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친수시설의 모니터링과 평가를 통한 유지관리방안 연구 - 전주천을 중심으로 -
A Study of Maintenance Method by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Water Friendly Facilitiesin Urban Streams - A Case Study of Jeonjucheon in Jeonju-si - 원문보기

환경영향평가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v.28 no.3, 2019년, pp.263 - 274  

임현정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정문선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하천의 생태복원사업 이후 친수시설의 모니터링 방법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관리구역의 설정과 유지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친수시설의 유지관리모니터링 항목을 '이용공간 시설물', '산책로자전거도로', '접근로', '안내판'으로 구분하였다. 각 친수시설의 평가는 '관리상태', '안전성', '이용정도'를 기준으로, '양호', '보통', '불량'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전주천을 대상으로 500m간격의 총 15개 구간을 조사 및 평가하여 친수시설마다 '우선관리', '일반관리', '유지/제거', '제거' 여부를 결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간별 관리구역설정과 유지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주천에서 '우선관리'가 필요한 시설이 5~9개로 나타난 J2, J3, J4, J9 구간은 '집중관리구역', '우선관리'가 필요한 시설이 1~3개로 나타난 J5, J6, J7, J8, J11, J14 구간은 '정기관리구역'으로 설정되었다. '우선관리'할 시설이 없는 J1, J10, J12, J13, J15구간은 '최소관리구역'으로 설정되었다. 본 연구의 모니터링 및 평가, 유지관리구역 설정과정은 향후 거버넌스가 참여하여 하천 친수시설물의 체계적인 유지관리계획을 마련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 monitoring method, management zones, and maintenance strategies for water friendly facilities in urban streams after the completion of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s. Maintenance monitoring items are composed of 'use space& facilities', 'trails& bike roads'...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주시의 경우 이를 극복하기 위해 거버넌스의 참여에 따라 NGO 및 시민들이 함께 모니터링 및 유지관리에 참여하고 있는데 모니터링 조사항목이 복잡하고 현황을 정확히 파악하는데 부족하여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하천 생태복원사업이후 친수시설의 모니터링 및 평가방법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관리구역의 설정과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8년 전주천을 대상으로 친수시설 모니터링을 시범적으로실시 하여 지속가능한 유지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환경NGO 및 시민이 이용하기에 용이한 모니터링 체계를 제안하였다.
  • ’안전성‘은 안전이 확보되었거나 안전과 무관한 경우 3점, 보통인 경우 2점, 사고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1점을 부여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시설물마다 특이사항 및 관리에 대한 의견사항이 있는 경우 기입하도록 하였다. 조사는 2018년 11월 21일, 12월 13일, 12월 21일 3일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구간마다 1시간정도 조사시간이 소요되었다.
  • 본 연구는 도시하천의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유지관리를 위해 친수시설의 체계적인 모니터링 및 평가방법을 구축하고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대상지인 전주천을 15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친수시설 모니터링을 시범적으로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수시설이란 무엇인가? 하천법 제13조와 하천의 구조ㆍ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제 17조에 따르면 ‘친수시설’은 수상레저시설, 체육시설, 휴게시설, 생태ㆍ학습시설, 자전거도로 및 산책로 등 사람들의 건전한 활동을 위하여 하천에 설치하는 각종 시설로 정의되어 있다. 친수시설은 주변 인구, 친수활동 수요, 접근성 및 생태환경 등을 고려하여 필요한 구역에만 설치하도록 하고 계획 시 물흐름에 안전, 유지관리 용이함, 환경친화, 물흐름 방해의 최소화 등을 고려하도록 명시하고 있다.
도시하천의 친수공간관련 연구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ME(2014a)연구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생태하천 복원사 업이 완료된 국내 8개 하천에 대한 사후관리를 조사한 결과, 사후모니터링과 유지관리가 부분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시하천의 친수공간관련 연구는 크게 개발사업의 적지선정을 위한 평가체계와 친수공간의 계획설계요소, 그리고 관련법에 대한 연구로 나눌 수 있다. Kim et al.
도시하천의 친수공간 관련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관련 연구 검토결과, 하천친수시설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평가체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생태하천복원 사업 적용 후 유지관리에 대한 요구가 높고, 문제 발생 후 대응하는 사후 관리만으로 하천복원의 효과를 유지하기 어렵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ck JW, Park JM, Kim JG. 2013. A study on the park using pattern focusing on user behavior in river-eco-pa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5): 2157-2168. [Korean Literature] 

  2. Choi DS, Moon JW, Kim SH. 2012. An assessment on the urban riverfront in shincheon, daegu: focused on a universal design concep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2): 1-14. [Korean Literature] 

  3. Heo JY, Choi YH, Park DH. 2012. Inspection and repair of stream facilities.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Water for future). 45(6): 23-33. [Korean Literature] 

  4. Jeonju Eco-River Council. 2009. History of Jeonjucheon 10 years. [Korean Literature] 

  5. Kim GH. 2015. Use and safety management approaches for urban stream space. River and Culture. Spring. 11(2): 16-25. [Korean Literature] 

  6. Kim JS. 2017. Management status and improvement issues of waterfront park. National Assembly Research Service. Field survey report. 55: 5 pp. [Korean Literature] 

  7. Kim YD, Park MH, Chu MH. 2013. Improvement plan of river facility maintenance standard.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Water for future). 46(5): 84-89. [Korean Literature] 

  8. Lee HS. 2018. Analysis of legislation and guidelines on riverfront assessment and management syste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4(3): 97-104. [Korean Literature] 

  9. Lim HJ, Lee MW, Jeong MS. 2015. User assessment about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of Jeonjucheon: Focused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3): 217-232. [Korean Literature] 

  10. Ministry of Environment. 2017a. Guidelines for monitoring and maintenance of ecology restoration project. [Korean Literature] 

  11. Ministry of Environment. 2014a. Postmanagement manual for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Korean Literature] 

  12. Ministry of Environment. 2014b. Study of establishing post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 for sustainable ecological stream restoration: Final report.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17b. Guidelines for project implementation of ecology restoration project(10th revision). [Korean Literature]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 Establishment of river master plan guidelines. 

  1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8. River design standards: stream water friendly facilities. KDS 51 80 05. [Korean Literature] 

  16.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Long term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2011-2020). [Korean Literature] 

  1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Establishment of river facility utilization guidelines. [Korean Literature] 

  18. Park SJ. 2017. A study on spatial plan to activate urban waterfront - Focusing on the Anyangcheon.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2(6): 163-172. [Korean Literature] 

  19. Park TS, Kim GM, Lee SB. 2004. A study of river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alysis for the close-to natural river maintenanc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53 pp.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