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The Effects of an Educational Drama Program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3, 2019년, pp.135 - 155  

정계숙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희경 (부산대학교 따뜻한교육공동체연구센터) ,  김지윤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effects an of educational drama program for promoting a sense of community on young children's community life skills. Methods: The program organized activities to achieve a sense of community. Community life skill, a behavioral skil...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유아의 공동체의식과 공동체생활 기 술을 증진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유아 공동체의식 증진 교육연극 프로그램은 유아의 공동체의식 증진을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공동체의식은 구성원들이 긴밀한 관계에서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며 집단의 일에 적극 참여 하여 일체감을 느끼는 것이다(이종향, 2013).
  • 유아 공동체의식 증진 교육연극 프로그램은 유아들이 마음껏 뛰어 놀고 신체를 통해 또래와 교감하며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극활동과 연극놀이 활동을 통해 공동체의식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을 위한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둘째, 공동체의식과 함께 유아기에 함양되어야 할 공동체생활기술은 구성원이 공동체의식을 발달시키는데 바탕이 되는 행동적 기술로, 공동체의식 증진 활동에 이 기술을 연습 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통합하였다. 이에 더하여 공동체의식 증진 활동의 운영 시에 프로그램 진행자가 이 요소들을 염두에 두고 그것을 가르칠 수 있는 상황(moment to teach)이 발생할 때마 다(Trawick-Smith, 2005) 즉흥적으로 이를 적절하게 언급하여 유아들이 인식하고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연극의 강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공동체의식의 함양에 유아들의 놀이와 재미 추구의 발달적 욕구를 충분히 반영하도록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유아들의 인간다움을 함양하고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하는데 밑거름이 되는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공동체의식과 공동체의식 형성에 바탕이 되는 공동체생활기술을 증진시키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공동체의식은 구성원들이 긴밀한 관계에서 서로 배려하고 존중하며 집단의 일에 적극 참여 하여 일체감을 느끼는 것이다(이종향, 2013). 이에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목표는 유아는 공동체의식 증진을 돕는 활동을 통해 첫째, 자신의 정서를 인식하고 적절하게 표현하는 경험을 한다. 둘 째,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배려하며 공감을 경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체의식이란 무엇인가? 공동체의식은 공동체 구성원이 함께 하는 환경에서 서서히 획득되고 학습되는 개념으로 구성원 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소속 집단에 소속감을 느끼고(송연주, 김대현, 이상수, 2015), 상호 영향(influence)을 주고받으면서 욕구를 충족하고(integration and fulfillment of needs) 정서적 친밀감과 유대감(McMillan & Chavis, 1986)을 느끼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동체의식은 집단 내에 서 배려나 질서, 규칙을 지키며 주변 사람들과 더불어 조화롭게 살 수 있는 태도와 가치라 할 수 있다.
타인의 역할 해보기란 무엇인가? 나아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연대의식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타인의 역할해보기를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타인의 역할 해보기(Mead, 1967)는 사회에 적합한 구성원이 되도록 훈련되어지는 과정으로 그 과정에서 사회 규범을 받아드리고 따르는 것으로 사회체계를 내면화하는 과정(Parsons & Bales, 1955)인데, 이러한 행위 속에서 유아는 기존의 지식을 전환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지식을 획득하게 된다(오경희, 2013, 재인용). 이는 다양한 상황과 인물을 접해보고 그들의 입장과 나의 생각을 비교하며 사고 를 할 수 있는 상상력과 감정이입이라는 연극적 체험과 같은 맥락이다.
타인의 역할 해보기가 연극적 체험과 같은 맥락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는 다양한 상황과 인물을 접해보고 그들의 입장과 나의 생각을 비교하며 사고 를 할 수 있는 상상력과 감정이입이라는 연극적 체험과 같은 맥락이다. 연극에는 타인 조망 능 력 증진, 다양한 역할 경험을 통한 대인관계 성숙,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표현 능력 향상, 집단 활동을 통한 협동심과 단결 및 공동체 의식 경험(이근삼, 2010)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에서 집단 놀이와 연극에 교육을 접목한 교육연극이 공동체의식의 강화에 효과적일 것으 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6)

  1. 강연우 (2017). 발달장애 청소년들의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영택 (2009). 우리나라 두 고등학교에서의 공동체적 경험과 갈등. 교육학연구, 47(2), 79-104. 

  3. 고정리 (2013). 유아공동체의식 함양 활동 구성 및 적용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광주초등교육연극연구회 (2013). 초등교사를 위한 내공 있는 연극놀이터. 경기: (주)시공미디어. 

  5. 구도완 (2009). 마을에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 서울: 창비. 

  6. 김민정 (2008).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범규, 주철안 (2006). 학교공동체의 개념적 요인 탐색. 지방교육경영, 11, 1-20. 

  8. 김병주 (2017). 이슈중심 교육연극 드라마의 가능성 고찰 - 유아교육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교육연극학, 9(1), 57-76. 

  9. 김병주 (2014). 유아교육에서의 놀이성과 연극성.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2), 1-11. 

  10. 김선, 한정혜, 제인현, 이송은 (2007). 유아를 위한 연극놀이. 서울: 창지사. 

  11. 김성희, 김병주 (2016). 과정드라마를 적용한 공동체의식 역량 함양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교육, 27(3), 223-242. doi: 10.20972/kjee.27.3.201609.223 

  12. 김숙자, 김현정 (2010). 전통적 가치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모색. 아동교육, 21(3), 19-34. 

  13. 김승현 (2006). 교육연극이 아동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영옥 (2003).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 개발 연구. 아동학회지, 24(5), 105-118. 

  15. 김윤태 (2003). 경험론적 교육과 연극교육. 예술교육연구, 1, 32-39. 

  16. 김지성 (2004).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지윤 (2016). 교육연극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태경, 전연우, 조희숙 (2014). 그림책에 나타난 공동체문화 양상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5(4), 25-52. 

  19. 김태희 (2015). 행복한 인재로 키우는 예술의 힘. 서울: 착한책가게. 

  20. 박선희 (2002). 유아의 창의적 극놀이를 위한 교수-학습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영유아보육학, 29, 65-94. 

  21. 사다리연극놀이연구소 (2009). 놀이 그리고 교육연극: 극놀이저널 3호. 서울: 연극. 

  22. 송연주, 김대현, 이상수(2015). 전환기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공동체의식의 매개효과. 중등교육연구, 63(2), 207-231. 

  23. 서소정 (2006).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에 관한 연구: 유아의 요구전략, 언어발달, 어머니의 친사회성에 관련된 양육신념 및 사회화전략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287-310. 

  24. 서울경제 (2011.3.27). 더불어 사는 사회에 서툰 한국 청소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11&aid0002141164에서 2018년 10월 17일 인출. 

  25. 성민정 (2003). 연극놀이를 통해 나타난 아동의 정서 함양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성태제 (2017).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교육학연구, 55(2), 1-21. 

  27. 신우종 (2001).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도덕공동체 형성 방안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신현석 (2004). 교육공동체의 형성과 발전: 동.서양 공동체론으로부터의 시사. 교육행정학연구, 22(1), 157-178. 

  29. 신현석 (2006).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육공동체 운영모형 개발. 한국교육학연구, 12(1), 37-61. 

  30. 신효순, 이원령 (2017). 연극 활동이 ADHD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3(3), 133-150. 

  31. 안경식 (2007). 우리나라 학교공동체의 역사적 고찰. 교사교육연구, 46(1), 1-14. 

  32. 오경희(2012). 유아들의 "우정"에 관한 사회적 및 공동체적 특성: 해석적 재생산론적 접근에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4), 249-267. 

  33. 오문자, 이방실, 이유나 (2012). 공동체 문화 형성의 관점에서 바라본 만 3세 유아들의 적응과정. 유아교육학논집, 16(1), 449-472. 

  34. 오형정 (2012). 교육연극을 활용한 말하기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표현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우남희, 이기범, 이연섭, 정병호, 정진경, 정진웅 (2001). 21세기 한국사회의 공동체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공동체교육: 이론과 실천의 장기 참여관찰 연구. 서울: 학술진흥재단. 

  36. 유병열 (1997). 공동체주의 도덕교육 연구. 서울: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37. 이경엽 (2009). 단절 위기 공동체놀이의 전승현황과 계승 방향. 한국민속학, 49, 299-332. 

  38. 이근삼 (2010). 연극개론: 그 이론과 실제. 서울: 문학사상 

  39. 이용주 (2004). 3세아의 학급 공동체 형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성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8(1), 113-140. 

  40. 이인원 (2007). 두레정신에 기초한 유아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이은민 (2016). 4차 산업혁명과 산업구조의 변화. 정보통신방송정책, 28(15), 1-22. 

  42. 이종향 (2013). 만 5세 유아의 공동체의식 측정도구 개발. 유아교육학논집, 17(3), 131-152. 

  43. 이춘애 (2016). 유아교육기관에서 공동체의식 증진을 위한 소셜액션러닝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이춘애, 유구종, 김은아 (2018). 유아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SNS활용 소셜액션러닝 모형 효과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3(2), 195-219. doi:10.20437/KOAECE23-2-09 

  45. 임부연, 오정희 (2012). 바람의 나라. 수업, 놀이, 예술: 바람을 만난 아름다운 아이들과 선생님. 경기도: 양서원. 

  46. 임종헌, 유경훈, 김병찬 (2017). 4차 산업혁명사회에서 교육의 방향과 교원의 역량에 관한 탐색적연구. 한국교육, 44(2), 5-32. 

  47. 장연주 (2018). 교육연극을 활용한 학교폭력예방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공감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공연문화연구, 37, 295-326. 

  48. 정계숙 (2002). 교육연극을 적용한 사회적 유능성 중재 프로그램의 집단따돌림/위험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증진 효과 연구. 아동학회지, 23(4), 171-183. 

  49. 정계숙, 김미정, 김정은 (2002). 교육연극을 적용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증진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 형성이 어려운 유아를 중심으로. 영유아보육연구, 8, 107-128. 

  50. 정계숙, 김혜민 (2005). 대인문제에 대한 유아의 대안적 해결 사고 증진 연구: 교육연극을 통하여. 영유아보육연구, 11, 1-18. 

  51. 정계숙, 윤갑정, 견주연, 차지량, 박희경 (2016). 유아교육의 건강성 회복을 위한 따뜻한 유아교육공동체의 모습과 실천과제. 유아교육연구, 36(1), 153-182. doi:10.18023/kjece.2016.36.1.007 

  52. 정계숙, 차지량, 문지애 (2017). 유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어머니가 지각한 친사회적 행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공동체생활 기술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6(2), 211-225. doi:10.15812/ter.56.2.201706.211 

  53. 정성희 (2006). 교육연극의 이해. 서울: 연극과 인간. 

  54. 정호연 (2018).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5. 조경애 (2005). 창의성 발달을 위한 교육연극 방법연구. 초등교육학연구, 12(2), 91-109. 

  56. 조상식, 김기수 (2016). 미래 한국교육의 교육철학적 기초-진단, 과제 그리고 방향. 경기도교육연구원 개원, 3, 30-52. 

  57. 중앙일보(2000.1.27.) [해외 석학에게 듣는다] 에드가 모랭 유럽문화연구소장. https://news.joins.com/article/3871292 에서 2018년 11월 10일 인출. 

  58. 최계영 (2016).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상과 정책 시사점. KISDI 프리미엄 리포트. 서울: 정보통신정책연구원. 

  59. 최정혜 (2009). 교육연극 활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의 창의성과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한민희 (2012). 자기표현력 신장을 위한 교육연극의 활용방안. 어문학교육. 44, 135-158. 

  61. 허학도 (2006). 학교공동체 구성원의 역할 탐색을 위한 조사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18(3), 364-373. 

  62. Aksoy, P., & Baran, G. (2010). Review of studies aimed at bringing social skills for children in preschool period.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9, 663-669. 

  63. Furman, G. (2002). School as community: From promise to practic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64. Gordon, M. (2008). Roots of empathy, 공감의 뿌리: 아이들 한 명 한 명이 세상을 바꾼다(문희경 옮김). 서울: 샨티(원저 2005). 

  65. Gulec, S., & Macan, B. (2014). The effects of drama-supported cooperative learning method on the development of pre-school children's communication skills.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36, 532-536. doi: 10.1016/j.sbspro.2014.05.370 

  66. Holmes, A. R. (2019). Pedagogy or pedagogues in the first year critical thinking classroom: helping students connect the global to the local by creating a sense of community, place and purpose. University Reports. 3. CA: Humboldt State University 

  67. Kostelnik, M. J., Whiren, A. P., Soderman, A. K., & Gregory, K. M. (2009).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6th), 영유아의 사회정서발달과 교육(제6판) (박경자, 김송이, 권연희, 김지현 옮김). 서울: 교문사(원판 2008). 

  68. Lickona, T. (1993). The return of character education. Education Leadership, 51(3), 6-11. 

  69.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doi: 10.1002/1520-6629(198601)14:1 3.0.co;2-i 

  70. Mead, G. H. (1967).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1. McCaslin, N. (2006). Creative drama in the classroom and beyond(8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72. Parsons, T., & Bales, R. F. (1955). Family, socialization and interaction process. New York: The Free Press. 

  73. Sergiovanni, J. T. (2004). Building Community in Schools, 학교 공동체 만들기(주철안 옮김). 서울:에듀케어(원판 1994). 

  74. Shen, M. (2008).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play: A case study of Taiwanes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implementation of play in a school setting. Ann Arbor, MI: ProQuest. 

  75. Spragens, Jr. T. S. (1995). Communitarian liberalism. Charlottesville, VA: The University Press of Virginia. 

  76. Trawick-Smith, J. (2001). Interactions in the classroom, 놀이지도: 아이들을 사로잡는 상호작용(송혜린, 신헤영, 신혜원, 성지현, 이종희, 임세희 등 옮김). 서울: 다음세대(원판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