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강 수계 지류 하천의 수질 특성 및 수질 개선을 위한 등급화 방안 연구
A Study on Grade Classification for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the Han River Watershed Tributaries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3, 2019년, pp.215 - 230  

조용철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박민지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신경용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최현미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김상훈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유순주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강 수계의 주요 지류 하천에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수질특성을 파악하고 하천 등급화 방법에 따른 우선으로 관리되어야 할 지류 하천을 선정하여 수질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한강 수계의 주요 15개 지류 하천을 대상으로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 유량 및 수질을 모니터링 하였다. 상관 분석 결과 하천 유량은 수질 항목 간의 상관성(p>0.05)이 있지 않았으나 COD와 TOC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r=0.957, p<0.01). 주성분 분석 결과 유기오염 물질 및 영양염류에 의한 오염이 수질변동의 주요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BOD, COD, TOC, TN, TP는 일원 분산분석 결과 계절별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정량적 지표에 따른 하천 등급화 결과 수질개선이 필요한 지류 하천은 공공하수처리시설 방류수의 영향을 받는 굴포천, 안양천, 왕숙천, 탄천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한강 수계의 수질 개선이 필요한 지류 하천을 선정할 수 있었으며 효율적인 수질 관리를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the statistical analysis of major tributaries in the Han River and to provide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 by selecting tributaries that should be preferentially managed by river grade classification method. The ...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지류 하천의 총량 지점에서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지류 하천의 수질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수질 자료 해석에 대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다변량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하천 등급화 방법을 통해 한강 수계의 우선으로 관리되어야 할 지류 하천을 선정하여 향후 한강 수계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수질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강 수계 지류 하천의 총량 지점에서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여 지류 하천의 수질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수질 자료 해석에 대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 다변량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하천 등급화 방법을 통해 한강 수계의 우선으로 관리되어야 할 지류 하천을 선정하여 향후 한강 수계의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수질 관리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한강 수계 주요 지류 15개 하천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다변량 통계 분석 및 하천 등 급화를 수행하여 수질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하지만 많은 연구자가 군집 분석의 군집 개수를 주관적인 판단에 결정하는 경우가 대다수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서는 군집 분석을 수행하기 전 사전분석을 통하여 군 집의 개수를 알아보았다. 군집 개수와 값을 정리하 면 군집 분석의 최적 군집 개수(Optimum number of clusters)를 파악할 수 있다(Cho et al.
  • 최근 진위천 유역, 금강과 낙동강 및 영산강 수계를 중심으로 지류 지천의 수질 개선 하천 유역 우선 순위를 제시하여 효율적인 유역관리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Cho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류 지천의 특징은 무엇인가? 특히 지류 지천은 생활하수의 유입, 강우 시 비점 오염물질의 유입, 고농도 축산폐수의 유입, 수질오염 사고에 의한 오염원 유입 등이 상시 존재하여 지류 지천의 수질 악화는 수계 본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Son et al. 2017b).
유역관리를 위한 많은 선행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2017). 현재까지 많은 선행 연구 및 연구 자들이 수계의 수질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지만 한강 수계 지류 하천의 특성을 정확히 분석하고 수질 개선이 필요한 하천을 선정하기 위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하천의 수질의 정확한 변화 특성 파악 및 평가가 어려운 이유는? 효율적이고 체계적 인수계의 수질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지류 및 소하 천을 포함한 대상 수역의 장기적 및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며 수질변동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천의 수질은 유입 지류 지천 유역의 오염 부하, 하천의 수리 수문학적 특성, 퇴적물의 오염상태, 수체 내 생물학적 물질대사, 계절적 요인 등이 상호 작용하여 결정되기 때문에 수질의 정확한 변화 특성 파악 및 평가를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Park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Ahn TW, Jung JH, Kim TH, Kim SW, Choi IS, Oh JM. 201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Pollutants of Water Quality and Sediments in Gul-po Stream Basi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4(7): 495-503. [Korean Literature] 

  2. Bernard P, Antoine L, and Bernard L. 2004.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 Appropriate Tool for Water Quality Evaluation and Management-application to a Tropical Lake System. Ecological Modeling. 178. 295-311. 

  3. Cho YC, Choi HM, Lee YJ, Ryu IG, Lee MG, Gu DH, Choi KW, Yu SJ. 2018.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in the Imjin River for Total Pollutant Load Management.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27(4): 353-366. [Korean Literature] 

  4. Cho YC, Choi JW, Noh CW, Kwon PS, Kim SH, Yu SJ. 2018. Evaluation of Discharge-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River Grade Classification of Jinwi River Unit Basin.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27(6): 705-717. [Korean Literature] 

  5. Cho YC, Lee SW, Ryu IG, Yu SJ. 2017.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variation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A case study of the Imjin River Bas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9(11): 641-649. [Korean Literature] 

  6. Choi OY, Kim KH, Han IS. 2015. A Study on the Spatial Strength and Cluster Analysis at the Unit Watershed for the Management of Total Maximum Daily Load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1(6): 700-714. [Korean Literature] 

  7. Forina M, Armanino C, Raggio V. 2002. Clustering with dendrograms on interpretation variables. Analysis Chimica Acta. 454: 13-19. 

  8. Gwak BR, Kim IK. 2016.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in Changnyeong-Haman weir section using statistical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8(2): 71-78. [Korean Literature] 

  9. Jung KY, Ahn JM, Kim KS, Lee IJ, Yang DS. 2016.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Grade Classification of Geumho River Tributarie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mational. 25(6): 767-787. [Korean Literature] 

  10. Jung KY, Kim GH, Lee JW, LEE IJ, Yoon JS, Lee KL, Im TH. 2013a. Selection of Priority Management Target Tributary for Effective Watershed Management in NamRiver Mid-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4): 514-522. [Korean Literature] 

  11. Jung SJ, Kim KS, Seo DJ, Kim JH, Lim BJ. 2013b.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and Grade Classification of Yeongsan River Tribut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29(4): 504-513. [Korean Literature] 

  12. Jung SJ, Lee DJ, Hwang KS, Lee KH, Choi KC, Im SS, Lee YH, Lee JY, Lim BJ. 2012. Evaluation of Pollutant Characteristics in Yeongsan River Using Multivariate Analysi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5(4): 368-377. [Korean Literature] 

  13. Jung TY, Yun DH, Shim MJ, Lee SM, Yoon YY. 2018.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y and Material Flux in the Han River Korea. KSWST Journal of Water Treatment. 26(5): 55-64. [Korean Literature] 

  14. Kim JH, Lee SW, Cha SM. 2016a Environmental statistics & data analysis. Hannarae publishing. [Korean Literature] 

  15. Kim MA, Lee JK, Zoh KD. 2007. Evaluation of the Geum River by multivariate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factor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al. 23(1): 161-168. [Korean Literature] 

  16. Kim SB, Park YH, Kim YS, Kim SY. 2018.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s in the Contaminated Tributaries of Han River Reg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5): 494-502. [Korean Literature] 

  17. Kim SY, Ryu IG, Park MJ, Shin KY, Hwang SH, Cho HS, Lee JK, Lee YJ. 2016b.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Trend using Multivariated Analysis for the Han River.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31(1): 13-25. [Korean Literature] 

  18. Kim WY, Kim DH, Choi YC. 2010. A Study on application limitation of AHP priority vector with expert measurement. Journal of thr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Flight Operation. 18(3): 92-99. [Korean Literature] 

  19. Kim YJ, Gal BS, Park JB, Kim SH, Im TY. 2018. Classification of Nakdong River Tributaries under Priority Management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Index. Journal of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Engineers. 40(2): 73-81. [Korean Literature] 

  20. Kim YY and Lee SJ. 2011. Evaluation of Water Quality for the Han River Tributaries Using multivariate Analysi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Engineers. 33(7): 501-510. [Korean Literature] 

  21. Kwon TH. 2013. A Study of consideration of flowing-in branches's effect on the water quality for improvement of the water quality in of Keumho river.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gbuk. 

  22. Lee YJ, Park MJ, Son JY, Park JR, Kim GD, Hong CS, Gu DH, Lee JG, Noh CW, Shin KY, Yu SJ. 2017. Spatial and Seasonal Water Quality Variations of Han River Tributries.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26(6): 418-430. [Korean Literature] 

  23. Lim BS, Cho BW, Kim YI, Kim DY. 2010. Application of Priority Order Selection Technique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Stream Watershed by Relationship of Flow and Water Quality. Journal of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Engineers. 32(8): 802-808. [Korean Literature] 

  24. Min KS. 2011. Watershed management and restoration tributaries.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tion. 44(3): 18-23. [Korean Literature] 

  25.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4. Hydrological Observation Manual. [Korean Literature] 

  26.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Water Quality Monitoring Program. [Korean Literature] 

  27.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http://water.nier.go.kr. 

  28. Na SM, Lim TH, Lee JY, Kwon HK, Cheon SU. 2015. Flow Rate.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ibutaries and a Grouping Method for Tributary Management in Nakdong River.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7(4): 380-390. [Korean Literature] 

  29. Noh HJ. 2005. Multivariate analysis theory and practice using spss & excel. Hyungseul publishing networks; pp. 87-469. [Korean Literature] 

  30. Park JH, Sohn SM, Rhew DH. 2011. A Study on th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the Pollutants using the Empirical Equation and Factor Analysis - Case Study of the Upper and Lower Qatershed of South han Riv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27(6): 905-913. [Korean Literature] 

  31. Park JS, Rhee KH. 2014. Items and Indicators of Evaluation for Decision of Priority in Improving River Water Quality.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80: 83-100. [Korean Literature] 

  32. Park SH, Kim HS, Cho BU, Moon EH, Choi JH. 2016. Watershed Management Plan through Water Monitoring for Main Branches of 4 Water Systems in Chungcheongnamdo.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2); 163-172. [Korean Literature] 

  33. Park SH, Moon EH, Choi JH, Cho BW, Kim HS, Jeong WH, Yi SJ, Kim YI. 2011. Analysis of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flowrate and water quality in tributary at Chungcheongnam-do Korean. Korean Society Environment Engineers. 29(1); 107-113. [Korean Literature] 

  34. Choi JH. 2016b. Watershed Management Plan through Water Monitoring for Main Branches of 4 Water Systems in Chungcheongnamdo.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2); 163-172. [Korean Literature] 

  35. Ravichandran S, Ramanibai R and Punderikanthan NV. 1996. Ecoregions for describing water quality patterns in Tamiraparani basin, South India. Journal of Hydrology. 178: 257-276. 

  36. Shrestha S and Kazama F. 2007. Assessment of Surface Water Quality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A Case Study of the Fuji River Basin, Japan. Environmental Modelling & Software. 22: 464-475. 

  37. Simeonov V, Stratis JA, Samara C, Zachariadis G, Voutsa D, Anthemidis A, Sofoniou M, Kouimtzis T. 2003. Assessment of the surface water quality in Northern Greece. Water Research. 37: 4119-4124. 

  38. Singh KP, Malik A, Mohan D, Sinha S. 2004. Water quality assessment and apportionment of pollution souces of Gomti river (India)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 a case study. Analysis Chimica Acta. 538 (1-2): 355-374. 

  39. Son SC, Kim DH, Lee JC, Lee JY, Lee KW, Kim WJ, Jung JW. 2017a.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in Tributaries of the Sumjin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Technology. 18(6): 563-570. [Korean Literature] 

  40. Son YG, Na SM, Im TH, Kim SH. 2017b. Water Quality Analysis in Nakdong River Tributaries Using 2012-2016 Monitoring Dat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3(6): 680-688. [Korean Literature] 

  41. Sustainable Water Resources Research Center (SWRRC). 2004. Streamflow Measurement Manual. 1-84. [Korean Literature] 

  42. Yi SJ, Kim YI. 2014. Improvement on Management of Non-pont Source Pollution for Reasonable Implementation of TMDL-Focusing on Sele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Region and Managemen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Journal of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Engineers. 36(10): 719-723. [Korean Literature] 

  43. Yu SJ, Cho HS, Ryu IG, Son JY, Park MJ, Lee BM. 2018. Characteristics of Spatial and Temporal Organic Matter In the Han River Watershed.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4): 409-422. [Korean Literature] 

  44. Zhaoshi W, Xiaolong W, Yuwei C. Yongiu C, Jiancai D. 2018. Assessing river water quality using water quality index in Lake Taihu Basin, China.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12: 914-9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