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원통체의 점탄성 응력 해석
Viscoelastic Stress Analysis of Adhesive-bonded Cylindrical by FEM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5 no.2 = no.44, 2019년, pp.259 - 267  

박승진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 접착제로 접착된 원통형 랩 접합부는 피착체가 탄성이고, 접착제가 선형 점탄성이라고 가정한다. 연구방법: 피착제의 응력 분포는 유한요소법을 사용하며, 4개의 아이소파라메터 점탄성 고체 접착제를 통해 피착제에 대한 해석결과를 검증한다. 연구결과: 접착층에서의 시간에 대한 응력분포와 피착제의 두께와 탄성율이 규격화에 미치는 응력의 영향을 검토한다. 결론: 본 연구는 접착제층의 점탄성을 고려한 랩접착된 원통체의 접착제층의 응력분포에 대해서 4요소 탄성체 모델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paper adhesive-bonded cylindrical lap joints are analyzed by assuming that the adherends are elastic and the adhesive is linearly viscoelastic. Method: The distribution of the stresses in the adhensive is evaluated using the Finite Element Method. Nuverical examples for identical an...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접착제층의 점탄성을 고려한 랩접착된 원통체의 접착제층의 응력분포에 대해서 4요소 탄성체 모델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하였고, 접착제 층의 응력분포의 시간에 대한 변화 및 응력의 감소 경향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본 논문에서는 피착제를 탄성체로 접착제 층을 4요소 모델의 선형 점탄성체로 가정하여, 접착제 층 내부의 응력 특성을 유한요소법에 의한 근사해법으로 해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접착제의 역할은? 접착제는 최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공학분야, 특히 구조 경량화․고기능화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되고 있는 Fig.
본 논문은 피착제를 탄성체로 접착제 층을 4요소 모델의 선형 점탄성체로 가정하여, 접착제 층 내부의 응력 특성을 어떤 방법으로 해석하였는가? 본 논문에서는 피착제를 탄성체로 접착제 층을 4요소 모델의 선형 점탄성체로 가정하여, 접착제 층 내부의 응력 특성을 유한요소법에 의한 근사해법으로 해석한다.
접착제층의 점탄성을 고려한 랩접착된 원통체의 접착제층의 응력분포에 대해서 4요소 탄성체 모델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을 하였고, 접착제 층의 응력분포의 시간에 대한 변화 및 응력의 감소 경향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1) 에폭시계의 접착제 재료를 한 예로서, 피착체에는 8절점 아이소파라메트릭 요소와 6절점 접착요소를 이용한 유한요소법에 의해 접착제층의 응력 분포에 대한 해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2) 응력의 감소는 피착체의 강성의 크기에 크게 의존하고, 접착체의 강성이 클수록 작아진다. 3) 수직응력 N의 감소는 전단응력 T보다 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dams, R.D., Peppiatt, N.A. (2016). "Stress analysis of adhesive bonded tubular lap joints." J. Adhes, Vol. 9, pp. 1-8. 

  2. Jeon, I.K., Jeon, C.K. (2010). "Manufacture and Construction Technology of Polyamide Fiber Reinforced Shotcrete in Tunne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ol. 14, No. 6, pp. 41-45. 

  3. Kim, Y.G., Kim, S.C., Kim, M.H. (2012). "A Study on the Dynamic Properties of Cement Mortar with Recycled PET Fiber."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2, No. 4, pp. 113-122. 

  4. KS F 2566:2000 (2000). Test Method for Flexural Toughness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5. Lee, I.C., Kim, H.S., Nam, J.S., Kim, S.B., Kim, G.Y. (2013). "Evaluation of Protective Performance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T-Wall."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13, No. 5, pp. 465-473. 

  6. Lee, I.W., Kim, S.H., Choi, T.J., Hong, B.T., Kim, H.H., Won, J.P. (2011). "Fracture Performance of Stuructural Synthetic Fiber Reinforced Concrete." Conference paper on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3, No. 2, pp. 103-104. 

  7. Lubkin, J.L., Reissner, E. (2015). "Stress distribution and design data for adhesive lap joints between circular tubes." J. Appl. Mech, Trans. ASME. pp. 78-81. 

  8. Mobasher, B., Shah, S.P. (1990). "Interaction between fibers and the matrix in 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 Thin-Section Fiber Reinforced Concrete and Ferrocement." SP 124, American Concrete Institute, Detroit, MI, 1990, pp. 137-156. 

  9. Soroushian, P., Khan, A., Hsu, J.W. (1992).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Materials Reinforced with Polypropylene or Polyethylene Fibers." ACI Materials Journal, Vol. 89, No. 2, pp. 535-540. 

  10. Yoon, J.H., Jeon, I.K., Jeon, C.K., Lee, S.C. (2012). "Experimental Construction of Polyamide Fiber Reinforced Shotcrete Technology."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 Institute, Vol. 7, No. 2, pp. 78-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