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아 음악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sicality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5 no.3, 2019년, pp.175 - 201  

윤현정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musicality level of an individual child, based on the on performance tasks rubric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84 children(ages 3-5years old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their parents, and their 51 teachers. The collected...

Keyword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alcroze, Kodaly 및 Orff의 음악교수법이 현재까지 각광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관점에서 Dalcroze, Kodaly 및 Orff의 음악교수법은 유아를 대상으로 음악적 요소를 이해하고 변별하며, 음악적 표현성을 증진 시킬 수 있어 현재까지도 각광을 받고 있다(임미경, 현경실, 조순이, 김용희, 이에스더, 2010; Choksy, 1999). 특히 Gordon(1997/2000)은 음악성을 누구나 잠재적인 음악적 능력을 타고 난다고 보고 9세 이전에는 이러한 음악 적성이 적절한 음악적 환경 하에서 발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유아의 음악성을 측정하고 적절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온 이유로 음악이 유아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음악은 언어표현이 자유롭지 못한 유아에게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는 언어적 기능을 하며, 노래 부르기, 신체표현, 악기 연주 등을 통해 다양한 감정과 정서를 발달시키는 수단이 된다. 또한 유아기는 음악교육에 있어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에 발달되는 음악성은 이후 음악성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언어, 인지, 사회성 및 신체 발달 등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도움을 준다. 때문에 유아의 음악성을 타당하게 측정하고 적절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김영연, 2002; 박형신, 김정주 2012; 방은영, 2009; 안재신, 2004; 이홍수, 1992; Bayless & Ramsey, 1991; Campbell & Scott-Kassner, 2017; Greenberg, 1979/1985; Zimmerman, 1971).
음악성의 정의는 무엇인가? 음악성(musicality)은 사전적으로 음악적인 성질 또는 음악적인 감성이나 소질로 정의되나(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2018), 타고난 음악 능력과 이후의 발달 가능성을 합한 개념으로 음악 감상, 표현, 이해와 같은 여러 음악적 행위에 대한 능력의 합으로 폭넓게 정의된다(Mursell, 1937/1986). 때문에 어떠한 관점에서 음악성을 보는지에 따라 의미와 경계가 모호하며, 개념에 대한 정의 또한 다소 상이하게 발전되었다(김광자, 강문희, 2005; 조효임, 1995; 주대창,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8)

  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n.d).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에서 2018년 4월 24일 인출 

  2. 권덕원, 석문주, 최은식, 함희주 (2017). 음악과 교육의 기초(개정판). 서울: 교육과학사. 

  3. 권오선, 김영연, 양옥승 (2018). 음개념에 기초한 유아 새노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음악교육연구, 47(1), 1-35. doi:10.30775/KMES.47.1.01 

  4. 김광자 (2004).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광자, 강문희 (2005). 포괄적 음악교육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25(1), 25-45. 

  6. 김명순, 조경자 (1998).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다음세대. 

  7. 김명희, 김영자, 김향자, 신화식, 윤옥균, 윤옥인 등 (2009). 다중지능이론과 교육의 실제. 서울: 학지사. 

  8. 김석우 (2015). 교육평가의 이해(개정판). 서울: 학지사. 

  9. 김소연 (2009). 순환적 예술 활동을 이용한 유아미술교육프로그램이 창의성, 유추, 그림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 및 루브릭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순옥 (2001). 유아기 아동의 효과적인 가창지도 방법 연구. 음악과 민족, 22, 270-289. 

  11. 김애자, 이규민 (2005). Gardner와 Feldman에 기초한 유아 음악능력 측정도구의 타당화. 교육과학연구, 36(1), 17-31. 

  12. 김연주, 양연숙, 김현지 (2017). 영유아 음악교육. 서울: 창지사. 

  13. 김영연 (2002). 유아음악교육론. 서울: 학지사. 

  14. 김영천 (2007). 현장 교사를 위한 교육평가. 서울: 문음사. 

  15. 김영천, 박경묵, 고재천, 강래동 (2001). 초등학교 수행평가에 필요한 Rubrics(서술식 점수 채점표)의 개발과 적용(RR 2000-VI-4). 청주: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 공동연구소. 

  16. 김지언 (2017). 유아 음악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음악교육공학, 32, 41-57. 

  17. 김향숙, 신동주 (2017). 유아의 음악적 흥미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37(2), 33-55. doi:10.18023/kjece.2017.37.2.002 

  18. 김희태, 백순근 (2010). 유아교육평가.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19. 도명기, 김정삼. (2003). 초등영어 수행평가 루브릭의 개발과 적용의 방향. 초등영어교육, 9, 39-54. 

  20. 박명숙 (1983). 유아의 음색, 음개념 발달에 관한 실험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형신, 김정주 (2012). 음악요소 중심의 감상을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이야기 구성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6(2), 289-310. 

  22. 방은영 (2009). 유아의 음악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유아교육학논집, 13(6), 131-166. 

  23. 방은영 (2009). 교사용 유아 음악적 성향 검사도구 개발. 음악교육연구, 37, 61-84. 

  24. 변윤희, 현은자 (2004).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4(5), 311-335. 

  25. 보건복지부 (2019). 보육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26. 성태제 (2009). 교육평가의 기초. 서울: 학지사. 

  27. 성태제 (2016). 교육연구방법의 이해(개정판). 서울: 학지사. 

  28. 성태제, 시기자 (2018). 연구방법론(개정판). 서울: 학지사. 

  29. 신나리, 오정순 (2013).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 타당화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309-337. 

  30. 심리검사연구실 (1994). 유아음악적성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31. 안재신 (2004). 유아음악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32. 양정은, 이진희 (2017). 유아교사의 음악 및 동작영역 브릿징 평가 경험과 유아의 반응.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8), 237-252. doi: 10.21184/jkeia.2017.12.11.8.237 

  33. 우종필 (2016).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34. 이미화, 정주영, 엄지원, 김희정, 김명순, 이경옥 등 (2013). 3, 4세 누리과정 유아관찰척도 개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5. 이영애 (2015). 세계 유아음악교육과정. 서울: 에피스테메. 

  36. 이차숙 (2010). 유아 언어 평가 루브릭 개발 연구: 만 5, 6세 유아들의 듣기.말하기를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5(6), 213-233. 

  37. 이홍수 (1992). 느낌과 통찰의 음악교육.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38. 임미경, 현경실, 조순이, 김용희, 이에스더 (2010). 음악교수법. 서울: 학지사. 

  39. 임성미, 황해익 (2004). 유아음악능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유아교육논집, 13(1), 129-150. 

  40. 장은주 (2014). 유아교육과 음악교육의 통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서울: 양서원. 

  41. 조효임 (1995). 음악능력의 정의와 평가방법에 관한 고찰(음악교육평가의 음악심리학적 접근방법). 음악교육연구, 14, 317-355. 

  42. 주대창 (2000). 음악성의 교육적 의미. 음악과 민족, 19, 216-243. 

  43. 주영은 (2004). 유아음악교육에서 사용되는 피아노 반주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2), 217-233. 

  44. 최영숙 (1982). 유치원 음악교육에 관한 실험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최현혜, 이소희 (2014). 유아의 창의, 인성리더십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에 관한 사례연구: 인내. 아동복지연구, 12(3), 145-167. 

  46. 최혜진, 권유선 (2013). 유아 예술활동을 통한 창의성 평가 루브릭 개발.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35-155. 

  47. 하연희, 김상윤 (2015). 유아 노래 따라 부르기 검사 도구 개발 및 적용. 생태유아교육연구, 14(1), 147-172. 

  48. 하정희, 조영진, 강혜정 (2010). 유아음악교육. 경기: 공동체 

  49. 현경실 (2007).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음악적성검사 개발 연구 II. 음악교육연구, 32, 207-234. 

  50. 현경실 (2016). Kids' MAT 유아 음악적성검사 이해와 활용. 서울: (주)인싸이드. 

  51. 황해익 (2016). 유아교육평가의 이해(개정판). 경기: 정민사. 

  52. 황해익, 송연숙, 정혜영 (2008). 유아행동관찰법. 서울: 창지사. 

  53. Andrade, H. G. (2000). Using rubrics to promote thinking and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57(5), 13-18. 

  54. Arter, J., & McTighe, J. (2001). Scoring rubrics in the classroom.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55. Bayless, K. M., & Ramsey, M. E. (1991). Music: A way of life for the young child (4th ed.). Columbus, OH: Merrill. 

  56. Bentley, A. (1966). Musical ability in children and its measurement. New York: October House. 

  57. Campbell, P. S., & Scott-Kassner, C. (2017). Music in childhood. New York: Schirmer Books. 

  58. Chen, J.-Q., & McNamee, G. D. (2007). Bridging: Assessment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classrooms, Pre K-3. Thousand Oaks, CA: Corwin Press. 

  59. Choksy, L. (1999). The Kodaly method I(Vol.1).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60. Feierabend, J. M., Saunders, T. C., Holahan, J. M., & Getnick, P. E. (1998). Song recognition among preschool-age children: An investigation of words and music.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6(3), 351-359. 

  61. Findlay, E. (1971). Rhythm and movement: Applications of dalcroze eurhythmics. Evanston, IL: Summy-Birchard. Inc. 

  62. Gembris, H. (2002). The development of musical abilities. In R. J. Colwell (Ed.), The new handbook of research 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A project of the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pp. 487-508).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63. Goodrich, H. (1996).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14-17. 

  64. Gordon, E. E. (1965). Musical aptitude profile. Boston, MA: Houghton Mifflin. 

  65. Gordon, E. E. (1989). Audie. Chicago, IL: GIA. 

  66. Gordon, E. E. (2000).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 born and young children, 영유아를 위한 음악학습 이론(이헬렌 옮김). 경기: 새한기획출판부(원판 1997). 

  67. Gordon, E. E. (2004).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음악 오디에이션의 초급측정과 중급측정(이헬렌 옮김). 경기: 새한기획출판부(원판 1979). 

  68. Greenberg, M. (1985). Your children need music, 유아음악교육(이기숙, 김영주 옮김). 서울: 교문사(원판 1979). 

  69. Hair, H. I. (1977). Discrimination of tonal direction on verbal and nonverbal tasks by first grade childre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25(3), 197-210. 

  70.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03).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kit, (2nd ed).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71. Hinkin, T. R., Tracey, J. B., & Enz, C. A. (1997). Scale construction: Developing reliable and valid measurement instruments.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21(1), 100-210. doi:10.1177/109634809702100108 

  72. Klinger, R., Campbell, P. S., & Goolsby, T. (1998). Approaches to children's song acquisition:Immersion and phrase-by-phrase.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6(1), 24-34. 

  73. Lorton, J. W., & Walley, B. L. (1979). Introduc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New York: D. Van Nocturnal. 

  74. MENC(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1992). Position statement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NC Soundpost, 8(2), 21-22. 

  75. Mertler, C. A. (2001). Designing scoring rubrics for your classroom.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7(25), 1-10. 

  76. Moskal, B. M. (2000). Scoring rubrics: What, when ans how? Practical Assessment Research & Evaluation, 7(3), 1-5. 

  77. Mursell, J. L. (1986). Human values in music education, 음악교육과 인간형성(삼호출판사편집부 옮김). 서울: 삼호출판사(원판 1937). 

  78. Neelly, L. P. (2001). Developmentally appropriate music practice: Children learn what they live. Young Children, 56(3), 32-37. 

  79. Noar, S. M. (2003). The rol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scale development.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10(4), 622-647. doi:10.1207/S15328007SEM1004_8 

  80. Scheon, M. (1940). The psychology of music. New York: Ronald Press. 

  81. Scott, C. R. (1979). Pitch concept formation in preschool children. Bulletin of the Council for Research in Music Education, 59, 87-93. 

  82. Seashore, C. E. (1919). Seashore measures of musical talents. New York: Columbia Phonograph Company. 

  83. Seashore, C. E. (1938). The psychology of music. New York: McGraw-Hill. 

  84. Trehub, S. E., Morrongiello, B. A., & Thorpe, L. A. (1985). Children's perception of familiar melodies: The role of intervals, contour, and key. Psychomusicology: A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Cognition, 5(1-2), 39-48. 

  85. Wesolowski, B. C. (2012).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rubrics for music performance assessment. Music Educators Journal, 98(3), 36-42. doi:10.1177/0027432111432524 

  86. Wiggins, G. (1998). Educative assessment: Designing assessments to inform and improve student performance. San Francisco, CA: Jossey-Bass. 

  87. Wing, H. (1958). Standardized tests of musical Intelligence. Sheffield, UK: City of Sheffield Training College. 

  88. Zimmerman, M. P. (1971). Mus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ashington, DC: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