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용담 추출물의 위장관 운동 촉진 활성
Prokinetic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Dried Rhizomes and Roots of Gentiana scabra Bunge in Mice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9 no.6 = no.230, 2019년, pp.735 - 739  

이현태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바이오응용공학부 바이오의약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용담(Gentiana scabra)의 근경 및 뿌리를 말린 한약재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을 포함하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각종 염증성 피부 질환,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염, 당뇨병 등의 치료를 목적으로 한의학에서 널리 처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용담이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용담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마우스에서 in vivo 위 배출 속도 및 위장관 이송률을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위 배출 속도는 용담 열수 추출물 1 g/k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위장관 이송률은 용담 열수 추출물 0.1 및 1 g/kg 투여 시, 그리고 용담 에탄올 추출물 1 g/kg 투여 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두 추출물 모두 용량 의존적 증가 양상을 보였다. 더욱이, 용담 열수 추출물 1 g/kg 투여 시의 위장관 이송률은, 1990년대까지 임상에서 가장 강력한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쓰였으나 2000년 이후 부작용으로 시장에서 철수된 약물인 cisapride 투여 시보다 그 수치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들은 용담 열수 추출물이 잠재적으로 cisapride를 대체할 수 있는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 개발 가능한 후보 물질임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ried rhizomes and roots of Gentiana scabra (GS) have been frequently prescribed as a traditional folk medicine in East Asia (including China, Japan, and Korea)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pathophy-siological conditions, such as inflammatory skin diseases, anorexia, indigestion, gastric infect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론, 소화 불량 및 식욕부진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위장관 평활근의 운동 기능 이외에도 소화 효소의 활성 변화를 비롯하여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검토 및 고찰이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위장관 운동 기능에 대한 검토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용담이 위(胃) 및 소장(小腸)의 운동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용담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으며, 이들 추출물이 위장관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하여, 실험 동물에서 in vivo 위 배출 속도 및 위장관 이송률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담은 무엇인가? 용담(龍膽; Gentiana scabra Bunge)은 용담과(Gentianaceae) 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전역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및 대만, 일본, 러시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이 식물의 근경(根莖; rhizome) 및 뿌리(root)를 말린 한약재 역시 ‘용담’으로 불리며, 우리나라와 중국 및 일본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각종 염증성 피부 질환,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염, 당뇨병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한의학에서 널리 처방되어 왔다[2, 12-14].
용담은 어떤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처방되어 왔는가? 용담(龍膽; Gentiana scabra Bunge)은 용담과(Gentianaceae) 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 전역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세계적으로는 중국 동북부 및 대만, 일본, 러시아 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이 식물의 근경(根莖; rhizome) 및 뿌리(root)를 말린 한약재 역시 ‘용담’으로 불리며, 우리나라와 중국 및 일본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아주 오래 전부터 각종 염증성 피부 질환, 소화불량, 식욕부진, 위염, 당뇨병 등의 치료를 위한 약재로 한의학에서 널리 처방되어 왔다[2, 12-14]. 한편, 용담 추출물 및 그 함유 성분들에 대한 생명과학 및 서양 의학적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면, 항염증[3, 8, 14], 간(肝) 보호[4, 9], 항당뇨 [12], 혈액 응고 방지[1], 면역 조절 활성[7] 등이 보고된 바 있다.
새로운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서 GS-W가 그 강력한 후보 물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이유는?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용담 열수 추출물(GS-W)이 실험 동물에서 위 배출 속도 및 위장관 이송률을 모두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음을 최초로 보고하였다. 이는, cisapride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서 GS-W가 그 강력한 후보 물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ai, W., Xu, H., Xie, L., Sun, J., Sun, T., Wu, X. and Fu, Q. 2016. Purification, characterization and in vitro anticoagulant activity of polysaccharides from Gentiana scabra Bunge roots. Carbohydr. Polym. 140, 308-313. 

  2. Ikeshiro, Y. and Tomita, Y. 1983. A new bitter secoiridoid glucoside from Gentiana scabra var. buergeri. Planta Med. 48, 169-173. 

  3. Kim, M. S., Cho, W. J., Hwang, S. Y., Lee, J. R., Park, S. J., Kim, S. C. and Jee, S. Y. 2008. Inhibitory effect of Gentianae Radix MeOH extract on pro-inflammatory mediator production in lipopolysaccharide activated Raw 264.7 cells. J. Kor.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1, 28-38. 

  4. Ko, H. J., Chen, J. H. and Ng, L. T. 2011. Hepatoprotection of Gentiana scabra extract and polyphenols in liver of carbon tetrachloride-intoxicated mice. J. Environ. Pathol. Toxicol. Oncol. 30, 179-187. 

  5. Lee, H. T. 2014. Prokinetic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from dried Citrus unshiu peels in mice. J. Life Sci. 24, 260-265. 

  6. Lee, H. T., Seo, E. K., Chung, S. J. and Shim, C. K. 2005. Prokinetic activity of an aqueous extract from dried immature fruit of Poncirus trifoliata (L.) Raf. J. Ethnopharmacol. 102, 131-136. 

  7. Li, W., Li, L. Y., Zhou, W., Hwang, I., Ma, J. Y. and Kim, Y. H. 2015. Triterpenoids isolated from the rhizomes and roots of Gentiana scabra and their inhibition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Arch. Pharm. Res. 38, 2124-2130. 

  8. Li, W., Zhou, W., Kim, S., Koo, J. E., Kim, Y., Koh, Y. S., Shim, S. H., Ma, J. Y. and Kim, Y. H. 2015. Three new secoiridoid glycosides from the rhizomes and roots of Gentiana scabra and thei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Nat. Prod. Res. 29, 1920-1927. 

  9. Qu, Z. X., Li, F., Ma, C. D., Liu, J., Li, S. D. and Wang, W. L. 2015. Effects of gentiana scabra bage on expression of hepatic type I, III collagen proteins in Paragonimus skrjabini rats with liver fibrosis. Asian Pac. J. Trop. Med. 8, 60-63. 

  10. Ryu, J. H. and Lee, H. T. 2013. Effects of dried Citrus unshiu peels on gastrointestinal motility in rodents. Arch. Pharm. Res. 36, 641-648. 

  11. Suchitra, A. D., Dkhar, S. A., Shewade, D. G. and Shashindran, C. H. 2003. Relative efficacy of some prokinetic drugs in morphine-induced gastrointestinal transit delay in mice. World J. Gastroenterol. 9, 779-783. 

  12. Suh, H. W., Lee, K. B., Kim, K. S., Yang, H. J., Choi, E. K., Shin, M. H., Park, Y. S., Na, Y. C., Ahn, K. S., Jang, Y. P., Um, J. Y. and Jang, H. J. 2015. A bitter herbal medicine Gentiana scabra root extract stimulates glucagon-like peptide-1 secretion and regulates blood glucose in db/db mouse. J. Ethnopharmacol. 172, 219-226. 

  13. Tang, W. and Eisenbrand, G, 1992. Chinese drugs of plant origin: chemistry, pharmacology, and use in traditional and modern medicine, pp. 549-553, Springer: Berlin, Germany. 

  14. Yang, B., Kim, S., Kim, J. H., Lim, C., Kim, H. and Cho, S. 2019. Gentiana scabra Bunge roots alleviates skin lesions of contact dermatitis in mice. J. Ethnopharmacol. 233, 141-147. 

  15. Zeinali, F., Stulberg, J. J. and Delaney, C. P. 2009. Pharmacological management of postoperative ileus. Can. J. Surg. 52, 153-1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