub) 위에 올려놓고 이온침착기(IB-5 ion coater, Eiko, Japan)를 사용하여 10㎚ 두께로 백금 도금 (platinum coating)을 하였다.
  • 이어서 스크럽하기 전과 스크럽한 후의 피부상태를 피부 통합분석 장비(Cutometer, MPA58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일상적인 사회활동을 하기 위해서 데일리메이크업을 하는 20대 여성 19명의 얼굴 피부를 마이크로비드가 첨가된 화장품으로 스크럽하기 위해서 화장한 상태의 피부를 더미 스코프(dermascope)로 관찰한 다음 미지근한 물로 세안을 하게 하였다.
  • 화장한 얼굴피부와 스크럽을 하기 전 화장막을 지우기 위해서 세안한 얼굴 피부, 스크럽 과정 중의 피부 및 스크럽 후의 피부상태를 더마스코프로 Fig. 1, 2,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배의 배율에서 관찰하였다. Fig.

대상 데이터

  • 본 연구의 더마스코프 관찰에서 세안한 얼굴피부는 피부 결에 따라 표피의 최외각 각질세포가 일부 들떠 있는 상태로 관찰되었다. 클렌징과정 중에 얼굴피부에 붙어있는 마이크로비드는 서로 밀착되어 존재하고 있거나 분산되어 있었고 구형의 구슬모양으로 유백색을 띄고 있었다.
  • 스크럽 하기 전과 후의 유분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Sebumeter(SM81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aH, Germany)를 사용하였다. 얼굴 피부측정 부위에 유분 측정 카세트(sebumeter cassette)를 적당한 압력으로 20∼30초간 눌러준 후 1㎠당 유분량 ㎍/㎠의 수치를 측정하였다.
  • 시중에서 마이크로비드가 첨가된 스크럽 화장품 (Cucumber soft scrub, SC007, Korea)을 구입하여 실험 재료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얼굴 피부측정 부위에 유분 측정 카세트(sebumeter cassette)를 적당한 압력으로 20∼30초간 눌러준 후 1㎠당 유분량 ㎍/㎠의 수치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각각 3회씩 반복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얼굴 피부 수분을 측정하기 위해서 Corneometer(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aH, Germany)를 사용하였다. Corneometer에 부착된 탐침(probe)을 피부 표면에 수직으로 적용하여 밀착 시킨 후에 가볍게 눌러 각질층의 수분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이크로비드는 무엇인가? 화장품이나 약품에 첨가되는 미세플라스틱은 구형의 형태로 “마이크로비드(microbead)" 또는 미세제거제(micro-expoliate) 라는 명칭으로사용되고 있다 [12,13]. 마이크로비드는치약과같 은개인위생용품이나스크럽화장품에 첨가되는 미세플라스틱입 자들을 의미한다[14,15].
딥클렌저의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딥클렌저는 사용되는 재료와 성분 및 용도에 따라 물리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으 로 구분할 수 있다. 피부각질의 박리와 보습 및 연화 등의 미용 목적으로 사용되는 화학적 딥클렌저는 alpha hydroxy acid(AHA)와 효소(enzyme)가 있으며 물리적인 방법으로는 고마쥐(gommage), 스크럽(scrub)이 있다[11].
각질제거를 적절하게 해주는 것의 장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피부 표피의 최외각 층에 존재하고 있는 각질을 제거하면 화장품의 침투력을 높여 피부노화를 늦추며 매끄 럽고 부드러운 피부를 유지 할 수 있다[10]. 따라서 효과적인 피부개선과 화장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질제거를 적절하게 해주는 것이 좋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W. Li, Z. H. Zhai, Q. Pang, L. Kong & Z. R. Zhou. (2013). Influence of exfoliating facial cleanser on the bio-tribological properties of human skin. Wear, 301, 353-361. 

  2. D. J. Jung & B. S. Chang. (2009). Presentation of facial image by using several types of coloring blusher. J Invest Cosmetol, 5, 75-79. 

  3. D. J-. Jung & B. S. Chang. (2017).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organic pigments that control brown tone blusher colors. J Invest Cosmetol, 13, 337-341. 

  4. H. A. Kwak, E. Y. Choi & B. S. Chang. (2009) Characteristics of pearlescent pigment using in make-up cosmetics. Appl Microsc, 39, 45-51. 

  5. M. O. Jeon & B. S. Chang. (2010). Fine structure of the iron oxides containing to blemish balm cream. J Invest Cosmetol, 6, 219-226. 

  6. D. J. Jung & B. S. Chang. (2010). Structural analysis of inorganic materials in blusher cosmetics. J Invest Cosmetol, 6, 273-278. 

  7. A. Y. Jang & B. S. Chang. (2010). Analysis on the elements and ultrastructure of inorganic materials in the eye shadow cosmetics. J Invest Cosmetol, 6, 319-329. 

  8. S. Y. Kang & B. S. Chang. (2010). Ultra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alcs including general cosmetics. J Invest Cosmetol, 6, 381-387. 

  9. M. O. Jeon & B. S. Chang. (2012). Property of silica and fine structure of cosmetic white powders. Appl Microsc, 42, 87-93. 

  10. M. Chang. (2015). Reducing microplastics from facial exfoliating cleansers in wastewater through treatment versus consumer product decisions. Mar Pollut Bull, 101, 330-333. 

  11. J. Y. Lee, S. J. Lee & B. S. chang. (2010). Effect of epidermal changes in the mice skin following glycolic acid peeling. Appl Microsc, 40, 245-251. 

  12. M. Cole, P. Lindeque, C. Halsband & T. S. Galloway. (2011). Microplastics as contaminants in the marine environment. A review. Mar Pollut Bull, 62, 2588-2597. 

  13. L. S. Fendall & M. A. Sewell. (2009). Contributing to marine pollution by washing your face: Microplastics in facial cleansers. Mar Pollut Bull, 58, 1225-1228. 

  14. P. K. Cheung & L. Fok. (2016). Evidence of microbeads from personal care product contaminating the sea. Mar Pollut Bull, 109, 582-585. 

  15. H. A. Leslie. (2014). Review of microplastics in cosmetics. IVM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Amsterdam, 1-33. 

  16. K. Cheung & L. Fok. (2017). Characterisation of plastic microbeads in facial scrubs and their estimated emissions in Mainland China. Water Res, 122, 53-61. 

  17. E. Bergami, E. Bocci, M. L. Vannuccini, M. Monopoli, A. Salvati, K. A. Dawson & I. Corsi. (2016). Nano-sized polystyrene affects feeding, behavior and physiology of brine shrimp Artemia franciscana larvae. Ecotoxicol Environ Saf, 123, 18-25. 

  18. B. S. Chang. (2018).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llus hair on face skin. J Invest Cosmetol, 14, 161-167. 

  19. H. S. Gill et al. (2009). Selective removal of stratum corneum by microdermabrasion to increase skin permeability. Eur J Pharm Sci, 38, 95-103. 

  20. H. Kim & B. S. Chang. (2019). Fine structure and component of spherical microbeads in scrub cosmetics. J Invest Cosmetol, 15, 25-30. 

  21. S. Dikstein & A. Zlotogorski. (1994). Measurement of skin pH. Acta Derm Venereol Suppl, 185, 18-20. 

  22. S. M. Ali & G. Yosipovitch. (2013). Skin pH: from basic science to basic skin care. Acta Derm Venereol, 93, 261-2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