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품질화 바이오가스 이용 기술지침 마련을 위한 연구(II): 도시가스 및 수송용 - 정밀모니터링 결과 중심으로
A Study on Establishment of Technical Guideline of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for the Biogas Utilization of Transportation and City Gas: Results of the Precision Monitoring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7 no.2, 2019년, pp.57 - 66  

문희성 (국립환경과학원) ,  권준화 (국립환경과학원) ,  박호연 (국립환경과학원) ,  전태완 (국립환경과학원) ,  신선경 (국립환경과학원) ,  이동진 (국립환경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기성폐자원(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음식물류폐수 등)의 바이오가스 이용에 대한 적정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서 마련하고자 현장조사와 정밀모니터링 등을 실시하였다. 정부의 중장기 바이오가스화 정책에 따라 폐자원의 자원화 시설 확충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도시가스 및 수송용으로 활용하는 시설은 효율이 아직은 저조하다. 전국 7개소 유기성폐자원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대상으로 정밀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사계절 평균으로 정밀모니터링 결과를 정리하였을 때, 유기성폐자원 별 효율성 분석에서 유기성분해율은 VS기준 평균 66.3 %로 분석되었다. 전처리 전후 바이오가스 성상을 분석한 결과 철염 및 탈황(건식, 습식)을 이용하여 전체 시설의 $H_2S$ 평균은 949.7 ppm으로 측정되었으며, 고품질화 정제설비 전단 및 후단에서 29.0 ppm과 0.3 ppm으로 나타났다. 메탄 함량은 소화조 후단에서 65.6 %, 고품질화 정제설비 전단 및 후단에서 63.5 %와 97.5 %까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arried out on-site investigation and precision monitoring to prepare proper design and operation technical guidelines for the use of bio gas in organic waste resources (fertilizing urine, food waste, food waste, food waste, etc.).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mid- and long-term policy o...

주제어

표/그림 (2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바이오메탄을 제조시설의 노점온도, 절대습도, 상대습도를 측정한 결과 (Table 13, 14)이다. 바이오가스 수분함량 측정은 여름철과 가을철에 진행하였으며, WJ, SDG, HC시설은 소화조 후단 측정이 어려워 가스저장조 또는 탈황설비 전단에서 측정하였다. 소화조 후단에서 수분함량을 측정한 평균결과 노점온도 27.

대상 데이터

  • 이 특집원고는 총 3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편은 유기물자원화 27권 1호에 게재되었으며, 3편은 다음 페이지에 이어서 게재됩니다.

데이터처리

  • 사계절 대상 시설의 VFAs 분석은 기기와 수분석으로 분석하였고, 기기분석 결과는 (Fig. 9)와 (Table 7) 에 도식화하였다. 대상시설 사계절 평균 유입 5,556mg/L, 유출 1,870 mg/L로 나타났으며, 유입대비 유출에서 모두 낮아지는 추세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계절 평균 원소분석을 통한 C/N 비의 경우 유입 11.42, 유출 8.48로 나타났는데 음식물, 가축분요를 처리하는 시설은 어떠한가? 음식물/음폐수, 가축분뇨를 처리하는 시설의 경우 사계절 평균과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하수병합 시설(JR)의 경우 유입 7.98, 유출 7.
화학적 산소요구량이란? 화학적 산소요구량 (CODcr)은 유입물 농도와 연계수질 부하에 관련된 하수처리장의 대표적인 수질지표이다. 유기성폐자원에 따른 바이오가스화 시설의 사계절 시료 CODcr 분석 결과는 (Table 5)와 (Fig.
폐자원의 자원화 시설 확충이 진행된 이유는? 본 연구는 유기성폐자원(가축분뇨, 음식물류폐기물, 음식물류폐수 등)의 바이오가스 이용에 대한 적정 설계 및 운전 기술지침서 마련하고자 현장조사와 정밀모니터링 등을 실시하였다. 정부의 중장기 바이오가스화 정책에 따라 폐자원의 자원화 시설 확충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하여 도시가스 및 수송용으로 활용하는 시설은 효율이 아직은 저조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National Biogas Strategy(Energigas Sverige), National Biogas Strategy 2.0. (2018). 

  2. EBA, European biomethane map infrastructure for biomethane production 2018. (2018). 

  3. Ministry of Environment, 2016 The status of waste generation and treatment in Korea. (2018). 

  4.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testing method on wastes, Korea. (2017). 

  5. Ministry of Environment, Official testing method on water, Korea. (2015). 

  6.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n Water Works Association, Water Environment Federation (US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98). 

  7. Tchobanoglous, G., Theisen, H., Vigil, S., Integrated solid waste management, McGraw-Hill. (1993). 

  8. Khanal, S. K., Anaerobic biotechnology for bioenergy production principles and applications, Wiley-Blackwell. (2008). 

  9. Korea Gas Safety Corporation, Research on the establishment plan of proper quality standard of alternative natural ga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ity, Korea. (2010). 

  10. Yen, H.W., Brune, D.E., Anaerobic co-digestion of algal sludge and waste paper to produce methane, Journal of Bioresource Technology. (2007). 

  11. Chen, Y., Cheng, J., Creamer, K.S., Inhibition of anaerobic digestion process: a review, Journal of Bioresource Technology. (2008). 

  12.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ranslation of guidelines for biogas production and use in Germany, Korea. (2014). 

  13. Muyzer, G. The ecology and biotechnology of sulphate-reducing bacteria. (2008). 

  14. Chen, S., Dong, X., Proteiniphilum acetatigenes gen. nov., sp. nov., from UASB reactor treating brewery wastewater,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2005). 

  15. Imachi, Pelotomaculum thermopropionicum gen. nov., sp. nov., anaerobic, thermophilic, syntrophic propionate-oxdizing bacteriun,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ry Microbiology.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