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뿌리기업 진정성리더십이 조직원 역할 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외국인과 내국인의 조절효과 분석
The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Employee's In-role Performance in Ppuri Company : Analysis of Moderating Effects between Foreigner and Nativ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93 - 104  

신승한 (동신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  박영주 (동신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뿌리산업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기술적 중요성이 증가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내국인 전문인력 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워, 외국인 근로자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뿌리기업에서 근무하는 외국인과 내국인의 역할내 성과 향상을 위한 조직 몰입 방안을 제시하고, 집단간 비교를 통한 차별화 지원 방안을 찾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뿌리기업의 외국인과 내국인이며, 설문을 통하여 유효샘플 393개를 수집하였다. 연구가설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외국인의 경우 균형잡힌 정보처리가 조직몰입을 통해 역할 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국인의 경우 관계적 투명성, 균형잡힌 정보처리과정, 내재화된 도덕적 관점이 조직몰입을 통해 역할 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집단별 역할 내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향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puri industry is growing in technical importance due to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growing steadily. However, securing skilled workers is hardly realistic, and foreign workers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for improvement of in-role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우리나라는 뿌리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우수 외국 기술 인력을 확보하여 외국인 기술인력 양성대학 졸업생을장기적으로 뿌리기업에서 근무하도록 유도하고 있으며, 이들은 한국어를 할 줄 알며, 뿌리기업에서 지속적으로근무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다. 따라서, 뿌리기업 리더의지원체계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 존재할 것으로 판단하며, 해당 기업의 외국인에게 설문을 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맥락으로 동일한 상황의 내국인 근로자가 생각하는 리더의 지원체계 수준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가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함께 파악함으로써, 집단간의비교를 할 수 있다고 보았다.
  • 본 연구는 리더의 진정성리더십이 조직원 개개인의 역할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되,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뿌리기업의 외국인에 대한 성과향상, 그리고 외국인이 함께 근무하는 뿌리기업의 내국인에대한 성과향상에 대한 관점을 상호간에 비교함으로써, 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뿌리기업의 외국인그룹과 내국인 그룹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론적 관점에서, 국내 중소기업에서 외국인 근로자의인원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에 관련 연구는매우 미진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과 내국인 관점에서리더의 역할과 성과와의 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집단별 차이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즉, 다국적 근로자들의 성과 관련 연구의 선행 연구로서의 시사점을 가진다.
  • 셋째, 종단적 연구를 통해 서베이 기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외국인과 내국인 근로자들의 성과와 진정성리더십간의 연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당시의 응답자의 생각을 기반으로 정량분석을실시하였으나, 응답내용의 왜곡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종단적 연구를 통해 성과 영향요인에 대한 실질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요인별 다수의 문항을 기반으로 측정하고, 요인들의 상관관계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기 때문에, 공통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 발생가능성을 측정하였다. Harmon[1967]의 단일요인방법(single factormethod)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인적자원의 지속적인 부족현상을 해결하기위하여, 외국인 인력 확보를 통하여 기업 성과를 확보하고자 하는 뿌리기업들의 인적자원의 개인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중소기업으로만 구성된 뿌리기업에서 근무하는 조직원(외국인, 내국인)의 역할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리더의진정성리더십이 발휘될 때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외국인과 내국인간의 진정성 리더십에 의한 성과의 영향차이가 존재할 것으로 판단하여 연구모델을 Fig.
  • 첫째, 기업 리더와 소속 조직원에 대한 1:1 매칭 설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장기 체류 외국인을 고용하고 있는 뿌리기업을 대상으로 외국인과 내국인을 구별하여 진정성리더십과 성과간의 관계를 설문하였다. 진정성리더십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업의 리더(CEO)와 소속조직원(외국인, 내국인)을 함께 설문하여야 하나,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어, 대상 기업에서 외국인, 내국인 각 1명씩 응답하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가속한 뿌리기업에서 외국인과 내국인의 성과 향상을 위한동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적으로 최근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진정성리더십이 조직 몰입을 통해 개인의 역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찾고자 하였으며, 특히, 외국인과 내국인이 고려하는 성과 영향요인의 차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근로자가속한 뿌리기업에서 외국인과 내국인의 성과 향상을 위한동기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적으로 최근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진정성리더십이 조직 몰입을 통해 개인의 역할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찾고자 하였으며, 특히, 외국인과 내국인이 고려하는 성과 영향요인의 차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실무적 관점에서, 외국인과 내국인이 함께 근무하는중소기업 문화를 형성하는 리더의 역할에 대한 제고를하였다. 즉, 리더의 진정성리더십이 개인들의(외국인, 내국인) 긍정적 동기를 형성하는 것을 증명하였기 때문에, 리더십 행동 방향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뿌리기업에서 근무하는 외국인과 내국인에 대한 역할 내 성과를 높이기 위한 리더십 측면 동기향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동기 향상관점으로 진정성리더십을 제시하고 영향관계를 찾고, 집단간 비교를 실시하고자 한다.
  • 제시된 연구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뿌리기업에 재직하는 외국인과 내국인을 대상으로 조직 리더의 진정성리더십 유형에 따른 개인들의 역할 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연구는 구조방정식모델링(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며, 서베이 기법을 기반으로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외국인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는 뿌리기업의 성과 관리를 위한 방향성을 제고하고자 하며, 성과향상을 위한 동기 개선 방향을 리더의 진정성리더십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 제시된 연구 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뿌리기업에 재직하는 외국인과 내국인을 대상으로 조직 리더의 진정성리더십 유형에 따른 개인들의 역할 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연구는 구조방정식모델링(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며, 서베이 기법을 기반으로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뿌리산업의 경우, 외국인들은 대부분 제조 현장에서 근무를 하고 있으며, 내국인은 제조 현장 및 관리직으로 근무를 하고 있다. 즉, 외국인 및 내국인들의 근로자들의성과는 자신들에게 부여된 직무 유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공통된 성과 요인 측면에서 역할 내 성과가 중요한 성과요인이라고 판단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역할 내성과를 결과 변수로 활용하여 접근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 뿌리기업 조직원의 조직몰입은 역할 내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 뿌리기업 리더의 자기인식은 조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 뿌리기업 리더의 관계적 투명성은 조직 몰입에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 뿌리기업 리더의 균형잡힌 정보 처리 과정은 조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5 : 뿌리기업 리더의 내재화된 도덕적 관점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6 : 진정성리더십과 조직몰입, 그리고 역할 성과간의 영향관계는 뿌리기업 근로자의 국적유형에따라 다를 것이다.
  • 연구가설 1(뿌리기업 조직원의 조직몰입은 역할 내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 채택된 것은 중소기업으로 구성된 뿌리기업들의 경우 개인의 개별성과가 기업의 성과에 높은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성과를 높이기위해서는 조직원들의 몰입 수준을 높이기 위한 동기 부여가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 연구가설 1은 조직원의 조직몰입이 개인의 역할 내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서, 경로검증 결과가설(H1)은 채택되었다. 조직에 대한 참여 의지 등의 몰입 수준이 높아지면, 조직 및 개인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14]와 동일한 결과이다.
  • 연구가설 2는 리더의 자기인식이 조직원의 조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서, 경로검증 결과 가설(H2)은 기각되었다. 리더가 자신의 역량을 명확하게인식하고 행동하는 것이 개인의 동기 형성에 긍정적인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29, 36]와 다른 결과이다.
  • 연구가설 3(뿌리기업 리더의 관계적 투명성은 조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이 채택된 것은 다국적 인력을 통해 기업을 운영하는 기업일수록 리더의 명확한 행동과 결과에 대한 인정 등의 활동이 모든 사람들에게 공정하다고 인식되어 조직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 연구가설 4(뿌리기업 리더의 균형잡힌 정보 처리 과정은 조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 채택된것은 조직원들로부터 다양한 의견을 확보하고 분석을 통해 의사결정을 할 때, 조직원들이 소속된 조직에 대한 애사심 등이 생기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인다.
  • 연구가설 5(뿌리기업 리더의 내재화된 도덕적 관점은조직 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 채택된 것은중소기업일지라도 사회적 바람직성에 대한 도덕적 신념을 보유하고 행동으로 이행할 때, 조직원들의 기업에 대한 믿음이 커져 몰입을 더욱 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한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뿌리기업에서 리더의진정성리더십이 외국인과 내국인 모두를 포함하는 조직원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뿌리산업은 무엇인가? 뿌리산업은 공정기술 기반(주조, 금형, 소성가공, 용접, 표면처리, 열처리) 기술 개발 및 사업을 영위하는 업종을 지칭한다[1].
실무적 관점에서, 외국인이 요구하는 리더십은 어떤 것인가? 실무적 관점에서, 외국인의 경우 조직에 몰입하기 위해서는 리더가 외국인들의 생각을 청취하고 의사결정에반영하기 위한 노력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함을 발견하였다. 반면, 내국인의 경우 투명한 관계, 생각의 청취, 그리고 조직 운영의 도덕성과 같은 전체적인 진정성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외국인과 내국인이 뿌리기업에서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가설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외국인의 경우 균형잡힌 정보처리가 조직몰입을 통해 역할 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내국인의 경우 관계적 투명성, 균형잡힌 정보처리과정, 내재화된 도덕적 관점이 조직몰입을 통해 역할 내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집단별 역할 내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 방향을 제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KPIC (2018) Ppuri industry white paper. 

  2. B. C. Park. (2013). On the policy for strengthening the global competitiveness of the fundamental manufacturing industry.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Studies, 21(4), 1-19. 

  3. M. S. Yim. (2016). The convergence between manufacturing and ICT : The exploring strategies for manufacturing version 3.0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219-226. 

  4. KPIC. (2016). Ppuri industry actual situation survey. 

  5. J. H. Kim & B. M. Kim. (2017). Factors influencing acculturative stress of migrant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8), 277-287. 

  6. Y. M. Ha, K. S. Park & J. E. Cho. (2018). Factors influencing on problem drinking in foreign workers for drinking motives. acculturative str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225-234. 

  7. G. T. Page, J. B. Thomas & A. R. Marshall.(1978). International dictionary of education.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6(3), 277-277. 

  8. J. D. Pincus. (1986). Communication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2 (3), 395-419. 

  9. R. P. Tett & J. P. Meyer. (1993).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turnover: path analyses based on meta­analytic findings. Personnel Psychology, 46(2), 259-293. 

  10. W. C. Borman & S. M. Motowidlo. (1993). Expanding the criterion domain to include elements of contextual performance. Personnel Selection in Organizations ; San Francisco: Jossey-Bass, 71. 

  11. K. Barksdale & J. M. Werner. (2001). Managerial ratings of in-role behavio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and overall performance: testing different models of their relationship.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1(2), 145-155. 

  12. J. S. C. Hsu, S. P. Shih & Y. Li. (2017). The mediating effects of in-role and extra-role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and software-project performanc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35(8), 1524-1536. 

  13. Y. H. Kim. (2013). The effect of authentic leadership on occupational self-efficacy and role-based performa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4), 101-108. 

  14. L. J. Williams & S. E. Anderson. (1991).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17(3), 601-617. 

  15. R. Mowday, L. Porter & R. Steers. (1982). Employee-organizational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New York: Academic Press. 

  16. N. J. Allen & J. P. Meyer. (1996).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n examination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9(3), 252-276. 

  17. J. P. Meyer, D. J. Stanley, L. Herscovitch & L. Topolnytsky. (2002).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A meta-analysis of antecedents, correlat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1(1), 20-52. 

  18. J. Brockner, G. Spreitzer, A. Mishra, W. Hochwarter, L. Pepper & J. Weinberg. (2004). Perceived control as an antidote to the negative effects of layoffs on survivo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49(1), 76-100. 

  19. T. S. Ragu-Nathan, M. Tarafdar, B. S. Ragu-Nathan, & Q. Tu. (2008). The consequences of technostress for end users in organizations: Conceptual development and empirical validation.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9(4), 417-433. 

  20. J. H. Chun, J. H. Lee & J. Y. Yoo. (2013).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7), 289-296. 

  21. R. J. Erickson. (1995). The importance of authenticity for self and society. Symbolic Interaction, 18, 121-144. 

  22. L. J. Williams & S. E. Anderson. (1991).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17(3), 601-617. 

  23. F. Luthans & B. J. Avolio. (2003).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In K. S. Cameron, J. E. Dutton, & R. E. Quinn (Eds.),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 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pp. 241-261). San Francisco: Barrett-Koehler. 

  24. J. B. Kim. (201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in the age of converg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Revolved around effect of tuned from confidence of superio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2), 125-134. 

  25. B. George. (2003). Authentic leadership: Rediscovering the secrets to creating lasting value. John Wiley & Sons. 

  26. B. J. Avolio, W. L. Gardner, F. O. Walumbwa, F. Luthans & D. R. May. (2004). Unlocking the mask: A look at the process by which authentic leaders impact follower attitudes and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15, 801-823. 

  27. B. J. Avolio, W. L. Gardner. (2005).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Getting to the root of positive forms of leadership. The Leadership Quarterly, 16, 315-338. 

  28. W. L. Gardner, B. J. Avolio, F. Luthans, D. R. May & F. O. Walumba. (2005). Can you see the real me? A self-based model of authentic leader and follower development. The Leadership Quarterly, 16(3), 343-372. 

  29. F. O. Walumbwa, B. J. Avolio, W. L. Gardner, T. S. Wernsing & S. J. Peterson. (2008). Authentic leadership: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theory-based measure. Journal of Management, 34, 89-126. 

  30. L. L. Neider & C. A. Schriesheim. (2011). The authentic leadership inventory (ALI): Development and empirical tests. The Leadership Quarterly, 22(6), 1146-1164. 

  31. M. H. Kernis. (2003).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Psychological Inquiry, 14, 1-26. 

  32. R. Clapp-Smith, G. R. Vogelgesang & J. B. Avey. (2009). Authentic leadership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mediating role of trust at the group level of analysis. Journal of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Studies, 15, 227-240. 

  33. R. M. Ryan & E. L. Deci. (2003). On assimilating identities to the self: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on internalization and integrity within cultures. 

  34. J. E. Henderson & W. K. Hoy. (1983). Leader authenticity: The development and test of an operational measur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Research, 3(2), 63-75. 

  35. L. M. Giallonardo, C. A. Wong & C. L. Iwasiw. (2010). Authentic leadership of preceptors: Predictor of new graduate nurses' work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18, 993-1003. 

  36. R. Ilies, F. P. Morgeson & J. D. Nahrgang. (2005). Authentic leadership and eudaemonic well-being: Understanding leader-follower outcomes. The Leadership Quarterly, 16, 373-394. 

  37. H. K. Lee. (2014). Effects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employe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5), 181-190. 

  38. H. S. Lee & S. H. Lee. (2016). Research on prevention principle for permanent migration of migrant work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117-123. 

  39. Y. Choi. (2014).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foreign talent working in Korean company, The Journal of Labor Studie, 28(10), 133-165. 

  40. J. C. Nunnally,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1978. 

  41. B. H. Wixom & H. J. Watson. (2001).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data warehousing success. MIS Quarterly, 25(1). 17-41. 

  42. C. Fornell &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43. H. H. Harman. (1976). Modern factor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4. P. M. Podsakoff, S. B. MacKenzie, J. Y. Lee & N. P. Podsakoff. (2003).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79-903. 

  45. A. Bhattacherjee & C. Sanford. (2009). The intention-behaviour gap in technology usage: the moderating role of attitude strength. Behaviour & Information Technology, 28(4), 389-40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